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ultural Artists' Salon Opens Next Month
  • Cultural Artists' Salon Opens Next Month It is a practice room with high ceilings and soundproofing facilities. It has individual practice rooms for up to three people and larger practice rooms that can accommodate 20 to 30 people at once. There are also reading rooms where actors can read scripts as well as dressing rooms. The Jeju Culture and Arts Foundation has remodeled this former cinema into a practice space for performing arts for cultural and artistic professionals in the province. INTERVIEW Hyeon Deok-jun / Jeju Culture and Arts Foundation, Jeju Art Platform Creation TF Team Leader We installed full-length mirrors on one wall of each practice room. This allows for free practice while looking in the mirror. This reflects the long-standing desire of the arts community for proper creative spaces. It will be open not only to cultural and artistic professionals registered with specialized organizations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who wish to perform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From next month until November, it will be operated for free on a trial basis, after which usage fees and operating hours will be finalized. Support for the operation will be received from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which operates performing arts practice spaces nationwide. However, there are also many points to be supplemented. Plans for a presentation stage were made, but the largest space had to be left vacant due to budget shortages. Additionally,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escalators cannot be used due to insufficient safety inspections. The annual operating cost exceeding 100 million won will need to be covered by provincial funds after five years, so measures for this are also needed. Despite the twists and turns, the cultural salon for Jeju artists is set to begin full operation, but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to be resolved to fulfill its initially expected role. '오랜 숙원' 문화예술인 사랑방 내달 문 연다 높은 천정에 방음시설이 된 연습실입니다. 3명 내외가 쓰는 개인 연습실부터 20,30명이 한꺼 번에 이용할 수 있는 크기의 연습실도 갖췄습니다. 연극인들이 대본을 읽어볼 수 있는 리딩실과 탈의실 등도 갖췄습니다. 제주문화예술재단이 과거 영화관이었던 이 곳에 리모델링을 거쳐 도내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공연예술 연습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인터뷰 현덕준 /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아트플랫폼조성TF팀장 ] 연습실마다 한쪽 벽면에 전면 거울을 설치해 놨습니다. 그래서 자유롭게 거울을 보면서 연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변변한 예술 창작 공간이 없다는 예술계의 오랜 숙원을 반영한 것입니다. 전문단체에 등록된 문화예술인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공연을 희망하는 일반인들에게도 개방될 예정입니다. 다음달부터 오는 11월까지 무료로 시범 운영한 뒤 이용료와 운영 시간 등을 확정할 방침입니다. 전국의 공연예술연습공간을 운영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부터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받게됩니다. 하지만 보완해야할 점도 적지 않습니다. 발표 무대 등을 계획했지만 예산 부족으로 가장 큰 공간을 비워두게 됐습니다. 또 에스컬레이터 등 이동 시설은 안전 점검 미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간 1억원이 넘는 운영비도 5년 이후부터는 지방비로 메워야해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해보입니다. 우여곡절 끝에 제주 문화예술인을 위한 사랑방이 본격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당초 기대했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 2024.07.22(mon)  |  이현
  • Jeju Wimi Village Fishing Grounds Open
  • The coastal area of Wimi-ri 2 in Seogwipo will be opened as an experience zone. According to Seogwipo City, the Wimi-ri (위미리) Village Association and Wimi-ri(위미리) Fishing Village Cooperative have decided to open the village fishing ground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 opening ceremony will be held on the 21st at 2 p.m. along with events, co-hosted by the Wimi-ri (위미리) Village Association and Fishing Village Cooperative. The open area spans approximately 630 meters eastward from the eastern end of Wimi(위미) Port and will be open year-round from sunrise to sunset. 위미2리 마을어장, '바릇잡이 체험장'으로 개방 서귀포시 위미2리 해안이 '바릇잡이 체험장'으로 개방됩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위미2리 마을회와 위미2리 어촌계는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을어장 개장을 결정했습니다. 이에따라 오는 21일 오후 2시 위미2리 마을회와 어촌계 공동 주관으로 바릇잡이 체험어장 개방 선포식과 체험행사를 진행합니다. 개방 구역은 위미항 동쪽 끝단에서 동쪽으로 약 630m 구간으로 일출 때부터 일몰때까지 연중 개방됩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Jeju Olle Fest Launches on Nov 7th
  • Jeju Olle Trail is accepting pre-registrations for this year's festival. According to Jeju Olle, this year's festival will be held from November 7 to 9 over three courses: Olle Course 14, 15-B, and 16. Pre-registration is available until October 11 through the official online application called ‘Olle Pass.’ The Jeju Olle Festival, now in its 14th year, is a moving festival where participants walk one course each day and enjoy cultural performances and food. 제주올레축제 11월 7일 개막…사전 참가 신청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올해 제주올레축제 일정을 확정하고 사전 참가신청을 받습니다. 제주올레에 따르면 이번 축제는 오는 11월 7일부터 9일까지 사흘동안 제주올레 14코스와 15-B코스, 16코스에서 열립니다. 사전 참가 신청은 10월 11일까지 제주올레 공식 애플리케이션 '올레패스'를 통해 가능합니다. 제주올레축제는 매일 한 코스를 걸으며 문화예술 공연과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이동형 축제로 올해로 14회째를 맞고 있습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JNU Sparks 'Algae-Powered Tech Revolution'
