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ebate Over Eased Penalties for Rock Smuggling
  • There is controversy over a proposed legal amendment that would ease penalties for attempted illegal sales and smuggling of Jeju's volcanic rocks and other protected resource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at the softened regulations, which were automatically discarded at the end of the last National Assembly, have been assigned for re-introduction in the 22nd National Assembly. Under the existing law, unauthorized sale or smuggling of protected resources, can result in up to five years in prison or fines up to 50 million won. The proposed amendment would impose a maximum of two years in prison or fines up to 20 million won for attempted offenses and related conspiracies. 제주 화산송이 밀반출 처벌 완화 법률개정 재추진 논란 제주 화산송이나 자연석 등 보존자원을 매매하거나 제주도 밖으로 밀반출하려다 미수에 그친 경우 처벌을 완화하는 법률 개정이 다시 추진되면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국회에서 임기 만료로 자동폐기된 처벌 규정이 완화된 제주특별법 개정안을 22대 국회 재추진 대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법안은 도지사의 허가를 받지 않고 매매하거나 반출하는 경우 미수 여부에 관계 없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완화된 개정안에는 보존자원 매매 또는 밀반출 미수범에 대해 처벌 근거만을 규정하고 예비. 음모범에 대해서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을 신설했습니다.
  • 2024.07.11(thur)  |  이현
  • Decline in Jeju Female Divers Continues
  • The number of Jeju Haenyeo (female women divers), recognized by UNESCO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rapidly declining. Provincial reports show that the number of haenyeo, which was around 5,800 in the year 2000, had decreased to about 3,900 by 2017, and further dropped to around 2,800 last year. This means that nearly 3,000 haenyeo have disappeared within a generation. The number of newly registered haenyeos also continues to decline, with 30 new divers in 2020, 28 in 2022, and just 23 last year. Factors such as low annual income, approximately 7 million won, and stringent requirements for new divers are cited as reasons for this decline. 무형유산 '제주 해녀' 매년 급감…신규해녀도 '뚝'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인 제주 해녀의 수가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천년, 5천 8백명에 달했던 제주 해녀는 2017년 3천 9백여 명으로 줄어든 이후 지난해에는 2천 8백여 명으로 한 세대도 안돼 약 3천 명이 사라졌습니다. 신규 등록 해녀는 2020년 30명에서 2022년 28명, 지난해에는 23명으로 해마다 감소하고 있습니다. 연간 7백만 원 수준의 낮은 소득과 까다로운 신규 해녀 가입 조건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2024.07.11(thur)  |  이현
  • Low Salt Water Discharged from Yangtze
  • With a rapid increase in freshwater discharge from China’s Yangtze River, the likelihood of low-salinity water inflow has grown, prompting authorities to strengthen monitoring systems. The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reports that the discharge from the Yangtze River has exceeded 72,000 tons per second, which is 50% higher than the average. They predict that due to ocean currents and wind patterns, this inflow could reach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sland in about a month. In response, a test survey vessel will be deployed approximately 100 km southwest of Jeju Island. This vessel will monitor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once a month, providing vital information to local fishermen. With sea temperatures projected to be 1 degree Celsius higher than average with high-temperature advisories expected to last over a month, the Institute plans to deploy mobile hospitals for fish farms to mitigate impacts. 중국발 저염분수 감시 강화…"수온도 평년보다 1도 높아" 중국 양자강 담수 유출량이 급증하면서 저염분수 유입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당국이 감시체계를 강화합니다. 해양수산연구원은 중국 양자강 유출량이 평년보다 50% 늘어난 초당 7만 2천톤을 넘고 있다며 해류나 바람에 의해 한달 뒤에는 제주 서남부 연안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 남서부 약 100km 해역에 시험조사선을 배치해 월 1회 염분과 수온을 관측해 어업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올해 바다 수온도 평년보다 1도 가량 높고 고수온 특보가 한달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연구원은 양식장 현장 이동병원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 2024.07.11(thur)  |  이현
  • Modified Delivery Fee Refund Program ‘Hit’
