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사주고 · 팔아주고' 되풀이…대책 없나?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19.12.13 17:08
영상닫기

1. 감귤가격 비상... 격리조치까지

제주도가 노지감귤 가격이 떨어지자,
감귤을 사들여 인위적으로 출하량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이 같은 시장 격리 사업은
감귤 뿐 아니라 농작물마다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데요,

이번 주 집중진단에서는
제주도의 1차 산업 출하 정책의 실효성을
짚어봤습니다.

김용원 양상현 기자입니다.

올해산 노지 감귤 가격 추이가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 9월 서울 가락동 시장에
출하한 노지감귤은 첫 판매 당시
5kg 평균 도매가격이 8천 8백 원에서
지난 12일에는 5천 3백원까지
추락했습니다.

3개월 사이 무려 40%나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해도
36% 이상 가격이 무너졌습니다.

감귤 출하물량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10% 이상
줄었는데, 가격은 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노지감귤이 고전하자,
또 제주도가 개입하게 됐습니다.

5년 만에 다시 감귤을
출하량을 인위적으로
줄이기로 한 것인데요.

60억 원을 투입해
상품 가운데 가장 규격이
큰 2L 사이즈 감귤 2만 톤을
설 명절까지 사들인 뒤
보관하는 시장 격리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감귤 뿐 아니라 주요 월동 채소도
가격이 떨어지거나 과잉생산이 우려되면
산지 폐기나 시장 격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월동무는 최근 3년 간
한해 재배면적의 3분의 1인 1천 3백여 헥타르를
수매하는데 160억 원이 들었고,

양파와 쪽파 양배추 등
주요 작물 역시 과잉 생산 등으로
제주도가 수십억 원을 들여 사들였습니다.

관측 조사나 재배 의향 조사 등을 통해
행정에서 감귤이나 작물의 적정 생산량을
예측하지만, 매년 빗나간 전망으로
행정이 개입하고 막대한 세금을 들여
수습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2. 수매가 현실화 등 대책 시급

제주도는 감귤 수매 배경으로
소비 부진과 품질 하락을 꼽았습니다.

<전병화 / 제주도특별자치도 감귤진흥과장 (지난 12일)>
"최근 10에서 20% 적게 출하되는데도 불구하고
가격이 이렇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가격 안정을 위해서
도에서 고품질 위주의 출하 운동을 해서
공고도 하고 했지만 좀처럼 지켜지지 않아서
이번에 특단의 대책을 하게 된 겁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 감귤 관측조사때
이미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세 차례 조사 결과
감귤 생산량이 예년보다 많고

당도는 낮고 산비는 높아
품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에도 아무런 대책이 없었습니다.

열매 솎기에 동참해달라며
농가 참여에만 의존했습니다.

태풍 같은 기상 여건에 따라
감귤 품질과 가격이 결정되지
관측조사를 통한 감귤 출하정책이
효과가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수요가 적다면 생산량을 줄이거나
다른 산업을 육성해야 하지만
이마저도 지지부진합니다.

감귤원 폐원 사업은 10년 전 중단됐고,
폐원 대신, 감귤원을 정비하는
사업은 지난해 돼서야 시작돼
효과를 장담하기는 이릅니다.

감귤 가공을 통한 6차 산업도
예전부터 논의만 됐을 뿐,
여전히 감귤 음료 가공공장으로만
보내지다보니 재고가 늘면서
처리난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 2017년, 20년 만에 조례 개정을 통해
상품기준을 크기에서 당도로 바꿨지만,
이마저도 유명무실합니다.

당도를 선별하는 센서가 있어야
하는데, 도내 선과장 420여 곳 가운데
시설을 갖춘 곳은 12% 정도에 불과합니다.

제주도는 조례를 개정하고도
시설비 부담을 이유로 사업을
늦추고 있습니다.

감귤 뿐 아니라, 월동채소 역시
매년 산지폐기로 인한
피해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유통비 이상의 최저가격보장제로
수매가격을 현실화하거나
휴경보상제 등을 통해 의도적으로
생산량을 줄이는 대책이 필요합니다.

지난 3년간 마라도 면적의 70배 넘는
2천 7백여 헥타르에서 재배되는 채소들이
먹지도 못하고 버려졌습니다.

생산부터 유통까지 체계적인 계획이
마련되지 않으면 피해는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kctv뉴스 양상현입니다.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