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upport for Seasonal Foreign Manpower
  • Seogwipo City has been selec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o host support of foreign workers.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selected by local governments will hire foreign seasonal workers and match manpower with farmers while farmers pay daily fees. It is expected to help farmers obtain required manpower in a timely manner with no extra brokerage fees, and short-term employment contracts are possible. Seogwipo City plans to receive 50 additional foreign seasonal workers in time for the tangerine harvest season in October and operate them through the Wimi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서귀포시, 공공형 외국인 계절근로사업 공모 선정 서귀포시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사업 공모에 선정됐습니다. 외국인 계절근로사업은 지자체가 선정한 지역농협이 외국인 계절 근로자를 고용하고 농가와 인력을 매칭해주면 농가가 일일 단위로 이용료를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특히 적기에 인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중개수수료가 없고 단기 고용계약이 가능해 농가 호응이 기대됩니다. 서귀포시는 오는 10월 감귤 수확기에 맞춰 50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추가로 받고 위미농협을 통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 2023.01.20(fri)  |  이현
  • Jeju Airport's Air Traffic Hits Record
  • Last year, air traffic at Jeju Airport hit an all-time high.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number of flights passing through Jeju Airport last year reached 177,000, an increase of 7% from the previous year. In comparison by airport nationwide, it ranked second after Incheon Airpor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xplained that the sky road, which had been closed due to changes in quarantine policies, will recover and air traffic will continue to increase for the time being. 지난해 제주공항 항공기 운항 최대치 경신…7% 늘어 지난해 제주공항 항공 교통량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해 제주공항 하늘길을 이용한 한공기는 17만 7천여 대로 종전 최대였던 전년 보다 7% 가량 늘었습니다. 전국 공항별 비교에서도 인천 공항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국토부는 방역 정책이 변경되면서 닫혔던 하늘길이 회복되며 항공 교통량은 당분간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2023.01.20(fri)  |  이현
  • Jeju to Research for New Administrative Services
  • Public discussion research services will be carried out in earnest to introduce a new Jeju-type administrative system. Jeju Island plans to invest 1.5 billion won in the project which will run until December 20th and will include performance assessments on current practices, check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administrative model, hold public discussions and referendums. Research services will include specialized research, briefing sessions, discussion forums, polls, and the operation of civil groups. Jeju Island plans to prepare a model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implementation districts by August and plans to announce the new system in September.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 공론화 연구용역 추진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을 위한 공론화 연구용역이 본격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사업비 15억 원을 투입해 오는 12월 20일까지 용역을 실시하고 현행 특별자치도에 대한 성과 분석과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의 필요성,도입 모형안과 공론화, 주민투표 방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연구 용역은 전문 연구 분야와 설명회, 토론회, 여론조사와 도민참여단 운영 등 공론화 분야로 나눠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오는 8월까지 행정체제 도입 모형안과 구역 설정안을 마련하고, 9월에는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 2023.01.20(fri)  |  이현
KCTV News7
02:21
  • Tighter Rules for Electric Scooters
  • Tighter Rules for Electric Scooters The number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such as electric scooter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ir convenience in short-distance use. As of 2022, four personal mobility vehicle rental businesses were registered in Jeju, and the number of registered personal transporters topped 3,000. However, accidents have resulted from personal mobility vehicles suddenly popping out into the road or onto sidewalks, prompting the nickname of "buster", and users sometimes park their transporters irresponsibly, prompting complaints. To solve these issues, the province has come up with a number of new measures. Eighty parking lots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s will be newly built on unused land and at bicycle stands across the island by the end of this year. The province plans to add safety signs and road markings on bicycle lanes to clarify areas where personal transporters can be operated and areas where their use is prohibited. As the current law prohibits riding of personal mobility vehicles on sidewalks, the province will designate pedestrian-only sections, and crack down on violations. INTERVIEW Kim Sam-yong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personal mobility vehicle users is our priority. The recent measures also clarify that users of the personal transporters should have a driver's license. If relevant laws, which include regulations on unauthorized parking of personal transporters, are revise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t is expected that personal mobility vehicles will also be subject to towing in cases of illegal parking. 전동 킥보드 관리 강화…"불법 주차시 견인"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는 단거리 이용에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제주에서는 모두 4곳의 전동킥보드 대여 업체가 운영중이고 등록 댓수만 3천대에 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로나 인도로 갑자기 튀어나와 사고를 유발시키며 이른바 퀵라니라는 오명을 얻는가 하면, 이곳 저곳에 아무렇지 않게 세워두면서 민원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무단 방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용 주차 구역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자투리 주차 공간이나 자전거 거치대 등을 활용해 올해 말까지 80곳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자전거 도로 등에 안전표지와 노면 표시를 확충해 개인형 이동장치가 주행할 수 있는 구간과 통행 금지 구간도 명확히 할 계획입니다. 현행법에서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인도 주행을 금지하고 있는 만큼 보행자 안심 구간을 설정해 단속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인터뷰 : 김삼용 / 제주특별자치도 교통정책팀장> 우선은 보행자 안전, 그리고 이용자의 이용 안전. 그리고 법적으로 면허를 갖고 운전해야 하는데 면허 없이 운전하는 부분 등을 해결하고자 이같은 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 개인형 이동장치 무단 주정차 관리 내용을 담은 관련법이 개정되면 불법 주정차할 경우 견인 조치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 2023.01.20(fri)  |  이현
