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오름을 찾는 탐방객들은 등산로에서 야자매트를 쉽게 마주하게 되는데요.
걷기도 편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생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라 대부분의 오름에 많이 깔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오름에는 합성 섬유를 섞은 저품질의 야자매트가 깔렸는데
잘 썩지도 않아 흉물이 되거나 자연 식생에도 나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형제오름이라고도 불리는 제주 서쪽의 대표 오름 중 하나인 족은 노꼬메 오름입니다.
정상에 오르면 계절별로 억새나 조릿대로 뒤덮인 한라산 북동쪽 사면을 볼 수 있어
주말이면 관광객 뿐만 아니라 도민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작다라는 의미의 이름과 달리 해발 774미터로 도내 360여 개 오름 중
오백나한이나 산방산, 군산 등 다음으로 높은 오름입니다.
다행히 등반로가 잘 정비돼 탐방객들의 산행을 돕고 있습니다
하지만 등반로 정비에 인기를 끌고 있는 이른바 야자매트가
흉물이 되고 있습니다.
'보행 매트'라고 불리는 야자매트는
대부분 코코넛 껍질을 재료로 밧줄처럼 꼬아서 만들어집니다.
수 년 동안 밟히면서 지반을 단단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10여년이 지나면 생분해돼서 친환경으로 대부분의 오름에 설치됐습니다.
하지만 일부 등반로에는 합성섬유를 섞은
저품질의 야자매트가 깔려 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정훈 기자]
"이처럼 오름 곳곳에는 썩지 않은 야자매트가 뿌리에 얽혀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합성 섬유를 섞다 보니 밧줄 구조가 단단하지 않아
1,2년 만 지나도 쉽게 부서지고 잘 썩지도 않아
흉물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인터뷰 김민혁 / 탐방객 ]
"가끔 오름 올라오는데 썩지 않은 매트들이 색깔도 튀니까 보기에도 좀 불편하고 나무 성장에도 조금 피해를 주지 않을까 걱정이 조금 되는데.."
무엇보다 합성섬유를 쓴 저가의 야자매트는
조금만 지나면 훼손되면서 탐방객들의 안전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경근 / 탐방객 ]
"지금 다행인데 아시다시피 (훼손돼서) 불편하고 좀 걸리고 매트를 깐 곳은 좀 포근하고 이런데..."
자치단체나 공공기관마다 입찰과정에 합성섬유 재질이 포함된 야자매트 구매를 제한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입해 유통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화인터뷰 야자매트 유통업체 관계자 ]
"100% 야자로 해야 되는 게 맞는데요. 국내산으로 이제 입찰을
(낙찰)받고 그 다음에 수입산 물건이 싸니까 그걸로 납품을 해버리고..."
탐방객들의 안전과 자연 훼손을 최소하기 위해 설치한 탐방로가
일부 불량 야자매트로 오히려 시름하고 있습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