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igital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 Jeju is launching a program to help small businesses with digital transformation by pairing them one-on-one with university students. Starting next month, this two-month initiative will connect 20 students with 20 local small businesses, offering services and consulting support. Student applications are now open for those interested in joining as supporters. Participants will be trained at Kakao Business Services with digital upgrades and will continue to offer support after the program ends. 소상공인-대학생 매칭 '맞춤형 디지털 전환' 지원 제주도가 소상공인과 대학생을 일대일로 매칭시켜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다음달부터 두달동안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대학생 20명과 소상공인 20개 점포를 매칭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서비스 지원과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도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서포터즈 모집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여 학생들은 카카오 비즈니스 서비스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소상공인 점포의 디지털 전환을 돕게 되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후속 지원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 2024.10.28(mon)  |  이현
  • Illegal Drug Transactions via SNS
  • Illegal Drug Transactions via SNS Two men, wearing hats and black clothing, are seen secretly exchanging something while pretending to walk. This is an illegal drug transaction scene. A Chinese man in his 30s has been arrested by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for selling prescription drugs without a license. The suspect purchased prescription drugs, including treatments for erectile dysfunction, from overseas direct-purchase sites and then posted advertisements on SNS to recruit buyers. He resold the drugs for around 10,000 won per pill, either sending them by delivery or meeting buyers in person. It is understood that he sold over 50 prescription drugs without a pharmacist’s license from April of last year to May of this year. The drugs he sold are classified as prescription drugs due to the risk of misuse and require a pharmacist’s license for sale, which he violated. During the arrest, the police seized around 1,200 pills, including erectile dysfunction medications, stored at his residence.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arrested Chinese man entered Jeju in November 2016 on a visa-free entry and is currently an illegal resident. The suspect reportedly stated in the police investigation that he sold drugs as a side job to earn money while living as an illegal resident. INTERVIEW Nam Young-sik / Representativ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Under the current Pharmaceutical Affairs Act, prescription drugs can only be sold by pharmacists with a doctor’s prescription. In this case, the Chinese man, as an illegal resident, sold the drugs without a license for his own economic benefit, which is unlawful.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plan to transfer the illegal Chinese resident to the Jeju Immigration Office and strengthen crackdowns on illegal drug distribution. 'SNS로 불법 약 거래' 中 불체자 검거 모자와 검은 옷차림의 남성 두 명. 길을 걷는 척하며 은밀하게 무언가 주고 받습니다. 약을 불법 거래하는 현장입니다. 면허 없이 전문의약품을 불법 판매한 30대 중국인 남성이 자치경찰에 검거됐습니다. 피의자는 해외 직구 사이트를 통해 발기부전 치료제 등 전문의약품을 구입한 뒤 SNS에 광고글을 올려 구매자를 모집했습니다. 1알에 1만 원 정도를 받고 되팔았는데 약을 택배로 보내거나 직접 만나 거래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지난해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 넘게 약사 면허 없이 전문의약품 50여 정을 판매해 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판매된 약품들은 오남용 우려에 따라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있어 약사 면허가 있어야만 판매할 수 있지만 이를 어긴 겁니다. 경찰은 검거 과정에서 남성의 거주지에 보관돼 있던 발기부전 치료제 등 약품 1천 2백여 정을 모두 압수했습니다. 그런데 조사 결과, 검거된 중국인 남성은 지난 2016년 11월 무사증으로 제주에 입도해 현재는 불법체류 상태로 확인됐습니다. 경찰 조사에서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생활하며 돈을 벌기 위해 부업으로 약을 팔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남영식 / 제주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 수사팀장> 현행 약사법상 전문의약품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약사만 판매할 수 있는데 이번 사건 같은 경우는 중국인이 불법체류자로서 본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 자격 없이 무자격으로 판매한 게 잘못된 사안입니다. 제주자치경찰은 불법체류자인 중국인 남성을 제주출입국외국인청에 인계하는 한편 불법 의약품 유통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2024.10.28(mon)  |  이현
  • Over 2,200 Illegal Overstays in Jeju
