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1호 공약인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의
내년 7월 도입이
결국 무산됐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도민과 충분한 소통이 부족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개편을 도운 도민운동본부와
피선거권 준비자들에게 사과했는데요.
하지만 개편 포기는 아니라며
논의를 통해
도입 시기와 추가 공론화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내년 7월,
민선 9기 출범과 함께 추진하려던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이 결국 무산됐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출입 기자와의 간담회에서
내년 도입 계획이 불가능하다며
도민 운동본부와 피선거권 준비자들에게 사과했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현재 시점에서는 2026년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어렵다는 점을 도민 여러분께 말씀드리고 그동안 2026년 7월 도입을 위해서 기초자치단체 도입을 위한 도민운동본부,
많은 도민 여러분, 또 피선거권을 위해 준비하신 분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오 지사는 무엇보다 도민들에게
개편안에 대한 정보와 준비 상황 공유가 부족했고
김한규 의원이 개편안에 반대하는
'제주시 쪼개기 금지법'을 발의하며 논란이 커졌지만
제대로 수습하지 못한 점을 인정했습니다.
다만,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이
국정 과제에 명시된 것은 성과라며
도입 목표를 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새로운 도입 시기는
오는 2027년 7월 또는 2028년 7월을 제시했습니다.
또 가장 큰 쟁점인
행정 구역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론화 과정이 필요한 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빠른 시일 내에 행안부와 지역 국회의원, 도의회의 의견을 조율해서 추가적인 공론화 조사가 필요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할지 생각하고 있다는 말씀드립니다."
민선 8기 도정의 1호 공약이었던 제주형 행정체제개편.
도민 합의 부족과
정치적 구심력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결국 차기 과제로 미뤄졌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편집 : 김승철)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