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Taxi Fares Set to Increase
  • The basic fare for medium-sized taxis in Jeju will be increased from the current 4,100 won to 4,300 won. The basic fare for small taxis will rise from 2,900 won to 3,000 won, and for large taxis, from 5,500 won to 6,000 won. This fare increase is a follow-up measure based on a decision made by the Price Strategy Committee last October. Initially, the committee discussed raising the basic fare for medium-sized taxis to 4,300 won but settled on 4,100 won. The remaining unimplemented increase of 200 won was decided to be reflecte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이달부터 중형택시 기본요금 4,300원으로 인상 제주도내 중형택시 기본요금이 현행 4,100원에서 4,300원으로 인상 적용됩니다. 소형택시 기본요금은 2,900원에서 3,000원으로 대형택시는 5,500원에서 6,000원으로 조정됩니다. 이번 요금인상은 지난해 10월 물가대책위원회에서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4,300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논의했으나 4,100원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미인상분 200원은 올해 상반기에 반영하기로 의결한데에 따른 후속조치입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 Sees Drop in Industry and Spending
  • Industrial activity and consumer spending in Jeju showed a slowdown in May.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industrial production in Jeju decreased by 2.1% and shipments decreased by 6.6%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While metals increased, decreases in electricity, communications, and non-metallic minerals led to a downturn within just one month. Additionally, the index of sales at large retail outlets, a marker of local consumption, slightly decreased by 0.4%, marking a continuous decline for two consecutive months. 제주 산업활동 위축…생산·출하·소비 동반 감소 지난5월 제주지역 산업활동과 소비가 모두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5월 도내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2.1%, 출하는 6.6% 각각 줄었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금속가공 등에서 증가한 반면 전기·통신과 비금속광물 등이 줄며 한 달 만에 감소 전환했습니다. 도내 소비 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0.4% 소폭 줄어들며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s Unsold Home Inventory Drops
  •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umber of unsold homes in Jeju, which had been at record-high levels, has sligh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of last May, the number of unsold homes in Jeju was 2,696, a 5% decrease from the previous month. Among these, the number of unsold homes classified as malignant, meaning those that have not been sold after completion, decreased by 3.1% to 1,202 homes. Additionally, the number of transactions in the province was 529, a 2.9% increase from the previous month but a 13%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indicating that the real estate market continues to be sluggish. 미분양주택 2,696호…전월 대비 5% 감소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는 제주지역 미분양주택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5월 제주도내 미분양주택은 2천 696호로 한 달 전과 비교해 5% 감소했습니다. 이 가운데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주택은 1천202호로 3.1% 줄었습니다. 이와 함께 도내 주택매매거래량은 529호로 전월 대비 2.9% 증가했지만 전년 동월보다는 13% 감소해 계속해서 부동산 거래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 to Host APEC Meetings Decentralized
  • The Jeju Provincial Council has welcomed the government's decision to decentralize the hosting of next year's APEC summit. Kim Kyung-hak(김경학), the Chairman of the Jeju Provincial Council, announced in a press release that the 2025 APEC Preparatory Group and Jeju Province will begin discussions on concrete measures related to decentralized meeting hosting. He urged Jeju to attract more meetings through close cooperation to promote Jeju’s value globally. He added that the council would also contribute its efforts. Previously, Chairman Kim had urged to decentralize the APEC summit in Jeju after Gyeongju (경주) was tentatively decided as the venue on the 21st. APEC 정상회의 제주 분산 개최 환영 제주도의회가 정부의 내년 APEC 정상회의의 분산 개최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2025 APEC 준비기획단과 제주도가 회의 분산 개최와 관련해 구체적 방안에 대한 협의를 시작할 예정으로 알려졌다며 제주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을 통해 보다 많은 회의를 유치해달라고 제주도에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의회도 힘을 모아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김 의장은 지난 21일 APEC 정상회의 개최지로 경주가 잠정 결정되며 제주 분산 개최를 촉구한바 있습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 Reports Spike in Pertussis Cases
  • Jeju has seen an increase in cases of pertussis, an acute respiratory infection. According to the Province, 58 patients have been reported in Jeju this year, 55 of which were concentrated in this month alone. The rise in cluster infections in schools has been particularly notable. Jeju's public health authorities have urged personal hygiene measures, including mask-wearing and hand washing. They also advise anyone with symptoms such as coughing to immediately visit a medical facility for consultation. 급성 호흡기 감염병,백일해 환자 증가세 급성 호흡기 감염병인 백일해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제주에서 모두 58명의 환자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55명이 이달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학교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 방역당국은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 등 개인 위생을 철저하게 지키고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의료 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 April 3rd Compensation Begins
  • Jeju is accepting applications this month for the 5th round of compensation for victims of the April 3rd Incident. This round is targeted at 2,700 individuals, and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through the end of this year. To apply for the compensation, applicants must bring their ID and required documents to their local district office or visit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or administrative city offices. To date, compensation amounting to 339.5 billion won has been paid to approximately 4,400 victims. Meanwhile, the Province plans to consolidate the previously dispersed April 3rd support offices, moving them to the former Jeju Police Station's welfare building starting from the 9th of this month. 4.3희생자 보상금 5차 접수…2천 700명 대상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달부터 5차 4.3희생자 보상금 대상에 대한 신청을 받습니다. 이번 5차 신청 대상은 2천 700명이며 접수는 올 연말까지입니다. 보상금 신청은 신분증과 필요 서류를 지참해 읍면동 주민센터나 제주도, 행정시를 방문해 접수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희생자 4천 400여명에 대한 청구권자에게 3천 395억 원의 보상금이 지급됐습니다. 한편 제주도는 그동안 분산 운영되던 4.3 지원과를 오는 9일부터 옛 제주경찰청 건물의 후생관으로 통합 이전할 예정입니다.
