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Fewer Pets Abandoned, Pet Industry Booms
  • Fewer Pets Abandoned, Pet Industry Booms The total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n Jeju is just over 95,000. Considering that there are 280,000 households in Jeju, one house in three has a companion animal. INTERVIEW Im Mi-seon / Resident, Nohyeong-dong, Jeju City It's always pretty and well behaved. I have no choice but to raise it because of my daughter, but it's so pretty and nice. As of the end of last year, 53,000 companion animals, or more than 55 percent of all companion animals, were registered in Jeju.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bandoned animals has decreased. The number of abandoned animals in Jeju, which exceeded 7,600 in 2018, fell to around 6,600 in 2020. Last year, that number fell below 5,000. Compared to 2018, that’s a 35 perc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abandoned animals. As the number of families living with animals grows,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animal beauty salons, cafes for dogs, and dog food manufacturers. The number of pet-related businesses in Jeju nearly doubled, from 155 in 2018 to 302 last year, with more than 400 people working in the industry. However, some animals are still abandoned and abused. A more widespread culture of pet care is needed. Moreover, the problem of a lack of pet funeral facilities on the island needs to be addressed. INTERVIEW Kim Hyeon-jin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More see domesticated animals as companion animals. The pet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We plan to build a province-funded shelter for abandoned animals first, and next year build a pet burial facility. With the island’s pet population topping 100,000, it’s clear that these furry family friends deserve just as much care and attention as they give to us. 반려동물 10만 시대…유기 줄고 업계 늘고 제주지역의 반려동물 수는 모두 9만 5천여 마리. 제주의 가구수가 28만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세집당 한집꼴로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고 있습니다. <임미선 / 제주시 노형동> 항상 예쁘고 좋아요. 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키우기는 하는데 키우다 보니까 너무 예쁘고 좋아요.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반려동물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반려동물의 55%가 넘는 5만 3천여 마리가 등록됐습니다. 반면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해마다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8년, 7천 600마리가 넘었던 제주의 유기동물 수는 2020년 6천 마릿대로 낮아졌습니다. 지난해에는 5천마리 아래로 떨어지며 2018년과 비교하면 유기동물 발생이 35%가량 줄었습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가구가 늘면서 자연스레 동물미용업과 애견카페, 사료제조업체 등도 증가했습니다. 지난 2018년 155개소였던 도내 반려동물 관련 업체는 지난해 302개소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고 관련 종사자는 400명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일부에서 벌어지는 유기와 학대 등 여전히 부족한 동물보호문화와 제주에 없는 반려동물 장묘시설 등의 인프라 구축은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입니다. <김현진 / 제주도 동물복지팀장> 예전보다는 도민들의 인식이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그런 인식으로 전환이 되고 있고요. 반려동물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유기동물보호센터를 먼저 설치하고 내년에 장묘문화(시설)를 설치할 계획으로... 반려동물 인구 10만 시대를 앞둔 제주. 동물이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동반자가 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과 시대적 흐름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 2023.02.02(thur)  |  이현
  • Jeju Clears Island from Mercury Waste
  • The province has begun to discard Mercury-containing wastes stored at the schools.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POE) said it will collect and dispose of more than 2,000 pieces of mercury-containing waste used at schools and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with the help of specialized companies. Mercury waste that is stored in school facilities is often used as laboratory equipment. Thermometers that used to be used in science and health centers are now prohibited from use. 과학·보건실 수은폐기물 내주부터 수거 처분 학교에서 보관 중이던 수은 함유 폐기물이 이번주부터 전량 폐기 조치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도내 모든 학교와 직속기관에 보유중인 2천백여 점의 수은 함유 폐기물을 전문업체를 통해 전량 수거 처분한다고 밝혔습니다. 학교 시설에 보관중인 수은 폐기물은 보통 과학실이나 보건실에서 실험실 기자재나 체온계 등에 사용되던 것들로 현재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2023.01.30(mon)  |  이현
  • Jeju Samdasoo Receives 'Eco Package' Award