  • Researchers at Jeju University have successfully developed electronic devices from marine a brown algae known as Sargassum. Professor Jinho Bae's (배진호) team from the Department of Ocean System Engineering at Jeju Univers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Jeju Basic Science Research Institute and Jeju Sea Grant Center, were the first to successfully extract a new material from the sea that can be applied as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hese properties were applied to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emperature sensors, and electrodes for hydrogen production electrolysis cells, and the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global top-tier journal 'Nano Today' 제주대 연구진, 괭생이모자반 전자소자 개발 제주대학교 연구진이 바다의 괭생이 모자반을 전자소자로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 배진호 교수 연구팀은 제주대 기초과학연구소와 제주씨그렌트센터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제주 바다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괭생이 모자반에서 전자소재를 추출해 다양한 전기적인 특성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마찰전기 나노발전소자와 온도 센서, 수소 생산용 전해조의 전극 등에 적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저널인 나노 투데이 논문에 게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Surge in Local ‘Tamnaneunjeon’ Currency Usage
  • Since raising the point accumulation rate to 7%, the issuance and usage of local currency ‘Tamnaneunjeon(탐나는전)’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general recharge amount, excluding policy issuance such as farmers' allowance, reached 17.9 billion won last month, an increase of 2.3 billion won from the previous month. Usage also increased by 2 billion won to 24.9 billion won, a 9% increase from the previous month. This rising trend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maximum point accumulation rate for ‘Tamnaneunjeon(탐나는전)’ cards from 5% to 7%. In addition, 4.79 billion won worth of points were accumulat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3.88 billion won, or 81%, have been used so far. 적립률 상향 이후 탐나는전 발행·사용액 급증 탐나는전 가맹점의 결제포인트 적립률을 7%로 상향 조정한 이후 발행액과 사용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한달간 농민수당 등 정책발행을 제외한 일반 충전금은 179억 원으로 전달에 비해 23억 원 가량 증가했습니다. 사용액 역시 249억 원으로 전달에 비해 9%인 20억원 늘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탐나는전 가맹점 결제포인트 적립률이 기존 최고 5%에서 7%로 상향됐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올 상반기동안 적립된 결제 포인트는 47억 9천만 원으로 이 가운데 81%인 38억 8천만 원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Child Abuse Reoccurrences Increase
  • While the number of child abuse cases in Jeju is decreasing, the number of reoccurring cases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Jeju Women's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s report on measure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domestic child abuse in Jeju, the detection rate of abused children increased from 5.5% in 2019 to 6.5% in 2021, then decreased to 3.7% in 2022. However, the rate of recurring child abuse cases has shown an increase from 12.1% in 2019 to 11.8% in 2021, and 14.6% in 2022. The age group most affected by recurring child abuse was between 13 and 15 years old. Additionally, some perpetrators were found to have refused counseling for mental health issues and alcohol abuse. 제주 아동 재학대 피해 증가…사춘기 가장 많아 제주지역의 아동학대 사례건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재학대 사례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의 제주지역 가정 내 아동학대 재발 방지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아동발견율은 2019년 5.5%에서 2021년 6.5%로 증가했다가 2022년 3.7%로 줄었습니다. 하지만 아동학대사례 중 재학대 비율은 2019년 12.1%에서 2021년 11.8%, 2022년 14.6%로 늘었습니다. 특히 재학대 피해아동의 주된 연령층이 사춘기인 13살에서 15살이 가장 많았고 가해행위자가 정신질환과 알코올 중독으로 병원 진료가 필요하지만 상담이나 치료를 거부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아동학대 인식개선 강화와 재학대 피해아동 보호의 사각지대 개선 등을 정책과제로 제시했습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Over 10 Baby Dolphins Dead in an Year
  • Over the past year, more than 10 juvenil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have been found dead in the Jeju waters. The Jeju University Dolphin Research Team and Docu Jeju reported that from March last year to last month, 10 juvenil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died in the waters of Jeju, and on the morning of the 16th, another juvenile less than a month old was found dead. The research team urged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the living environment, stating that the death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are reaching catastrophic levels. "1년새 어린 남방큰돌고래 10마리 이상 폐사" 지난 1년 동안 제주에서 어린 남방큰돌고래가 10마리 이상 죽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대학교 돌고래연구팀과 다큐제주는 지난해 3월부터 지난 달까지 제주 해상에서 새끼 남방큰돌고래 10마리가 폐사했고 지난 16일 오전에도 태어난지 한달도 안된 어린 개체 1마리가 죽은채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재앙적 수준의 남방큰돌고래 폐사가 잇따르고 있다며 서식 환경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습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Illegal Accommodations on the Rise
