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Outdoor Tangerine Price Dip
  • The price of this year’s open-field Jeju mandarins has stagnated due to an increase in spoilage caused by hot and humid weather. According to the Jeju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Management Center, the average price of this year's open-field mandarins traded in nine major wholesale markets was holding steady at approximately 10,000 KRW for 5 kg earlier this month but recently dropped to around 8,000 KRW. As a result, the average price for October fell to 9,172 KRW, a 2.4%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Agricultural authorities are urging thorough quality control, noting that the price decline is due to increased spoilage during distribution caused by the hot and humid weather.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주춤…"부패과 관리 필요" 고온다습한 날씨로 부패과 발생이 증가하면서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이 주춤하고 있습니다.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에 따르면 9대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올해산 노지감귤의 평균 가격은 5kg 기준 이달 초 1만원 선을 유지하다 최근 8천원 선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10월 평균 가격은 9천172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 하락했습니다. 농정당국은 고온다습한 날씨로 유통 과정에서 부패과 발생이 증가해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면서 철저한 선별 관리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4.10.31(thur)  |  이현
  • Jeju to Host 2025 World Environment Day
  • Jeju has been selected to host next year’s World Environment Day event, marking the first time in 28 years that the event will be hel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Jeju Province, this decision followed various screenings and evaluations after the province submitted a bi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August. This will be the first World Environment Day event held in South Korea since Seoul hosted it in 1997.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hosting the event with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noted that Jeju received high marks for being the first in Korea to introduce a deposit system for disposable cups and for establishing the 2040 Plastic-Free Jeju vision. 2025년 세계환경의 날 행사 제주 개최 확정 28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내년 세계 환경의 날 행사 개최지로 제주가 최종 확정됐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8월 환경부에 유치를 신청한 이후 각종 심사와 평가를 거쳐 이같이 결정됐습니다. 세계 환경의 날 행사가 우리나라에서 열리기는 지난 1997년 서울 이후 28년만입니다. 이번 행사를 공동 주최하는 환경부와 유엔환경계획은 제주가 대한민국 최초로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도입하고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 비전을 수립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 2024.10.31(thur)  |  이현
  • Jeju Begins to Sell Green Hydrogen
  • Jeju Province has become the first in the nation to begin selling green hydrogen. Jeju has set the price of green hydrogen at 15,000 KRW per kilogram, considering production and supply costs. However, with the production cost expected to reach 19,800 KRW next year, Jeju plans to allocate 1.5 billion KRW in next year’s budget to support fixed costs, including labor and transportation. Currently, green hydrogen is only available at the Hamdeok(함덕) charging station. Jeju aims to expand the production of green hydrogen and sales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전국 최초 그린수소 판매 시작…kg 당 1만 5천 원 제주도가 전국 최초로 그린수소를 판매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그린수소 생산과 공급비용을 고려해 판매가격을 kg당 1만5천원으로 책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생산단가가 내년에 1만9,800원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건비와 운송비 등 고정비에 내년도 예산 15억 원을 투입해 지원할 예정입니다. 그린수소 판매는 현재 함덕 충전소에서만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앞으로 그린수소 생산과 판매 규모를 확대해 경제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4.10.31(thur)  |  이현
  • Bank Delinquency Surges, Home Loans Hit 1%
  • Bank Delinquency Surges, Home Loans Hit 1% At the end of August, the loan delinquency rate for deposit banks in Jeju, where both principal and interest payments have not been made for over a month, reached 1.04%. This figure marks the highest recorded rate since the Bank of Korea began compiling regional delinquency rates in December 2019. The deposit bank delinquency rate had already set a record high of 1% in July, only to break that record again within a month. Broken down by borrower, corporate loan delinquencies maintained a record-high level of 1.13% set in July. Household loans rose by 0.1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entering the 1% range for the first time. Currently, Jeju's delinquency rate significantly surpasses the national average, a noticeable departure from just two years ago. The gap has grown steadily, resulting in Jeju's rate being approximately double that of the national average. A prolonged period of high interest rates and economic stagnation has exacerbated loan repayment burdens, resulting in a surge in delinquency rates. Notably, the delinquency rate for household loans has risen markedly in areas such as credit loans and deposit-secured loans. INTERVIEW Song Chang-hoon / Representative, Jeju Branch of the Bank of Korea The main reason is that Jeju has a higher share of other household loans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particular, delinquency rates in farmland-secured loans have increased continually since the revision of the Farmland Act, which i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rise in delinquency rates. Despite the recent reduction in the base interest rate, ongoing concerns about worsening financial instability in Jeju remain. This is due to the region’s sluggish real estate market and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real estate in household assets. 은행 연체율 또 최고…가계대출 첫 1%대 원리금을 1개월 이상 갚지 못한 도내 예금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8월말 기준 1.04%입니다. 한국은행이 시도별 연체율을 집계한 지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예금은행 연체율은 이미 지난 7월 1%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는데 한 달 만에 다시 최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차입주체별 연체율을 보면 기업대출이 1.13%로 역대 최고였던 지난 7월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1%대에 진입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내 연체율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2년 전만 하더라도 제주와 전국 평균 연체율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계속해서 격차가 벌어지면서 현재는 제주가 2배 가량 높은 상황입니다. 연체율 상승은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가계대출은 신용대출과 예적금 담보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부문에서 연체율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송창훈 / 한국은행 제주본부 기획금융팀 과장> 원인으로는 제주 지역이 다른 지역 대비 기타 가계대출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인데요. 기타 가계대출 중에서도 농지담보대출의 경우 농지법 개정 이래로 계속적으로 연체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인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달 기준금리가 인하된 만큼 향후 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하지만 제주는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금리 인하에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부실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 2024.10.31(thur)  |  이현
  • Hallim’s Agricultural Festival
  • Hallim Agricultural Cooperative celebrated its 55th anniversary with an Agricultural Festival. Over 3,000 people attended, including cooperative members and local residents. The festival featured farmer awards, local produce promotions, and traditional games. For the first time in Jeju, the farmer’s honor award was presented, with seven recipients recognized. 한림농협, 창립 55주년 농산물 대축제 열어 한림농협이 창립 55주년을 맞이해 행복 농산물 대축제와 한마음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조합원과 지역주민 등 3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민훈장 수여식, 지역 농산물 홍보, 민속놀이 한마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습니다. 한림농협은 이번 행사에 제주에선 처음으로 농민훈장 제도를 도입해 수상자 7명에게 수여했습니다.
