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4.3 Victims Identified from Daejeon Prison
  • Jeju 4.3 Victims Identified from Daejeon Prison The Province and Jeju 4.3 Peace Foundation will push for genetic identification of Jeju 4.3 victims who were taken to prisons outside of the province and were lost. 200 remains from (골령골) Golryeonggol Valley in Daejeon, known as a civilian group victim site during Korean War will be excavated. By the end of this year, identifications will be confirmed by comparing sample collections and genetic identification of the remains discovered. In particular, a cross check will be made with blood tests of bereaved family members for victims who left Jeju island and were lost. Based on the list of prisoners in Daejeon Prison, 298 victims of Jeju 4.3 are believed to have been buried in (골령골)Golryeonggol, Daejeon, after being massacred. 대전 형무소 유해 4·3 희생자 신원 확인 추진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 4.3평화재단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와 함께 도외 형무소로 끌려가 행방불명된 4.3 희생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유전자 감식을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지로 알려진 대전 골령골 발굴 유해 200여구에 대해 진행합니다. 올 연말까지 두차례에 나눠 발굴된 유해에 대한 시료 채취와 유전자 감식, 그리고 그동안 도외 행불인 유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혈 결과와 대조해 신원을 확인하게 됩니다. 대전형무소 수감자 명단을 토대로 4.3 희생자 298명이 집단 학살된 후 대전 골령골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Markets Active with Lunar New Year
  • Markets Active with Lunar New Year Jeju City Traditional 5-day Market has opened its doors ahead of the Lunar New Year. Even in the cold weather and bracing wind, the outdoor market is busy with customers who want to stock up on suppli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 Shoppers carefully examine the fresh fruit on display, like apples and pears. Here and there, merchants and shoppers haggle over prices. Generous portions and negotiating better prices are part of the charm of shopping at the traditional market. INTERVIEW Jo Eun-jeong / Visitor from Incheon I came here to buy fruit for the holiday. Tangerines are so cheap and delicious. They're sweet. I think Jeju tangerines are the best. So I bought a box. In the seafood section, tilefish are being packed up. Merchants carefully wrap the pinkish fish in plastic one by one. Business has dropped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but the vitality of the outdoor market hints at a long-awaited recovery that brings smiles to the merchants’ faces. INTERVIEW Kim Sun-ja / Merchant Now, people aren’t buying groceries for the table for the new year holiday ritual as the ritual becomes simple and small. But my business is still a little better than usual. Soaring prices, though, have made shoppers reluctant to spend freely. According to the Jeju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the estimated cost of this year's Lunar New Year's Day ritual will be 302,630 won for a family of four, that’s up 0.4% from last year when the total was 301,320 won. Although there wasn’t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the prices of pork, processed foods such as tofu, flour, and garaetteok (가래떡), the long cylindrical rice cake, have all risen. Prolonged high prices have already caused a dampening in consumer sentiment. This has left many merchants disappointed. INTERVIEW An Jong-ui / Merchant I'm completely disappointed. I'm so disappointed this year. Last year was a bit better. The atmosphere is so bad.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merchants are unable to enjoy the peak season in their businesses. Meanwhile, shoppers are having a busy day preparing for a comparatively smaller ritual table for the New Year’s holiday. Todd Thacker, KCTV 설 앞두고 열린 오일장 모처럼 '활기' 설날을 앞두고 열린 제주시 민속오일장. 찬 바람이 부는 추운 날씨에도 미리 제수용품을 사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시민들은 사과와 배 등 좌판에 진열된 싱싱한 과일들을 꼼꼼히 살펴봅니다. 곳곳에서 상인과 손님의 가격 흥정이 벌어집니다. 덤까지 챙겨주는 넉넉한 인심은 재래시장만의 매력. <인터뷰 : 조은정 / 인천광역시> 명절을 위해서 우리 (시장을) 한 바퀴 돌았는데요. 과일, 사과, 그리고 귤. 귤이 너무 싸고 맛있더라고요 달고. 제주도 귤이 최고인 것 같아요. 그래서 한 박스를 샀어요. 수산 코너에서는 옥돔 포장이 한창입니다. 차례상에 올라갈 옥돔을 비닐로 정성스레 감아둡니다. 경기 침체로 장사는 예년 같지 않지만, 모처럼 되찾은 활기에 상인들의 얼굴에는 미소가 번집니다. <인터뷰 : 김순자 / 시장 상인> 지금은 어물(생선) 같은 것도 제사를 합제하고 그러니까 많이 안 사가 조금 사 가. (그래도) 조금 낫지, 평상시보다는 조금 나아. 차례상은 푸짐하게 마련하고 싶지만 치솟은 물가에 시민들은 쉽사리 지갑을 열지 못합니다. 제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올해 설 차례 비용은 4인 가족 기준 30만 2630원으로, 지난해(30만 1320원)보다 0.4% 가량 소폭 올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오르진 않았지만 특히 돼지고기를 비롯해 가공식품류인 두부와 밀가루, 가래떡 등의 가격이 줄줄이 올랐습니다. 고물가의 장기화로 이미 밥상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소비 심리기 위축된 상황. 설 대목을 기대했던 상인들은 아쉬운 마음이 큽니다. <인터뷰 : 안종의 / 시장 상인> 완전히 실망이 크지. 올해는 너무 실망이 커. 작년에는 그래도 좀 괜찮았는데 올해는 더 한 것 같아. 분위기가 너무 안 좋아요. 경기침체로 대목은 기대할 수 없지만 시민들은 저마다 소소하게 명절을 준비하며 분주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Strengthened System for Price Stabilization