  • It has been revealed that over 2,000 foreigners who entered Jeju visa-free last year are currently overstaying illegally. According to audit materials provided by Representative Lee Man-hee(이만희) of the People Power Party, more than 2,200 foreigners were found to have overstayed their visa-free entry to Jeju last year. The visa-free entry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2002 but was temporarily suspended due to COVID-19 before being reinstated in 2022. Representative Lee emphasized that illegal overstays can lead to secondary crimes, including drug-related incidents. "지난해 무비자 입국 후 불법체류 2천 2백명" 지난해 제주에 무비자로 입국한 외국인 가운데 2천 명 이상이 불법 체류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의 국감 자료에 따르면 제주에 무비자 입국 뒤, 불법체류 중인 외국인은 지난해만 2천 2백여 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외국인 무비자 입국 제도는 지난 2002년 도입된 이후 코로나 여파로 일시 중단했다가 2022년 재개됐습니다. 이 의원은 불법체류는 마약 사건을 비롯한 2차 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차단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Jeju Citrus Marathon Next Month
  • The 20th Jeju Citrus International Marathon will take place on the 17th of next month along the Woljeong(월정) Coastal Road in Jeju City. This year’s event will feature four categories including a full marathon, half marathon, 10-kilometer run, and 5-kilometer health run, with 8,000 participants expected to join. By age group, the majority of runners are in their 30s and 40s, with three participants in their 80s registered. The Jeju Citrus International Marathon is the only marathon event in Jeju to offer a full marathon course. 제20회 제주감귤마라톤 내달 17일 개최 제20회 제주감귤국제마라톤대회가 다음달 17일 제주시 월정해안도로 코스에서 열립니다. 이번 대회에는 풀코스와 하프 코스, 10킬로미터, 5킬로미터 건강달리기 등 4개 부문에 모두 8천여 명이 참가합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가 가장 많고 80대도 3명이나 신청했습니다. 제주감귤국제마라톤 대회는 제주에서 열리는 마라톤 대회 가운데 유일하게 풀코스를 운영합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Kindergarten Enrollment Starts Next Month
  • Enrollment for children wishing to start kindergarten next year will begin next month. Priority registration will begin from the 1st to the 5th of next month, while general registration will be held for four days, from the 20th to the 22nd of the same month. Top priority will be offered to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or first-round selection, with further recruitment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Appli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previous enrollment site to a new Admission Application Site at . 유치원 신입 유아모집…내달 1일부터 우선모집 내년에 유치원에 입학하기를 희망하는 유아 모집이 다음달부터 시작됩니다. 우선 모집은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일반모집은 다음달 20일부터 22일까지 4일간 진행됩니다. 공립유치원은 저소득층 가정 자녀를 1순위로 100% 선발하고 그 밖에 우선 모집 순위에 따라 모집이 이뤄집니다. 신청 방법은 종전 입학신청사이트인 '처음학교로'에서 '입소·입학신청사이트'로 변경됐습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Jeju Leads Nation in School Milk Provision
  • The rate of school milk provision in Jeju schools is the highest in the country.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Representative Baek Seung-ah(백승아) of the Democratic Party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Jeju's school milk provision rate stands at 97.6%, ranking first among 17 provinces and cities nationwide. By grade level, elementary schools recorded a provision rate of 92.9%, middle and high schools reached 100%, and special schools recorded 98.2%. The national average school milk provision rate is 31%. 제주 학교 우유 급식률 97% 전국 '최고' 제주지역 학교 우유급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국회의원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 학교 우유 급식률은 97.6%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였습니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가 92.9%,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100%, 특수학교는 98.2%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학교 우유 평균 급식률은 31%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Seogwipo Wildlife Damage Insurance
  • Seogwipo City has announced the operation of compensation insurance for damages caused by wildlife to crops or livestock. As a result, in cases of economic losses due to wildlife such as roe deer, farmers can receive compensation of up to 10 million KRW per farm, covering 80% of the damages. Additionally, support is available for the installation of preventive facilities to protect crops from wildlife. However, the compensation amount for crops will be calculated based on their growth stage, while indirect damages, such as traffic accidents caused by wildlife, are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서귀포시, 야생동물 피해 보상보험 운영…최대 1천만원 서귀포시가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이나 가축 피해를 보상해주는 피해 보상보험이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노루 등 야생동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경우 피해액의 80% 내에서 농가당 최대 1천만원까지 보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예방시설 설치비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보상액은 농작물의 경우 생육단계에 따라 산정되며, 야생동물에 의한 교통사고 등 간접적 피해는 보상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Jeju Seafood Pass Safety Compliance