  • Modified Delivery Fee Refund Program ‘Hit’ Since September of last year, a program has been in place to support additional delivery fees to Jeju. The program provides an additional 3,000 won per delivered item, up to a maximum limit of 60,000 won per person. Despite expectations, the number of users of the program last year was lower than expected. Approximately 20,800 users took advantage of the support, which totaled around 780 million won. But this month, there has been a surge in applications for the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This is due to a simplified applic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revious process of entering one’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has been streamlined, allowing users to input their details just once. The fixed support amount of 3,000 won per application was also eliminated, facilitating the full reimbursement of actual incurred costs. INTERVIEW Yi Yeong-mi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Last year, we provided a fixed amount of KRW 3,000 per application, but this year, we will support the full amount of actual expenses upon verification.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online application process for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surge in the number of active users. This month, 45,000 applications were received within five days, averaging 9,000 per day. This is more than double the daily average of 3,500 applications received through community centers since March. In Jeju, there are no age restrictions on applying for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Furthermore, the required documents for both in-person and online applications have been simplified. Proof of additional delivery fee payments and payment details are the only required documents. However, each person’s annual support is capped at 400,000 won. To address the increased demand, the province has secured a budget exceeding 6 billion won. This will alleviate any immediate concerns about a premature depletion of allocated funds. 택배 추가 요금 신청 간소화에 폭증 지난해 9월부터 제주에는 택배 추가 배송비 지원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택배나 우편물 추가 배송비를 한건당 3천원씩 1인당 최대 6만원 한도내에서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기대만큼 이용자 수는 많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택배 추가 배송비 이용자는 2만 8백여명으로 지원액은 7억 8천여만원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이달 들어 택배 추가 배송비 지원 신청이 폭증하고 있습니다. 택배 추가 배송비 신청 절차가 간소화됐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추가 배송비를 신청할 때마다 입력해야 했던 개인정보를 한번만 입력하도록 개선됐습니다. 또 택배비 지원액도 한번에 3천원씩 정해졌었지만 올해부터 가격 제한도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영미 / 제주도 물류총괄팀장 ] 작년에는 (신청)건당 3천원 정액으로 지원을 했었는데 올해는 실비를 증빙을 하시면 실비 전액을 지원하게 됩니다. 온라인을 통한 추가 택배비 지원 신청이 간편해지면서 실제 이용자는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닷새만에 4만 5천여 건이 접수되는 등 하루 평균 9천여 건에 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부터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접수된 신청건수가 하루 평균 3천5백여 건이 것과 비교하면 갑절 이상 늘어났습니다. 제주지역은 추가 택배비 지원 신청 대상에 나이 제한이 없습니다. 필요한 서류도 방문 접수나 온라인 접수 역시 신청자의 추가 택배비 지불 내역과 결제 내역을 증빙할 서류만 제출하도록 간편해졌습니다. 다만 1인당 연간 4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추가 택배비 신청이 크게 늘어날 것에 대비해 60억원 이상의 예산을 확보해 예산 조기 소진 우려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 2024.07.11(thur)  |  이현
  • Jeju Hosts Gender Equality Contest
  • Jeju City is holding a gender equality drawing and photo diary contest until the 22nd. Participants can submit a drawing or photo accompanied by text on a single page on the theme of gender equality, using either a free format or an attached template. Anyone can participate regardless of region or age, and submissions can be made in person, by mail, or via email. Jeju City plans to select winners in various categories next month and use the submissions for exhibitions and various gender equality promotional materials during Gender Equality Week in September. 제주시, 양성평등 그림·사진일기 공모전 개최 제주시가 오는 22일까지 양성평등그림과 사진일기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공모전은 양성평등과 관련한 자유 주제로 자유형식 또는 첨부양식을 사용해 그림 또는 사진을 글과 함께 한 장에 표현하면 됩니다. 지역과 나이에 관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방문과 우편, 이메일 등을 통해 접수하면 됩니다. 제주시는 다음달 부분별 수상작을 선정하고 오는 9월 양성평등주간에 전시와 함께 각종 양성평등 홍보자료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 2024.07.08(mon)  |  이현
  • Jeju Inspects Travel Agencies, Finds Violations
  •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Jeju City government inspected 154 travel agencies and identified 19 companies that violated relevant laws. The violations included failure to enroll in guarantee insurance and failure to secure office space, resulting in 21 administrative actions being taken. Jeju City plans to continue its ongoing inspections of tourism businesses to minimize inconvenience to tourists and ensure a safe travel environment. 제주시, 상반기 여행업체 지도점검 마무리 제주시가 여행업체 154개소를 대상으로 상반기 지도점검을 실시해 19곳의 관련법 위반 업체를 적발했습니다. 위반 내용은 보증보험 미가입과 사무실 미확보로 인한 등록기준 부적합 등으로 모두 21건에 대한 행정처분이 이뤄졌습니다. 제주시는 앞으로도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관광객 불편 최소화와 안전한 여행 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지도점검을 실시할 방침입니다.