  • Seogwipo City Promotes Elderly Care Service
  • Seogwipo City will invest 1.1 billion won this year to support integrated care for the elderly. The main projects include meal support for the elderly, visiting baths, AI safe care, and elderly safe housing operation projects. Seogwipo City plans to extend the period of meal support and bathing services from six months to one year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services provided to the elderly who have mobility difficulties. 서귀포시,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사업 추진 서귀포시가 올해 사업비 11억 원을 투입해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어르신 식사지원과 방문목욕, AI 안심돌봄과 어르신 안심주택운영사업 등 입니다. 서귀포시는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인 경우 식사지원과 목욕서비스 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1년으로 확대해 지속성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Reduction for Small Business Owners
  • The Province will reduce the rent fee of public property used as shopping malls and offices for small business owners. The reduction period is until the end of this year, and the rental rate will be reduced from the previous maximum of 2.5% to 1%. This measure will offer rent reductions worth 1.33 billion won to 415 shopping malls and offices in the province, including underground shopping malls. Rent reduction or exemption can be applied to administrative offices where the tenant has signed a lease contract. Refunds will also be possible for payments already made. 소상공인 공유재산 건물 임대료 감면…13억 혜택 제주특별자치도가 소상공인의 상가와 사무실 등으로 쓰이는 공유재산의 임대료를 감면합니다. 감면기간은 올 연말까지로 임대료 산정 비율을 기존 최고 2.5%에서 1%로 인하합니다. 이번 조치로 도내 지하상가 등 415개 상가와 사무실에 대해 13억 3천만원 상당의 임대료 감면 혜택이 주어집니다. 임대료 감면은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을 맺은 행정부서에 신청하면 되며 이미 납부한 경우에도 환급받을수 있습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 Criteria Eased
  • Starting this year, the criteria for selecting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will be eased. According to Jeju City, the median income based on a four-person household has risen from 5.12 million won to 5.4 million won. Living benefits also increased by 84,000 won from 1,536,000 won to 1.62 million won for four-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property standards will also be eased. The target for property deduction has been increased from people with an income of 42 million won to 53 million won. 올해부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 완화 올해부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이 완화됩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512만1천원에서 540만원으로 높아졌습니다. 생계급여도 4인가구 기준 153만 6천원에서 162만원으로 8만 4천원이 인상됐습니다. 또, 재산 기준도 완화돼 소득환산에서 제외하는 기본재산 공제액이 4천200만원에서 5천 3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Traffic Measures for Lunar New Year Holiday
  • The Jeju Autonomous Police will push for special traffic management measures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Available personnel will be concentrated in (양지)Yangji Park during the holidays, including ports,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discount stores. The police will also be monitoring the 1100 road which has many tourists and climbers who are expected to visit Hallasan Mountain during the holiday season. In addition, real-time monitoring of traffic conditions on major roads and habitual congestion sections will flexibly operated and traffic police will be deployed where needed. 제주자치경찰, 설 연휴 특별 교통관리대책 추진 제주자치경찰단이 설 연휴 특별 교통관리 대책을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공항만과 재래시장, 대형마트를 비롯해 명절 당일 양지공원에 가용인력을 집중 투입합니다. 또 연휴기간 한라산을 찾는 관광객과 등반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1100도로에 대해서도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주요도로와 상습정체구간 교통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교통신호체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교통경찰을 투입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합니다.
  • 2023.01.19(thur)  |  이현
  • POE Offer Middle School Students Laptops
  • Laptops will be provided to new middle school students this March.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cently held a council meeting to support the use of smart devic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scussed major schedules. The decision was made to provide laptops to new middle school students this March. Also, a briefing session will be held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July. 도교육청, 중학교 신입생 노트북 3월 지급 오는 3월 중으로 중학교 신입생들에게 노트북이 지급될 전망입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최근 중학생 스마트기기 활용 지원 협의회를 열고 주요 일정을 논의했습니다. 우선 오는 3월에 중학교 신입생에게 노트북컴퓨터를 지급하고 오는 7월에는 학생과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 2023.01.19(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