  • Jeju Samdasoo's pet recycling technology won the eco-packaging category at the Asia Star Awards hosted by the Asian Packaging Federation. Jeju Samdasoo Recycling Pet,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the industry,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cycled repeatedly as an eco-friendly material. In May last year, Samdasoo won the grand prize in recognition of its resource circulation efforts in the Korea Package Competition hos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제주삼다수 페트 재활용 '에코 패키지' 수상 제주삼다수의 페트 재활용 기술이 아시아 포장 연맹이 주최하는 '아시아 스타 어워드'에서 에코 패키지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업계 최초로 개발한 제주삼다수의 리사이클 페트는 친환경 소재로 반복 재활용해도 식품 접촉 용기로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해 5월 산업통상부 주최의 대한민국 패키지 대전에서 자원순환 노력을 인정받아 대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 2023.01.30(mon)  |  이현
  • Jeju City to Support Welfare Crisis Households
  • Jeju City will focus on identifying and supporting welfare crisis households by the end of February. Accordingly, the plan includes identifying the vulnerable with the help of welfare teams and community human networks in each administration district. The aim is to offer people in need with welfare support. Requests for help can be requested through community centers, and through the Health and Welfare Counseling Center by dialing 129. 제주시, 겨울철 복지 위기가구 집중 발굴·지원 제주시가 2월 말까지 복지 위기가구를 집중 발굴해 지원합니다. 이에 따라 읍면동 맞춤형복지팀과 지역사회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취약계층을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와 연계해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위기가구에 대한 도움 요청은 읍면동 주민센터와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등으로 하면 됩니다.
  • 2023.01.30(mon)  |  이현
  • Jeju to Expand of Urban Green Spaces
  • Various projects will be carried out to expand urban green spaces this year. The Province will proceed an urban greening project focusing on residential areas to reduce ‘urban heat island’ effects and establish resting areas for residents. Jeju will continue to promote climate-responsive urban forests, residential parks, and forests within schools and will focus on building greener road safety zones. In addition, 3,870 hectares worth of trees will be planted and forested to expand carbon sink sources. 도시 녹지공간 확충…도로변 안전지대 개선 올해 도시 녹지공간 확충사업이 다양하게 추진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시 열섬현상 저감과 도민 휴식공간 제공 등 생활권 주변 도시녹화 사업을 확대합니다. 기후대응도시숲과 생활밀착형숲, 녹색쌈지숲, 학교숲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특히 도로변 안전지대를 녹지공간으로 탈바꿈합니다. 이와 함께 3천 870헥타아르의 산림에 나무심기와 숲가꾸기를 실시해 탄소 흡수원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 2023.01.30(mon)  |  이현
  • More Restaurants, Less Pubs due to COVID-19
  • In the aftermath of COVID-19, it has been found that the number of restaurant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pubs and bars decreased. According to Jeju City, 20,026 public food sanitation centers were established in Jeju City last year, which is an increase of 19.6% from 2018 before COVID-19. In particular, the island has seen an increase of 1,000 restaurants and an addition of 604 stores that make, process and sell on the spot. Meanwhile the number of laundry and bathing industries decreased. In addition a total of 70 karaoke bars and 29 entertainment bars closed their businesses. 코로나 여파 휴게음식점 증가…단란·유흥주점 감소 코로나19 여파로 휴게 음식점 등은 증가하고 단란주점이나 유흥주점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시 지역 공중 식품 위생업소는 2만 26개소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보다 19.6%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 기간 휴게 음식점은 1천여 곳, 즉석판매 제조·가공업은 604곳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단란주점은 70여 곳, 유흥주점은 29곳이 줄고 세탁과 목욕업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01.30(mon)  |  이현
  • Delay on Dongbu Sewage Treatment Plant Expansion
  • The construction of the Woljeong-ri Dongbu Sewage Treatment Plant is expected to see another delay. According to the Water and Sewage Headquarters and construction company, the Woljeong-ri Village Association, which recently formed a consultative body, has put in a request for another 2 month extension. The reason of the postponement is to allow time to discuss the agenda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expansion and the results will be notified by the Water and Sewage Headquarters and construction company upon review. With another postponement the project will be expected to finalize by the end of March. 월정리 마을회,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 연기 요청 월정리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가 재차 미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상하수도본부와 시공사 등에 따르면 최근 협의체를 구성한 월정리 마을회가 제주도에 증설 공사를 2개월 연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수처리장 증설 협의체의 안건을 논의하기 위해 공사 연기를 요청한 건데 상하수도본부와 시공사 측은 검토 후에 수용 여부를 통보할 예정입니다. 이번에도 연기될 경우 증설 공사는 3월 말쯤 돼서야 재개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 2023.01.30(mon)  |  이현