  • 2024.07.01(mon)  |  이현
  • Unauthorized Departures via 'Detour Routes'
  • Unauthorized Departures via 'Detour Routes' An employee checking the identity of a ferry passenger stops a man. He was a Chinese national who came to Jeju visa-free and was attempting to leave for another region to find work without authorization. After contacting a broker through social media and paying hundreds of thousands to millions of won for a forged ID, he attempted to board a ferry but was caught earlier this year by a joint investigation team from the prosecution and immigration office. At that time, nine Chinese nationals and 13 brokers were arrested and brought to trial. While attempts to leave unauthorized through large ships and passenger terminals were thwarted, small-scale ports and fishing boats in rural areas are becoming alternative detour routes. In October last year, a Chinese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left Jeju on a fishing boat from this location. Three months before the crime, he disguised himself as a tourist to enter Jeju visa-free and meticulously prepared for the crime by selecting the departure location and boat through brokers. As crackdowns centered on Jeju Port and passenger terminals intensified, they targeted rural areas where surveillance is relatively lax. The Jeju Coast Guard and related agencies did not even realize the departure for several months. INTERVIEW Crew Member In the rural areas, they transport them. The shipowners take money to do it in places where there are no people. They get paid per person. Is it free? They go for money. Mr. A arrived in (여수) Yeosu by fishing boat and continued working as a sailor until he was arrested by the Yeosu coast guard, who had received intelligence, on the 12th. Four others, including a broker for Chinese migrant women, an assistant who helped them board the fishing boat, and a captain who employed them as sailors, were also sent to the prosecution. With the confirmed case of unauthorized departure by fishing boat from rural ports,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inforce the surveillance system. 단속 피해 읍면 항구로?…무단이탈 '우회 통로' 여객선 승객 신원을 확인하던 직원이 한 남성을 멈춰 세웁니다. 무사증으로 제주에 온 중국인으로 취업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가려던 무단이탈 사범이었습니다. SNS로 브로커와 접촉 후 수백에서 수천만 원을 주고 위조된 신분증으로 여객선을 타려다 올초, 검찰과 출입국외국인청 합동 수사망에 걸린 겁니다. 당시 중국인 9명과 브로커 등 13명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대형 선박과 여객 터미널을 통해 무단 이탈을 시도하려던 사범들이 검거된 가운데 읍면 소규모 어항과 어선들이 또 다른 우회통로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이 곳에서 30대 중국인 A 씨가 어선을 타고 제주를 빠져 나갔습니다. 범행 3개월 전 관광객으로 위장해 무사증으로 제주에 왔고 알선책을 통해 이탈 장소와 선박을 물색하는 등 사전에 치밀하게 범행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항과 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단속이 강화되자 상대적으로 단속망이 느슨한 읍면지역을 노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제주 해경을 포함한 관련 기관에서는 수개월이 지나도록 이탈 여부 조차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씽크:조업 선원> 촌에서 아무래도 실어나가지. 사람도 없는 곳에서 그러니까 돈 받고 하는 거지 선주들이. 1명 당 얼마씩 받고 해주는 거지. 공짜로 갑니까? 돈 받고 가는 거지. A 씨는 어선을 타고 여수에 도착한 뒤 최근까지 선원 생활을 하다, 지난 12일 첩보를 입수한 여수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중국인 이주여성 알선책과 어선에 태워 이탈을 도운 조력자 그리고 선원으로 고용한 선장 등 네 명도 함께 검찰로 송치됐습니다. 읍면지역 항구에서 어선을 타고 무단 이탈한 사례가 확인되면서 구멍 뚫린 단속망에 대한 보완이 시급해 보입니다.
  • 2024.07.01(mon)  |  이현
  • Jeju Tackles Overpricing at Beaches
  • Jeju City is addressing the issue of excessive pricing at seasonal beach restaurants by implementing inspections. To ensure fair pricing, the city will review and regulate the menus and prices at seasonal food establishments before they open. These establishments are also required to display banners outside, clearly displaying prices to all customers. Seasonal food establishments are set to operate a total of nine businesses at seven locations, including Iho, Hamdeok, and Conan Beach, with nine businesses total planned. '바가지 근절' 해수욕장 계절음식점 지도 점검 제주시가 해수욕장 계절음식점을 대상으로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해 지도 점검에 나섭니다. 이에따라 계절음식점들을 대상으로 메뉴와 가격을 사전에 확인하고 조정해 적정 요금을 받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또 외부에서 요금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현수막 게시 요령을 지도할 예정입니다. 계절음식점은 이호와 함덕해수욕장, 코난해변 등 모두 7개 지역에서 9개 업소가 운영될 예정입니다.
  • 2024.06.26(wed)  |  이현
  • Jeju Banks Open Heat Shelters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perates heatwave shelters in collaboration with NongHyup Bank and Jeju Bank. The shelters are open on weekdays from 9 a.m. to 4 p.m. at 22 NongHyup branches and 25 Jeju Bank branches. Jeju will install signage at each branch and provide heat relief supplies for visitors. In addition, the province is planning to continue operating these shelters during the winter, to protect against the cold. 제주도-농협-제주은행, 무더위 폭염 쉼터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가 농협은행, 제주은행과 함께 폭염 대비 쉼터를 운영합니다. 폭염 대비 쉼터는 농협 22개 지점과 제주은행 25개 지점에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됩니다. 제주도는 각 지점에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방문객을 위한 폭염 대비 물품을 지원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같은 은행권 폭염 쉼터를 겨울철 한파에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 2024.06.26(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