  • 2024.10.28(mon)  |  이현
  • Seogwipo Surveys on Elderly Solitude
  • Seogwipo City will conduct a month-long survey to address elderly isolation. The survey will focus on single-person households over 50 and new single residents who moved to Seogwipo within the past six months. The welfare team will distribute notices and assess residents’ living conditions, social engagement, and health. In the last survey, 2,400 households were assessed, identifying 294 high-risk cases for further support services. 서귀포시, 장년층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실시 서귀포시가 고독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 한달간 장년층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를 실시합니다. 조사 대상은 올해 하반기 50살 이상 1인 가구와 지난 상반기 이후 서귀포시로 전입한 장년층 1인 가구입니다. 읍면동 맞춤형복지팀에서 우선 안내문을 발송하고 주거환경과 사회, 경제활동, 건강 상태 등을 직접 살펴볼 예정입니다. 지난 상반기 조사에서는 1인 가구 2천 4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위험군 등 294가구를 발굴하고 기타 지원 서비스를 연계했습니다.
  • 2024.10.28(mon)  |  이현
  • Digital Devices Causing Dry Eyes
  • Increasing smartphone and digital device addiction among youth is driving a rise in ‘dry eye syndrome’ cases among student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ports that diagnoses in young children and teens rose from 159,000 in 2021 to over 180,000 last year. Excessive use of digital devices is identified as the main cause of dry eye syndrome among you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eju, 13% of students are classified as heavy smartphone users, exceeding the national average. 디지털 기기 중독, 안구건조증 학생 환자 급증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중독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안구 건조증 학생 환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판정을 받은 영유아나 아동, 청소년은 지난 2021년 15만 9천여 명에서 지난해는 18만 여명으로 2만 명 이상 증가했습니다. 영유아나 아동, 청소년의 안구건조증은 과도한 디지털기기 사용이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지난해 제주지역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자비율은 13%로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습니다.
  • 2024.10.28(mon)  |  이현
  • Jeju Business Outlook Dims
  • Jeju's business sentiment saw a slight improvement this month, though the outlook for next month remains uncertain. The Bank of Korea’s Jeju Branch reports that the Business Sentiment Index for all industries in Jeju rose by 0.7 points to 90.1. Manufacturing declined by 0.8 points to 82.3, while non-manufacturing rose by 0.7 points to 90.4. However, the forecast index for next month is expected to fall by 6.4 points to 87. 이달 제주 기업경기 소폭 개선…전망은 '주춤' 이달 제주 기업경기 소폭 개선됐으나 다음 달 전망은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이달 도내 전 산업의 기업심리지수는 90.1로 지난달보다 0.7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0.8포인트 하락한 82.3에 그쳤고 비제조업은 0.7포인트 오른 90.4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다음 달 전망 지수는 87로 이달보다 6.4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2024.10.28(mon)  |  이현
  • Rabbits Captured for Ecosystem Protection
  • Efforts are underway to capture rabbits on Beomseom(범섬) Island, a natural reserve where they have been designated a harmful species for damaging vegetation. Since July, the Jeju World Heritage Headquarters has captured 27 rabbits and collected four carcasses. These rabbit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the 1950s, once reaching a population of 70. Captured rabbits are relocated to an ecological park, with plans to finish the capture project by year’s end and restore the vegetation. Source : Jeju World Natural Heritage Center 천연보호구역 범섬 식생 훼손 '토끼' 포획 천연보호구역 범섬에서 식생을 훼손해 '위해 생물'로 지정된 '토끼' 포획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제주세계유산본부는 지난 7월부터 범섬에 서식하는 토끼 27마리를 생포하고 사체 4마리를 수거했습니다. 토끼는 1950년대 섬에 살던 주민들이 들인 것으로 추정되며 한 때 개체수가 70마리까지 늘었습니다. 세계유산본부는 생포한 토끼는 자연생태공원으로 옮기고 연말까지 포획 작업을 마무리한 뒤 식생 복원 계획도 수립할 예정입니다. 화면제공 : 제주세계유산본부
  • 2024.10.28(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