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 유일의 부검시설이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임시 시설 이용 계약도 이번 달로 종료되면서
당장 다음달부터
원정 부검을 가야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공공 장례시설인 제주 양지공원입니다.
이곳 추모 건물 창고에 제주 유일의 부검 시설이 운영 중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지난해 7월부터 임대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검에 최적화된 공간이 아니다보니 간이 시설만 갖춰 놓고 운영 중이며 감염 위험에도 노출돼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도 일주일 마다 한 번에 최대 4건, 지난 1년 동안 160여 건의 부검이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이 시설이 다음 달이면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사용 계약 1년이 이달 말로 종료되기 때문입니다.
국과수는 지난 2019년, 제주 분원을 조성했지만 관련 예산이 없었고,
그리고 당시 제주대에서 부검을 하고 있어 별도 부검시설을 짓지 않았습니다.
이후 제주대 그리고 제주의료원에서 부검이 어려워지자 지난해 제주도와
양지공원 이용 계약을 맺었습니다.
국과수는 다른 대체 시설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부검 시설을 연장 사용하는게 최선이라는 입장입니다.
<이수경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의학부장 직무대리>
"공공기관에서 관리되는 곳이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니 가장 좋습니다. 이동을 하고 간이시설을 옮기려면 또 예산과 노력이 드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기존 시설을 쓸 수 있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양지공원의 경우 도시계획시설 상 장사 시설에 해당한다며 부검 시설은 장사 목적과는 맞지 않아 연장 허가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부검 시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허가를 내줬는데 오히려 위법 행정이라는 지적까지 받으면서 제주도 역시 난처한 상황입니다.
<현지홍 제주도의회 의원 >
"좀 심하게 말하면 위법적인 행위, 행태가 보인 겁니다. 공유재산 심의도 득하지 않았고 장사시설 사용 목적 외 시설이 들어가 있는 겁니다."
<이혜란 제주특별자치도 복지가족국장>
"아마 이런 절차적인 것을 놓쳤던지 그 당시 너무 갑작스럽게 임대가 이뤄지면서 그랬는지 아직 확실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주 부검 건수는 지난 2021년 120여 건에서 2023년에는 170건으로 해마다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다음 달부터 시설이 없어 부검이 늦어지거나 원정 부검을 가야할 상황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국과수는 양지공원 사용이 어려울 경우 대안으로 민간 장례식장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용민 / 그래픽 이아민)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