  • 2024.07.08(mon)  |  이현
  • Jeju Offers Free Online Courses
  • You can now access various paid lectures, such as those for social workers or civil service exams, for free anytime and anywhere. Jeju has announced that it will offer over 300 online courses for national technical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s, employmen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kills for free through the Jeju Lifelong Education Damoa system. The educational courses include 276 lectures related to national technical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s and employment, as well as 29 IT courses. Those who wish to use the service can access the Jeju Lifelong Education Damoa website, sign up as a member, and select the desired course to take. 자격증·취업준비 온라인 강의 무료 제공 사회복지사나 공무원시험 등 다양한 유료 강의를 언제 어디서나 무료로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제주도는 제주평생교육다모아 시스템을 통해 300여 개의 국가기술과 전문자격증, 취업, 정보통신 활용 전문 온라인 교육 과정을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 과정은 국가기술과 전문가격증, 취업 관련 276개 강좌와 IT 활용 전문과정 29개 강좌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용을 희망할 경우 제주평생교육다모아 누리집에 접속해 회원가입 후 원하는 교육을 선택해 수강하면 됩니다.
  • 2024.07.08(mon)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Drop, Nation Rises
  • This month, apartment prices in Jeju continue to decline, while the nationwide trend shows a clear increase.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Board, the sale prices of apartments in Jeju fell by 0.03%, and the rental prices by 0.02%, in the first week of the month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In contrast, the national average apartment sale prices rose by 0.03%, and rental prices by 0.05%, showing an increasing trend. The real estate industry analyzes that high interest rates and economic recession have weakened buying sentiment, and in Jeju, the sharp increase in unsold homes is contributing to the continued decline in housing prices. 이달 아파트 가격도 내림세…전국 상승세 뚜렷 이달 들어서도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이 내림세를 유지한 반면 전국은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주 제주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전세가격은 0.02% 각각 하락했습니다. 반면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전세가격은 0.05% 오르는 등 상승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매수심리가 위축됐고 제주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면서 주택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4.07.08(mon)  |  이현
  • Jeju Schools Overcrowded, Need Reform
  •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Jeju has reached the highest level nationwide, prompting calls for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Jeju Secondary School Teachers Association, the number of first-year students per class at eight high schools in Jeju City, including Jungang(중앙) Girls' High, is around 30, surpassing the national city average of 22.5 students. Based on last year's data, Jeju ranks first among 17 provincial and metropolitan education offi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high school class, third in middle schools, seventh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 in kindergartens. The Jeju Secondary School Teachers Association points out that this situation increases the burden on teachers. However, they criticize the Jeju education authorities for focusing on establishing a new deputy superintendent position, rather than expanding the number of teachers, and are calling for improvements. 학급당 학생수 전국 최고...교육환경 '열악' 제주지역 학급당 학생수가 전국 최고 수준에 이르러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제주중등현장교사모임에 따르면 올해 중앙여고 등 제주시 동지역 평준화고 8개교의 1학년 학급당 학생 수는 30명 내외로 전국 대도시 평균인 22.5명을 웃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학급당 학생수를 보더라도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가운데 고등학교는 1위, 중학교 3위, 초등학교 7위, 유치원은 2위로 나타났습니다. 이에따라 중등현장교사모임은 이로 인해 교사들의 생활기록부 작성이나 수업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지만 제주교육당국은 교사 확충 등에 기울이기 보다 부교육감 신설 등 다른 부분에 신경을 쓰고 있다며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 2024.07.08(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