  • Jeju City inspected distributed seafood to prevent food poisoning and found all samples to be compliant. Inspections were carried out to prevent blood poisoning caused by bacteria, targeting 13 samples, including flounder, octopus, squid, and halibut sashimi. Jeju City reported that there had been no cases of non-compliance during the summer for the past three years. To prevent Vibrio septicemia, it is advised to rinse seafood thoroughly 2-3 times under running water, refrigerate below 5°C, use separate knives and cutting boards, and ensure thorough cooking. 제주시, 식중독 예방 수산물 수거 검사 '모두 적합' 제주시가 수산물 식중독 예상을 위해 유통중인 수산물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번 검사는 비브리오균 증식으로 인한 패혈증 등을 예방하기 위해 가자미와 문어, 오징어, 광어회 등 수산물 13건을 수거해 진행됐습니다. 제주시가 지난 3년간 여름철 수산물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부적합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수돗물에 수산물을 2~3회 깨끗이 씻고 5도 이하 냉장보관, 칼,도마 구분 사용, 충분한 가열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 2024.10.24(thur)  |  이현
  • Scent Evidence Police dogs in Action
  • Scent Evidence Police dogs in Action In the dense bush, the police check on an elderly person who had fallen into a ditch. After two days of searching, an 80-year-old patient with dementia, who had been reported missing on the 30th of the previous month, was finally located. At the time of the search, a scent evidence dog was instrumental in locating the elderly person by tracking their unique scent. A scent evidence dog gets to work in the (당오름) Dang Oreum area. Following the trainer's commands, the dog ventures fearlessly into the forest and begins sniffing around different sections of the sprawling woodland. An ongoing training exercise replicates the real-life scenario of locating a lost hiker using scent-tracking techniques. Recording Police This dog is a police dog. It does not bite or harm people. Before long, the dog stumbles upon a person concealed within the depths of the forest and barks loudly, alerting others of the individual's location. Unlike drug or explosive detection dogs, scent evidence dogs specialize in detecting human scent. In addition to tracking bodies or suspects in major cases, they are also tasked with finding missing persons. There are a total of 29 scent evidence dogs belonging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Currently, the Jeju Police Agency has two canine officers: Diablo and Fernando. Due to their remarkable sense of smell, these police dogs are effective in search and rescue missions, even in areas where drones or humans have trouble gaining access. On average, they are deployed in at least 12 cases a year. INTERVIEW Song Yun-ho / Lieutenant, Forensic Investigation Division, Jeju Police Agency In large fields or areas where people can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these dogs, with their sense of smell that is over 10,000 times more sensitive than humans, provide great assistance in missing persons cases. These skilled police dogs work hard to aid in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Their dutiful service is sure to be a lifesaver for many more people in need. '냄새로 추적' 경찰 체취증거견 무성한 수풀 사이 고랑에 빠져있는 어르신의 상태를 경찰이 확인합니다. 지난달 30일 실종신고가 접수된 80대 치매 어르신을 수색 이틀 만에 발견한 현장입니다. 당시 이 어르신을 찾은 주역은 사람의 냄새를 추적하는 체취증거견이었습니다. 체취증거견이 오름 일대에 등장했습니다. 훈련사의 지시에 따라 거침없이 숲으로 달려가고, 넓은 숲 속 곳곳을 다니며 냄새를 맡기 시작합니다. 길을 잃은 탐방객을 냄새로 수색하는 상황을 가장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싱크 : 경찰> 이 개는 경찰견입니다. 사람을 물거나 해치지 않습니다. 이내 숲에 숨어있던 사람을 찾아내고, 큰 소리로 짖어 위치를 알립니다. 체취증거견은 마약이나 폭발물 탐지견과 달리 사람의 체취를 맡는 데에 특화돼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강력 사건의 변사체나 용의자를 찾는 것 뿐만 아니라 실종자 수색 임무도 맡고 있습니다. 전국 경찰청 소속 체취증거견은 모두 29마리. 현재 제주경찰청에서는 디아블로와 페르난도 2마리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물이 많아 드론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수색과 인명구조 작업이 가능하다보니 한 해 평균 12건 넘게 현장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송윤호 / 제주경찰청 과학수사계 경위> 드넓은 들판이나 사람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 견이 가진 인간의 1만 배 이상의 후각을 이용해서 (수색이 가능해) 실종사건 현장에서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냄새를 추적하는 체취증거견이 실종자 수색과 인명구조에도 성과를 보이면서 활약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2024.10.24(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