  • llegal Accommodations on the Rise This is a video posted on social media. Guests at an independent pension in Jeju City are exploring the facilities available on site. Each room is furnished with beds and furniture that match the atmosphere. Guest This pension is nice! It even has an upstairs, a rooftop, and a terrace with a sky view. Even the bathroom. However, it turns out that this is actually an ordinary residential building. It was recently found to be an illegally operated, unregistered lodging facility. It is believed that guests were recruited using second-hand trading sites and online lodging-sharing platforms, charging around 100,000 won per night. Guest While moving my luggage, a resident asked how I found this place. When I thought about it, it was strange that they didn't provide the address immediately when I made the reservation. Later, I noticed that the reservation post had been deleted. Within the same townhouse complex, another building had been previously discovered to be operating as an unauthorized lodging facility. In Jeju, illegal accommodations have become alarmingly widespread. In the past three years, over 600 unregistered lodging facilities have been detected in Jeju City alone, and around 42% have been reported to the authorit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individuals posing as real estate rental brokers or aligning their stories with those of guests in an attempt to evade crackdowns. These pract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The problem is that unregistered lodging facilities are in a management blind spot. They are not subject to fire or hygiene inspections, increasing the potential for safety hazards. INTERVIEW Moon Ji-hwan / Representative, Jeju City Illegal lodging facilities are in a blind spot of the social safety net, including fire and hygiene issues, and there are concerns about crimes such as illegal filming. As the number of intelligent illegal operations disguised as rental businesses increases, we will strengthen our cooperation with local police. In anticipation of a surge in illegal accommodations during the busy summer season, Jeju City intends to intensify and coordinate efforts with local police and continue their monitoring activities. '펜션인 줄 알았는데' 불법 숙박업 기승 SNS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제주 시내 독채 펜션을 찾은 투숙객들이 내부 시설 곳곳을 구경합니다. 방마다 분위기에 맞춰 침대와 가구 등이 갖춰져 있습니다. <싱크 : 투숙객> 펜션 좋은데? 야 위층까지 있어 옥상도 있고 하늘 보이는 테라스도 있어. 화장실에. 하지만 알고 보니 이 곳은 일반 주거시설. 정식 신고 없이 운영해 오던 불법 숙박업소로 확인돼 최근 적발됐습니다. 중고 거래 사이트와 온라인 숙박 공유 사이트 등으로 투숙객을 모집해 하루에 10여만 원 받고 숙박업을 해 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터뷰 : 투숙객> 짐 옮기는데 여기 주민이 어떻게 알고 왔냐고 하더라고요. 생각해 보니까 예약할 때 주소도 바로 안 가르쳐 줘서 이상하긴 했는데. 나중에 보니까 예약했던 게시글도 삭제됐더라고요. 해당 타운하우스 단지 안에서는 과거에도 또다른 건물이 불법 숙박업을 하다 적발된 적이 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처럼 제주에서 불법 숙박업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미신고 숙박업소 적발 건수는 제주시에서만 6백 건이 넘고, 이 가운데 42% 가량은 사법기관에 고발조치됐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부동산 임대업을 가장하거나 단속을 피하기 위해 미리 투숙객들과 입을 맞추는 등 점차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등록 숙박업소의 경우 소방이나 위생 점검 대상에 포함돼 있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 문지환 / 제주시청 숙박업소점검팀장> (불법 숙박업소는) 화재 및 위생 등 사회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있고 또 불법 촬영 등 범죄 발생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임대업을 가장한 지능형 불법 영업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자치경찰단 등과의 공조 체계를 강화해 가지고…. 여름 성수기를 맞아 불법 숙박업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제주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자치경찰과 합동 단속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024.07.18(thur)  |  이현
  • Hygiene Inspections for Restaurant Deliveries
  • Jeju City will conduct intensive hygiene inspections on approximately 1,900 restaurants registered with food delivery apps until the end of the year. The inspections will focus on checking for the sale and use of expired food and the hygiene management of cooking facilities. Jeju City plans to provide guidance or take administrative action against establishments found in violation of relevant laws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s. 제주시, 배달앱 등록음식점 위생관리 점검 제주시가 연말까지 배달앱에 등록된 음식점 1천900여 개소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합니다. 이에 따라 소비기한 경과 식품 판매와 사용 여부, 조리시설 위생 관리 여부 등을 중점 확인합니다. 제주시는 점검 결과 위반 업소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현장 지도 또는 행정처분할 방침입니다.
  • 2024.07.15(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