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Introduces QR Bus Payment
  • Jeju is introducing a QR code payment system for bus fares, which would be the first in the nation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ector. The initiative aims to facilitate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foreign tourists which would alleviate challenges in purchasing transportation cards. The system setup is planned to start as early as next month.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payment systems for traditional markets, foreign tourists' use of travel cards increased by 16 times. The new system is expected to boost foreigners'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전국 최초 버스 요금 QR코드 결제시스템 도입 제주특별자치도가 대중교통 분야에 현금 없는 버스에 이어 전국에서 최초로 버스 요금의 QR코드 결제시스템을 도입합니다. 교통카드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 관광객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빠르면 다음달부터 도입하기 위해 관련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재래시장에 제로페이, 알리페이를 도입한 후 외국인 관광객의 카드 사용량이 16배나 증가한 만큼 이같은 제도 도입으로 외국인의 대중교통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제주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4.07.08(mon)  |  이현
  • Cooling Down in the Sweltering Heat
  • Cooling Down in the Sweltering Heat Panpo Port, one of the major water play spots on the island, is crowded with vacationers. People cool down by swimming or floating on tubes and waves. Some people leisurely enjoy paddle boarding and snorkeling by the sea. Thanks to the shallow water, children are deeply immersed in water play, losing track of time. INTERVIEW Han Ji-su, Han Ji-ho / Gimpo, Gyeonggi Province It was really nice to swim and play with my sibling because it's so hot. It was so hot that we were sweating, but the cool water made all the sweat disappear. As the heatwave continues in Jeju, the flow of vacationers has been constant throughout the day. In Jeju, the heatwave warnings continue as daytime temperatures exceed 30 degrees Celsius, especially in the northeastern region. Due to this, major vacation spots such as forest retreats and beaches have been bustling with locals and tourists even before the peak summer vacation season begins. INTERVIEW Kim Ji-su, Sun Ho / Pohang, Gyeongbuk Province We came here for a wedding photoshoot and decided to stay and play because it was so hot. We wanted to come to the beach because it was so hot, and the water is so clean and beautiful. We were worried because they said it would rain a lot, but the weather cleared up, and it's great. The perceived temperature is expected to remain above 33 degrees Celsius, and also tropical nights with minimum temperatures over 25 degrees Celsius are also expected to continue. Therefore, attention to health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heat-related illnesses is require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advised refraining from outdoor activities during severe heat and ensuring sufficient hydration and rest. "찜통더위 식히자"…피서객 '북적' 도내 주요 물놀이 장소 중 한 곳인 판포포구가 피서객들로 북적입니다. 직접 수영을 하는가 하면 튜브와 파도에 몸을 맡긴 채 더위를 식힙니다. 한편에서는 바다를 벗삼아 패들보드와 스노클링을 즐기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냅니다. 낮은 수심 덕에 어린아이들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물놀이에 푹 빠졌습니다. <인터뷰 : 한지수 한지호 / 경기 김포> 더운 김에 이렇게 수영하고 동생이랑 노니깐 진짜 좋았어요. 오늘 더워서 땀까지 났는데 시원해서 땀이 다 사라졌어요. 제주에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하루 종일 피서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제주는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30도를 넘어서면서 폭염특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휴양림과 해수욕장 등 대표 피서지들은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도민과 관광객들로 활기를 띄었습니다. <인터뷰 : 김지수 선 호 / 경북 포항> 웨딩 촬영하러 왔다가 지금 놀러 오게 됐는데 너무 덥기도 하고 그래서 바닷가 오고 싶어서 왔는데 물도 너무 깨끗하고 예쁘고 좋은 것 같아요. 장마 온다 해서 걱정 많이 했고 비도 많이 온다 했었는데 그래도 여기 오니깐 날씨가 맑아져서 너무 좋은 것 같아요. 당분간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유지되고 밤 최저기온이 25도가 넘는 열대야 현상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온열질환 예방 등 건강관리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기상청은 폭염이 심할 때는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필요하다가 당부했습니다.