  • Schools Confused on Lifted Mask Requirements
  • Schools Confused on Lifted Mask Requirements As the mask requirements are lifted, schools are expected to have a different look from the coming spring semester. In 3 year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students are able to take classes without a mask. But masks are still recommended for some activities that could generate a lot of droplets at the gym or the music room, such as choruses and cheers. Many point out that masks have a bad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language skills as teachers' lips and mouth are covered, and keep communication difficult. But local schools are confused. They're in a dilemma over whether to hire quarantine personnel that are planned to be deployed to schools from the spring semester. The provincial educational office has secured 5.8 billion won of funds to employ 1,400 quarantine workers in preparation for another possible round of pandemic measures during the upcoming spring semester. As the indoor mask requirements are lifted, the number of quarantine personnel and how to proceed the employment cannot be decided. As the Ministry of Education's detailed guidelines for schools had not yet been delivered,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cannot make any determinations. INTERVIEW Representative, Jeju office of education The manpower placement was not included in the meeting, and we will include it in the second or third week of February. Some say that the vaccination rate for infants and toddlers is not high, and the mask requirement has played a role in preventing the COVID-19 infection and colds to some extent. They have concerns on lifting the mask requirements at schools. It is also not easy to hire large-scale quarantine personnel at the same time. As the government's detailed guidelines are being delayed, the confusion in schools is also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마스크 벗는 교실...방역인력은 어쩌나?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서 새학기부터 학교 모습도 크게 달라질 전망입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3년여 만에 교실에서도 마스크 없이 수업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다만 체육관이나 음악실에서 학생들의 교육활동 내용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 권장됩니다. 합창이나 응원처럼 비말이 많이 발생하는 교육 활동의 경우 마스크를 가급적 쓰도록 했습니다. 그동안 교육 현장에선 마스크가 입 모양을 가리는 탓에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고 아이들의 언어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학교 현장은 여전히 혼란스럽습니다. 당장 신학기부터 학교에 배치하려던 방역 인력을 채용할 지를 두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올 1학기에 코로나 재유행에 대비해 1천 4백 여명의 방역 인력을 배치하기로 하고 58억원의 예산도 확보한 상황입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서 이전처럼 방역인력 규모와 절차를 이행할 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교육부의 세부지침 안내가 늦어지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 제주도교육청 관계자 ] (방역 인력 배치) 이 부분은 회의 내용에 없었고 2월 둘째나 셋째 중에 포함해서 안내해 올 예정입니다.. 일각에선 영유아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고 마스크가 코로나19와 감기 예방에 어느 정도 역할을 했다는 인식이 있는 만큼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대규모의 방역인력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의 세부 지침이 늦어지며 학교 현장의 혼란도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 2023.01.30(mon)  |  이현
  • Province Begins Winter Mosquito Larvae Control
  • The Jeju Eastern Health Center conducts winter mosquito larvae control work during the winter season. Starting with public toilets purifier at (남생이못) Namsaengimot Pond in Jocheon-eup this month, the government will roll out mosquito control activities to prevent reproduction at mosquito larvae habitats. The Dongbu Health Center called for active participation from citizens, stressing that controlling mosquitoes at the reproduction stage can reduce costs. 동부보건서, 동절기 모기 유충 방제작업 시작 제주동부보건소가 동절기 월동 모기 유충 방제 작업을 실시합니다. 이달 조천읍 남생이못 공중화장실 정화조를 시작으로 모기 유충 서식지 50여 개소를 대상으로 방제약을 살포할 계획입니다. 동부보건소는 모기가 성충으로 부화하기 전 유충 단계에서 방제를 하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 2023.01.26(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