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화)  |  김지우
침체된 제주경기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역시 내수 부진은 계속됐고 건설경기는 최악으로 치달았습니다. 경제 성장의 밑바탕이 되는 인구까지 유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제주시내 한 옷 가게입니다. 최근 몇 년간 손님 발길이 줄면서 매출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직원 근무 시간까지 줄여봤지만 경영난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 옷가게 주인> "제가 자영업을 25년 정도 했는데 올해가 최악인 것 같아요. 작년 매출의 3분의 1 밖에 안돼서 가게가 안 나가니깐 어쩔 수 없이 운영하는 것 같아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올해 1분기 소매 판매는 7% 줄었는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돈이 돌지 않자 고용률은 0.3%포인트 감소하며 뒷걸음질 쳤습니다. 반면 전국 평균 고용률은 0.2%포인트 상승하며 제주와 대조를 보였습니다. 산업 생산도 부진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 0.3%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며 전국 평균 오름폭을 밑돌았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평균이 회복세를 보인 반면 제주는 0.4% 감소했습니다. 지역경제를 지탱해야 할 건설업은 출구가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1분기 도내 건설수주액은 99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9% 급감했습니다. 분기 기준 건설수주액이 천억원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 2012년 2분기 이후 13년 만입니다. <인터뷰 : 박혜림 / 통계청 제주사무소 주무관> “국내 항공기 운항 편수 감소 등 내국인 관광객 감소와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면세점과 전문소매점의 판매 감소로 소매판매는 8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관광객 감소는 음식점업과 호텔업 등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서비스생산지수는 4분기 만에 감소로 (전환됐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를 앞지르면서 올해 1분기 2천명이 넘는 인구가 순유출됐습니다. 분기 기준 인구 순유출 규모가 2천명을 넘어선 건 1979년 이후 46년 만입니다. 그나마 1분기 수출이 45% 증가했지만 지역경제의 전방위 침체로 인해 가뭄 속 단비가 되진 못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그래픽 이아민)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0:24
  • 중국 첫 럭셔리 크루즈 9일 제주항 입항
  • 지난 8월 중국발 크루즈 관광이 재개된 가운데 중국 최초의 럭셔리 크루즈가 제주에 들어옵니다. 제주관광공사에 따르면 4만 7천800t 규모의 CM 바이킹크루즈가 승객 700명을 태우고 모레(9일) 제주항에 입항합니다. 중국발 첫 럭셔리 크루즈인 CM 바이킹크루즈는 제주에서 8시간 정도 머문 뒤 떠났다가 오는 14일 다시 재입항할 예정입니다. 사드 배치와 코로나19 여파로 끊겼던 국제크루즈 운항은 올해 재개돼 현재까지 52척이 제주를 찾았습니다.
  • 2023.11.07(화)  |  김지우
KCTV News7
00:41
  •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큰 폭 하락
  • 제주지역 아파트 분양시장 전망이 이달 들어 더욱 어두워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제주도내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46.7로 지난달과 비교해 16.5포인트 큰 폭 하락했습니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아래면 그 반대 상황을 의미합니다. 연구원은 급격한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매수심리 위축과 건설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분양 전망이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11.07(화)  |  김지우
KCTV News7
00:45
  • 부동산 경매시장 '한파'…4개 중 1개 낙찰
  •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도내 경매시장에도 한파가 불고 있습니다. 경매·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부동산 경매 진행건수는 338건으로 이 가운데 91건이 낙찰되면서 26.9%의 낙찰률을 기록했습니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보여주는 낙찰가율은 61.5%로 강원과 충북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았습니다. 용도별로 낙찰률을 보면 주거시설이 42%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상업시설은 15.6%, 토지는 24.6%에 그쳤습니다.
  • 2023.11.07(화)  |  김지우
KCTV News7
00:34
  • 동계시즌 중화권 직항 활성화 마케팅 강화
  • 동계시즌 중화권 직항노선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항저우와 상하이 등 중국 도시 가운데 1인당 소비지출이 높은 주요 거점지역을 대상으로 제주관광 홍보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국 크루즈 선사와 여행사를 대상으로 제주 기항의 매력을 알리고 제주형 한류 콘텐츠를 소개하는 개별관광 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올해 동계시즌 중화권 항공노선은 13개 노선에 주 109편으로 계획돼 있습니다.