  • 2024.07.08(mon)  |  이현
  • Seogwipo's Earthing Square Thrives
  • Earning positive feedback, the ‘Earthing Square’ in Seogwipo City, the first of its kind to be established in the nation last year, has reached its first anniversary with up to 450 visitors per day. According to Seogwipo City, the Earthing Square has attracted an estimated 68,000 visitors in the year since its opening. The square, which opened in January last year as part of the Healthy City initiative, was developed with an investment of 139 million won in a rainwater storage area. It provides a space for barefoot walking. To enhance visitor satisfaction, Seogwipo City is implementing additional features, including landscape lighting, sunshades, and a nighttime photo zone. 서귀포시 황토 어싱광장 1년, 6만 8천명 방문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서귀포시에 조성된 황토 어싱광장이 개장 첫돌을 맞은 가운데 하루 방문객이 최대 450명에 이르는 등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어싱광장은 개장 이후 1년 동안 방문객은 6만 8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어싱광장은 지난해 1월 건강도시만들기사업의 일환으로 1억 3천900만 원을 투입해 우수 저류지에 만들어진 황토 맨발걷기 운동 공간입니다. 서귀포시는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경관조명과 차양막, 야간 포톤존 등의 설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Jeju Hosts Global Dance Fest on the 20th
  • The 2nd Jeju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will open on the 20th and run for 9 days until the 28th, taking place in various locations throughout the island including the Jeju Art Center, Jeju Mokgwana(목관아), and Olle Trails. This years theme is "Resort Dance Festival, Dancing Island Jeju.” This year’s dance festival will feature performances from around 100 dancers from 95 countries including Germany, Italy, and Portugal. Highlights include performances that reinterpret Jeju folk songs and dances, programs that involve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and ballet workshops tailored for young people. Reservations for performances can be made through the Jeju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website, and admission is free of charge. 제2회 제주국제무용제 20일 개막…9일간 열려 제2회 제주국제무용제가 오는 20일 개막해 28일까지 9일 동안 제주아트센터를 비롯해 제주목관아와 올레길 등 제주 곳곳에서 펼쳐집니다. '휴양지 무용예술 축제, 춤 추는 섬 제주'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무용제에는 독일과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9개국에서 100여 명의 무용수들이 참가해 다양한 공연을 선보입니다. 특히 제주 민요와 춤을 접목시켜 새롭게 해석한 공연과 마을주민과 휴양객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 제주 청소년들을 위한 발레 워크숍 등이 마련됩니다. 공연 관람은 제주국제무용제 누리집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관람료와 참가비는 없습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Jeju Launches Mental Health Response Center
  • A specialized center has been established, staffed by police and relevant agencies to quickly address mental health emergencies. Jeju along with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eld an inauguration ceremony for the Mental Health Emergency Joint Response Center, the seventh facility of its kind to operate in the nation. The center is staffed 24/7 by the police. The center crisis response team will provide one-stop services ranging from on-site dispatch to initial counseling in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The number of mental health emergency hospitalization cases handled by the Provincial Police Agency surged from approximately 190 in 2022 to more than 420 last year, more than doubling in number. 정신 건강 응급상황 '원스톱'…합동 대응센터 개소 정신건강 관련 응급상황에 경찰과 관련 기관이 상주하며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경찰청은 정신응급 합동 대응센터 개소식을 열고 전국에서 7번째로 시설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대응센터에는 경찰과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위기대응팀이 24시간 상주하면서 정신과적 응급 상황 발생시 현장 출동과 초기 상담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제주경찰청이 연계 처리하는 정신건강 응급입원 의뢰 건수는 지난 2022년 190여 건에서 지난해 420여 건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Jeju Expands Housing Rental Support
  • Jeju has broadened its housing deposit return guarantee program, initially launched last year. The project, originally launched to secure Jeonse deposit refunds,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all ages. In addition, the income requirements have been relaxed. Eligibility is for provincial tenants who do not own their own homes and have a rental deposit below 300 million won. Income limits are set at up to 50 million won for young individuals, 60 million won for older households, and under 75 million won for newlyweds within seven years of marriage. Support for the guarantee fee is capped at 300,000 won, with young people and newlywed couples eligible for the full amount, while other tenants receive 90% coverage.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 전 연령 확대 제주도가 전세피해 예방을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을 전 연령으로 확대하고 소득요건도 완화합니다. 대상은 도내 임차보증금 3억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무주택 임차인으로 부부 합산 연소득이 청년 5천만 원 이하, 청년 외 가구는 6천만 원, 혼인신고 7년 이내 신혼부부는 7천 500만 원 이하입니다. 보증료 지원은 최대 30만 원 범위에서 청년 또는 신혼부부의 경우 보증료 전액을, 청년 외 임차인은 보증료의 90%입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Jeju Continues to Reduce Roads for Pedestrians
  • Plans are underway to further expand the initiative of reducing road widths to increase pedestrian pathways. Jeju Province has announced plans to enhance pedestrian environments on new urban roads by expanding sidewalks, based on traffic surveys, to create more people-centered spaces. Additionally, additional bicycle paths along with amenities will be made available in resting areas to encourage walking and jogging. The plan also includes the use of 3D simulation technologies to design virtual environments that replicate actual roads, enhancing residents' understanding and ensuring efficient project execution. 시내권 관통 신설 도로 '다이어트 사업' 확대 도로 폭을 줄이고 보행로를 확대하는 이른바 도로 다이어트 사업이 최근 첫 선을 보인 가운데 앞으로 이같은 사업이 확대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앞으로 시내권을 관통해 신설하는 도로의 경우 교통량 조사결과에 따라 보도를 확장해 사람 중심으로 보행환경을 개선합니다. 또 도민들의 쉼터를 중심으로 걷기와 조깅이 편리하도록 하고 자전거도로를 조성합니다. 이와 함께 3D 시뮬레이션 기술을 도입해 설계도면을 영상화. 입체화 하고 실제 도로와 유사한 가상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주민 이해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업을 추진한다는 구상입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Jeju Tourism Price Study Launched
