선거구 조정 논의 주민 의견 '뒷전'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5.11.26 15:10
영상닫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삼양.봉개 선거구 조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주민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절차와 제주도의 대응을 놓고
도의회에서도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삼양봉개 선거구를 쪼개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선거구 인구 상한 기준을 넘기면서
봉개동을 아라동에 편입시키는 방안이 유력한 가운데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창종 제주시 봉개동>
“인구가 초과되니까 아라동으로 가야된다, 간다고 봅시다. 4년 이내에 아라동 인구가 불어나면 그때 어떻게 할 겁니까? 또 봉개 떼어낼 겁니까?”


<양성훈 제주시 봉개동>
“여기 붙었다, 저기 붙었다 하면 정치적으로 봉개를 외면하게 되지 않습니까. 정치인들도 당연히 큰 지역으로 가지 조그마한 동네에 오겠습니까. ”

제주도의회에서도
이번 선거구 조정 과정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습니다.

무엇보다 지역 주민 의견이
논의 과정에 충분히 담기지 못하고 있고
제주도가 사실상 중앙부처의 판단만 따르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국회 정개특위가 아직 구성되지 않아
인구수 기준일 등 핵심 조항이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인데도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는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

<박호형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
“강력하게 봉개동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고 아라동도 반대하는 입장인데 분구 관련도 논의돼야 하는데 우리는 국회만 바라보고 있는 입장 아니겠습니까?"



교육의원 제도 일몰로
도의원 정수가 45명에서 40명으로 줄어드는 부분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됐습니다.

특히 의원들은 법제처나 행안부 유권해석에 지나치게 의존해
도민 의견을 뒷전으로 미룬 것이 아니냐는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송창권 제주도의회 의원>
"45명으로 생각했던 것을 5명을 줄이는 기준만 (고집)할까...행안부에서 해석이 왔다고 해서 그 기준만 맞는 것이냐,




너무 얽매이다보니 다 도민이 떠안아야 하는 느낌이고 지역구 의원으로 속상하고 주민의 뜻을 너무 무시하는거 아니냐는 생각도 듭니다."







제주도는 모든 절차가 법적 틀 안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주민 의견 수렴 과정은 더 강화하겠다고 답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좌상은, 박병준)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