  • Jeju City will operate a special measures period for price stability management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until the 20th. During this period, Jeju City will strengthen its price inspection response system in order to minimize price collisions or rip-offs against consumers. Inspections will also crackdown on incorrect publications of country of origin, distribution of illegal livestock products, and ensure that price marking systems are implemented. In addition, campaigns will be launched to promote the use of commercial districts and traditional markets during the Lunar New Year's Day as well as stores with affordable prices. 제주시, 설 명절 물가안정관리 대응체계 강화 제주시가 오는 20일까지 설 명절 물가안정 관리 특별대책 기간을 운영합니다. 제주시는 이 기간 요금담합이나 바가지요금 등 소비자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가 점검 대응체계를 강화합니다. 특히 농수축산물 원산지 표시 여부와 부정 축산물 유통 여부 가격표시제 이행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합니다. 이와함께 지역 상권 이용하기와 설명절 전통시장, 착한가격업소 이용하기 캠페인도 전개해 나갈 게획입니다.
  • 2023.01.16(mon)  |  이현
  • 7 Markets Selected As Revitalization Project
  • Seven traditional markets in Jeju City have been selected for a revitalization project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ccordingly, Jeju City will support funds worth 674 million won, including 425 million won in state in addition to local funds to revitalize Jeju’s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districts. In particular, (도남) Donam Market, (중앙) Jungang underground and Royal shopping malls were selected for the support project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Support will be customized per the characteristic of each market. In addition, (중앙로) Jungang-ro shopping mall plans to provide 400 million won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 to promote a project to increase self-su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제주시 전통시장 7곳, 중기부 활성화 사업 선정 제주시 지역 7개 전통시장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활성화 사업에 선정됐습니다. 제주시는 이에따라 확보한 국비 4억2천500만원과 지방비를 포함해 모두 6억7천400만원을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에 지원할 예정입니다. 특히 도남시장과 중앙지하상가, 로얄쇼핑은 올해 지원사업에 처음 선정됨에 따라 시장별 특성을 고려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 중앙로상점가 청년몰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4억원을 지원해 자생력과 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2023.01.16(mon)  |  이현
  • Jeju Fire Festival Opens March 9th
  • Jeju's representative, known as Jeju's representative cultural event will be held normally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Jeju City announced that it will hold the Jeju Fire Festival at (새별) Saebyeol Oreum located in (봉성리) Bongseong-ri, Aewol-eup, Jeju City for four days from March 9th until the 12th. In particular, this year will be the first face-to-face festival in four years since 2019. Jeju City plans to prioritize safety management as a large crowd is expected to gather during the festival. Meanwhile, the festival will feature a variety of programs, performances, folk games, beginning with its torch lighting at (삼성혈) Samseong Hyul on March 9th. The highlight of the festival which is the burning of (새별오름) Saebyeol Oreum, will be held at 7 p.m. on the 11th, the third day of the festival. 제주들불축제, 4년 만에 정상 개최…3월 9일 개막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관광축제인 제주들불축제가 4년 만에 정상적으로 개최됩니다. 제주시는 오는 3월 9일부터 12일까지 나흘동안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새별오름 일대에서 제주들불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올해는 지난 2019년 이후 4년만에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대면 축제로 진행됩니다. 제주시는 축제기간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관리에 최우선을 두고 준비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편 축제는 3월 9일 삼성혈 불씨 채화를 시작으로 공연과 민속경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축제 사흘째인 11일 저녁 7시 하이라이트인 오름불놓기가 펼쳐집니다.
