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다오 항로 개설 지연 '유감'…"해수부 입장 번복"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5.02.06 14:14
영상닫기
최근 사업 시작도 전에 손실보전금이 발생하며
논란을 빚고 있는
칭다오 항로 개설과 관련해
오영훈 지사가 해수부에 유감을 표했습니다.

신규 항로 개설을 놓고
사전에 가능할 것으로 협의를 해 놓고
막상 신청을 하니 입장을 바꿨다며
다른 지자체와 차별을 두는 것 아니냐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와 중국 칭다오를 잇는
신규 항로 개설이 차일피일 늦어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해수부에 항로 개설을 신청하고
곧장 화물선 취항을 위한 준비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12월 20일을 취항식으로 정하고
전용 크레인 등
하역 장비 도입에 이어
보세 구역과 통관 시설도 마련했습니다.

그런데 제주도의 계산대로 항로가 개설되지 않으며
취항식은 무기한 미뤄졌고
설치된 각종 시설에 대한 비용만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항로 개설에 문제가 없다는
해수부의 답변을 받고 후속 절차를 진행한 건데

공식적으로 신청이 되자
갑자기
영향평가가 필요하다며
입장을 번복했다고 말했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항로 개설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를 받았습니다. 갑자기 그 (신청) 시점이 돼서 담당 (해수부) 국장이 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으로 바꿨습니다."

해수부가 지난달
부산과 중국 우한을 잇는 항로 개설을 허가한 것을 언급하며
제주도에 차별을 두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우한과 부산 신규 항로 허가가 됐습니다. 차별적인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닌지,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탄핵 정국으로 정책 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는
제주형 행정체제개편과 관련해
기초단체 도입 시점을
내년 7월이 아닌
2030년으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탄핵 인용 여부와
대선 시기를 보면서 정책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면 굳이 (주민투표 일정이) 상반기가 아니라 하반기로 가더라도 큰 무리는 없다..."

이 밖에 오영훈 지사는
최근 정부와
국회의 움직임을 봤을 때
이달 안에 추경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조기 추경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제주도 자체의 1차 추경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편집 : 좌상은 )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