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트라우마 센터가 국가 기관으로 승격돼 오는 7월부터 국립 국가폭력트라우마 치유센터로 문을 엽니다.
그런데 센터 본원은 광주에 설치되고 제주는 분원 성격으로
도민과 유족들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 4.3트라우마센터가 시범 운영을 마치고 국가 기관으로 공식 출범합니다.
6월 한달간 정비 기간을 거쳐 7월 1일부터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로 확대 운영됩니다.
<인터뷰 : 차호준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원장>
“제주 만의 독특한 체계, (치유) 수요가 많아요. 수요를 어떻게 채워나갈지 협의하면서 제주센터가 발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하지만 트라우마 센터의 새출발은 환영보다 차별 논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본원이 설치된 광주와 다르게 제주의 경우 분원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입니다.
운영권과 예산 집행권, 인사권 모두 광주 본원에 있는 만큼
제주 센터의 규모와 기능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다 정부 출연기관이지만
센터 운영에 지방비가 투입되는 점에 대해서도 불만이 일고 있습니다.
유족들은 4.3의 피해 규모와 시범 사업 기간에
프로그램 이용 실적을 고려했을 때 제주 센터의 본원 설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창범 /제주4·3유족회장>
“종합적인면을 고려했을때 4·3트라우마센터가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제주 분원으로 전환되는 것은 상당히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행안부는 당초 트라우마 치유센터법에 따라 광주에만 본원을 설치할 계획이었지만
제주도의 요청에 따라 제주 분원이 설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려하는 것처럼 제주 센터의 기능이 축소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터뷰 : 조상민 / 행정안전부 사회통합지원과장>
“예산 운영도 행정적 처리 때문에 (광주와 제주를) 같이 처리하지만
집행은 제주도에서 어느정도 독립성을 갖고 운영할 수 있고 인사권도 갖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은 우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정부는 오는 7월 출범하는 국립트라우마센터 운영과 관련해
전액 국비로 운영돼야 한다는 제주도의 요청을 저버리고
전체 예산의 30%를 지방비로 충당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인력도 20명 증원 요청에 13명만 반영됐습니다.
오랜 숙원이었던 국가폭력 트라우마센터가 들어서고
국립으로 승격되는 큰 의미 속에 무늬만은 아닌지, 아쉬움이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