  • Jeju launches research to tackle overcharging issues in tourism, led by the Fiscal Economic Forum. The Province's Assembly Research Group, the Fiscal Economic Forum, announced it would pursue a research service to diagnose tourism prices in the Jeju region and offer policy implications. The research service will be conducted by the Corporation for the Korea Regional Innovation Research Institute, which will diagnose tourism fees and propose feasible follow-up measures at the level of Jeju Province. Representative Park Ho-hyung (박호형)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the increasing negative perceptions surrounding Jeju's tourism sector. He emphasized that the assembly would actively use the research service's findings to address and resolve the issues. 바가지 논란 검증' 관광물가 진단 연구 추진 제주관광에 바가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를 검증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단체 재정경제포럼은 제주지역 관광물가 진단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 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용역은 사단법인 한국지역혁신연구원이 맡아 관광 물가를 진단하고 제주도 차원에서 실천가능한 대응과제를 제시하게 됩니다. 박호형 대표의원은 최근 제주관광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이 우려된다며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의회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4.07.04(thur)  |  이현
  • National Jeju Trauma Healing Center Launches
  • National Jeju Trauma Healing Center Launches The Jeju 4.3 Trauma Center, which has undergone a significant upgrade and is officially designated the National Jeju Trauma Healing Center, is now in operation. The trauma center specializes in treating victims of state violence, such as the civilian victims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nd the Korean War. The healing center is equipped with counseling rooms and physical therapy rooms for various programs that help victims overcome mental and physical challenges and reclaim their daily lives.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Jeju 4.3 Trauma Center has provided 68,000 healing services to over 1,500 victims, including 64 surviving victims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INTERVIEW Kim Minjae / Deputy Minister,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We have only secured 50% of the operating budget. Despite our effort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ade various excuses. It's the economic departm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situation. Although the center has been upgraded to a national level and is now operated by the government, challenges remain. There are concerns about whether the center can fulfill its role due to inadequate national funding.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citing laws that allow local governments to also subsidize operating costs, has shifted about half the financial burden to the province. INTERVIEW Oh Young-hoon / Jeju Governor I believe the state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tunately,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shares our position, and I recently discussed this issue with the Deputy Prime Minister of Economy. However, I think the support of the National Assembly is needed. The center plans to conduct visiting healing services and identify and support unregistered potential victims, but securing the necessary budget is key. INTERVIEW Oh In-kwon /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for Surviving Victims and Disabled Persons of Jeju 4.3 Incident Many surviving victims are elderly and cannot visit the trauma center for healing due to their advanced age. A bill to amend the Trauma Center Act to ensure full national funding of operating costs is currently pending. However, if the bill does not pass quickly, the trauma center may encounter operational difficulties.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healing center dedicated to helping the victims of state violence and facilitating their recovery within the community, significant hurdles remain. 국립 제주 트라우마치유센터 출범....과제도 산적 제주 4·3트라우마센터가 국립 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로 승격돼 본격 운영에 들어갑니다. 트라우마센터는 제주 4.3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등 국가 폭력의 피해자들을 전문적으로 치유하는 기관입니다 치유센터에서는 상담실과 물리치료실 등을 갖춰 피해자들이 정신적·신체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일상으로의 삶을 회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앞서 4년간 시범 운영된 4.3트라우마센터에는 제주4.3 생존희생자 64명을 비롯해 천5백여 명을 대상으로 6만8천여 건의 치유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싱크 김민재 / 행정안전부 차관보 ] 운영비라든지 50% 밖에 저희가 확보를 못 했고요. 행안부가 나름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기재부가 이 핑계 저 핑계대서 기재부라고 하기는 좀 그런데요 하여튼 경제 부처가 좀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국립트라우마센터로 승격돼 정부가 운영을 맡게 되지만 과제도 남아 있습니다. 국비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제역할을 할 수 있을지 우려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지방자치단체도 운영비를 보조할 수 있다는 관련 법 조항을 내세워 운영비 절반 가량을 제주도에 떠넘겼습니다. [싱크 오영훈 / 제주도지사 ] 국가가 저는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행히 행정안전부는 우리의 입장에 함께 뜻을 해주고 있고 제가 최근 경제부총리를 만나서 문제에 대해서 다시 얘기했습니다만 아무래도 국회의 힘이 필요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치유센터는 방문 치유 서비스와 아직 등록되지 않은 잠재적인 피해자 발굴과 치유를 위한 사업도 진행할 예정인데 예산 확보가 관건입니다. [인터뷰 오인권 / 제주4.3 생존희생자후유장애인협회장 ] 생존 희생자 같은 경우에는 고령의 나이가 되셔서 너무나 연로해서 트라우마 센터를 방문해서 치유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지 못합니다. 현재 국가가 운영비를 전액 부담하도록 트라우마센터 법을 개정하는 법률안이 발의된 상탭니다. 하지만 법안 통과가 속도를 내지 못하면 트라우마센터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국가 폭력 피해자들의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덜어내고 공동체로의 온전한 회복을 돕기 위한 치유센터가 문을 열었지만 넘어야할 산도 적지 않습니다.
  • 2024.07.04(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