  • 2023.01.16(mon)  |  이현
  • JNU’s School of Education Pass Rate at 50%
  • The passing rate of the elementary education appointment exam at Jeju National University(JNU)'s School of Education has dropped to the 50% range in 10 years. According to Jeju National University, only 68 of 116 people who took the teacher appointment test held in February last year were successful.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rate recorded 93% in 2015, but it fell to the 50% range since 2012. Jeju National University analyzed that the number of teachers has decreased due to the recent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unlike in the past when there was a higher teacher selection population. The province had the largest number of candidates with 33 people, followed by Gyeonggi, Busan, and Seoul. 제주대 교육대학 임용시험 합격률 50%대로 떨어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의 초등 임용시험 합격률이 10년 만에 50%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대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치러진 교사 임용시험을 58%로 응시한 116명 중 합격자는 68명에 그쳤습니다. 특히 합격률은 지난 2015년 93%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지난 2012년 이후 10년 만에 50%대까지 떨어졌습니다. 제주대는 교원 선발 규모가 컸던 과거와 달리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교사 정원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임용시험 합격 지역은 제주도가 33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과 부산, 서울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01.16(mon)  |  이현
  • BOK Raises Key Rate by 25 Basis Points
  • The Bank of Korea has raised its key interest rate from 3.25% per year by 0.25 percentage points to 3.5%. It is the first time in history that the benchmark interest rate has been raised consecutively for its seventh time since April of last year. Although interest rates have been raised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household and corporate burden is expected to rise further for Jeju, which already has a high loan ratio. 한은, 기준금리 0.25%p 올려…첫 7연속 인상 한국은행이 현재 연 3.25%인 기준금리를 3.5%로 0.25%포인트 올렸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일곱 번 연속 기준금리를 올린 것으로 7연속 인상은 사상 처음입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했지만 대출비율이 높은 제주로서는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 2023.01.16(mon)  |  이현
  • Jeju Steps Into Preliminary Power Market
  •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you will be able to purchase and sell reserve power in Jeju.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ill introduce a real-time service market in Jeju for the first that that commercializes reserve power that helps to determine fees through a Basic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The introduction of real-time power services will improve the power market, which currently only operated on an hour-by-hour basis, by 15 minutes, and enable the reserve power transaction. In addition, KEPCO will be switching to a price bidding system once power generation companies offer electricity sales prices. 산자부, 예비전력 거래시장 제주에 우선 도입 올해 하반기부터 제주에서 예비전력을 사고 팔 수 있게 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예비전력을 상품화해 보상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실시간 보조서비스 시장을 제주에 우선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력 실시간 보조 서비스가 도입되면 현재 1시간 단위로만 운영되던 전력 시장이 15분 단위로 개선되고 예비전력도 거래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와함께 발전사가 전력 판매 가격을 제시하면 한전이 선택해 가격이 결정되는 가격입찰제 전환도 추진됩니다.
  • 2023.01.16(mon)  |  이현
  • Unpaid Wage Reaches Record High
  • Unpaid Wage Reaches Record High Workers who haven’t received wages on time or their severance pay are visiting the Jeju office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ne construction worker said he is owed nearly 10 million won in unpaid severance. Recording Laborer seeking overdue severance pay It's 8.4 million won that I didn’t get in severance pay. A labor supervisor called the employer. But the employer didn’t pick up the phone, I assume, on purpose. It's frustrating right now. Depressing. The matter of unpaid wages in Jeju remains an on-going issue with serious consequences. Last year, about 2,400 workers reported unpaid wages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Jeju. The number was down 18.9 percent from 2021, but the accumulated total amount of claims exceeded 14.7 billion won. Of that amount, 860 million won has yet to be paid. By industry, construction accounted for 43.3 percent of the total, exceeding 6.4 billion won. This was followed by wholesale and retail and food and lodging industries at 16.9 percent. Financing, real estate, and service industries totalled 8.6 percent.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workers, there were 241 reports of unpaid wages last year, down 30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Analysts say that’s because of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workers entering Korea due to COVID-19 restrictions. The province is encouraging its offices to make wage payments for any province-funded construction before the Lunar New Year as a part of its wage dispute prevention efforts. This year Jeju’s workers have seen their wages go unpaid to the tune of nearly 15 billion won. With the Lunar New Year holiday just around the corner, some local workers still remain empty-handed. 설 명절 코 앞…체불 임금 여전 고용노동청에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하거나 퇴직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건설 현장에서 일했던 작업자는 천 만 원에 가까운 퇴직금을 받지 못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합니다. <싱크 : 임금체불 근로자> (못 받은 퇴직금이) 840만 원이요. 근로감독관이 전화를 했던 모양이에요 그 사람한테. 전화도 안 되고 통화도 안 된대요. 전화도 일부러 안 받는 것 같아요 이 사람이. 답답하죠 지금. 지금 말은 웃지만 속은 타 들어가요. 제주 지역 체불임금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제주에서 임금을 받지 못해 고용노동청에 신고한 근로자는 2천 4백여 명. 신고자 수는 전년보다 18.9% 가량 줄었지만, 체불 금액은 147억 원을 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8억 6천여 만 원은 아직까지도 지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해 체불 금액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이 43.3%로 64억 원을 넘어 가장 많았고, 도소매와 음식 숙박업이 16.9%로, 금융 부동산, 서비스업이 8.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체불 임금 신고자 수가 지난해 241명으로 전년보다 30% 정도로 크게 줄었는데, 코로나 영향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수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제주도는 관급 공사를 중심으로 대금을 설 이전에 지급하도록 하는 등 임금체불 예방활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여전히 100억 원을 넘고 있는 제주 지역 체불 임금. 설 명절이 다가오고 있지만 체불 임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근로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2023.01.16(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