  • 2023.11.07(화)  |  김지우
KCTV News7
00:30
  • 노지감귤 가격 호조세…지난해보다 12% 올라
  •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가락시장에서 거래된 노지온주 도매가격은 5kg 기준 1만3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12% 높았습니다. 이달 가격도 작년 동월보다 소폭 상승한 9천원에서 1만 1천원 수준으로 예측됐습니다.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상승은 품질이 좋고 사과와 배 등 대체 과일의 가격이 올라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 2023.11.06(월)  |  김지우
KCTV News7
00:48
  • 택시 요금 800원 인상 확정…내년 상반기 추가 검토
  • 제주 지역 택시 요금 인상안이 800원으로 최종 결정됐습니다. 제주도는 오늘 오후 제주도청에서 택시 업계 의견 수렴을 위한 제5차 물가대책위원회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물가 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택시 기본 요금을 800원이 아닌 최소 1천원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같은 업계 주장에 대해 제주도 물가대책위원회는 현재 도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택시 기본 요금을 당초 결정대로 800원 오른 4천 100원으로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에 추가 인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제주도는 국토부 신고 등 후속 절차를 거쳐 조만간 인상안을 적용할 방침입니다.
  • 2023.11.06(월)  |  문수희
KCTV News7
00:35
  • 제주도물가대책위, 내일(6일) 택시 요금 인상안 재논의
  • 제주도물가대책위원회가 택시 요금 인상안을 재논의합니다. 제주도는 내일(6일) 오후 제주도청에서 제5차 물가대책위원회를 열고 택시·요율 조정안에 대한 택시업계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입니다. 이번 회의는 지난 달 물가대책위에서 중형택시 기본운임을 종전 3천300원에서 4천100원으로 인상하도록 결정한 후 택시업계가 크게 반발했기 때문입니다. 택시업계는 보험료 등 물가 상승을 고려해 4천100원이 아닌 4천30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2023.11.05(일)  |  이정훈
KCTV News7
00:32
  • 제주 소비자물가 가파른 상승세…외식비 '껑충'
  •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1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 상승했습니다. 제주지역 소비자물가는 지난 8월 2.3%, 9월 2.7%에 이어 지난 달에는 3%까지 올랐습니다. 분야별로는 공공서비스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1.3%, 외식비는 3.5% 오르며 서비스부문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 2023.11.05(일)  |  이정훈
KCTV News7
02:15
  • "직원 없어 단축 영업"…외식업 '구인난' 심각
  • 외식업계가 구인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수개월째 사람을 구하지 못하면서 어쩔 수 없이 단축 영업을 하는 음식점도 나오고 있는데요.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난까지 겹쳐 외식업계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지우 기자의 보돕니다. 제주시내 한 음식점. 입구에 당분간 근무 인원 부족으로 단축 영업을 한다는 안내문이 붙여져 있습니다. 4명이서 하던 일을 2명이 하면서 정상적인 영업이 불가능해진 겁니다. 하루빨리 직원을 구하기 위해 최저시급보다 높은 1만 1천원에 구인 글을 올려봐도 3개월째 인력 충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비싼 임대료를 내고 가게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선 영업시간을 늘려도 모자란 상황. 업주의 한숨은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음식점 업주> “여기 새로 오면서 빚도 많이 지고 오고 결혼 준비랑 이런 것 때문에 경제적으로 너무 힘든 상황이거든요. 정상적으로 영업을 새벽 2시까지 해야 되는데 단축 영업을 하게 돼서 너무 걱정이 큽니다.” 지난 9월 도내 자영업자는 10만 6천명. 이 가운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만 8천명으로 4명 중 1명꼴에 불과합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수는 올해 2월부터 8개월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소폭은 적게는 1천명에서 많게는 6천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높은 노동강도와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외식업계 구인난이 고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키오스크 등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와 외국인 근로자 채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씽크 : 정소윤 /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 “구조적인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보입니다. 조금 낮은 노동 강도 쪽으로 외식업계에서 일하는 주 인력 40~50대 여자분들이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리고 MZ 세대들은 조금 어려운 일, 힘든 일은 기피하는 성향이 있어서…”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력난까지 심화되면서 외식업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그래픽 이아민)
  • 2023.11.03(금)  |  김지우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