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도입 AI 디지털교과서…현장은?
이정훈 기자  |  lee@kctvjeju.com
|  2025.04.08 15:24
영상닫기
올해부터 교육 현장에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가 본격 도입되고 있습니다.

종전 교실 모습과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주시내 한 중학교 1학년 교실입니다.

수학 시간, 학생들의 시선이 칠판 대신 책상 위의 노트북을 향합니다.

학생들은 친구들과 게임하듯 소인수 분해 단원을 복습합니다.

친구의 문제 풀이 과정도 실시간으로 칠판 위에 띄울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교육 현장에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가 본격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공개 수업에서 학생들은
자체 학습 진단과 분석을 통해
개인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원에 대체로 만족했습니다.

[인터뷰 우지아 / 한림여중 1학년 ]
"나의 어떤 문제가 틀렸는지 단점을 보완할 점을 문제로 추려서 준다는 점에서 되게 좋았고요. 종이 교과서 쓸 때는 내가 이 문제를 틀려도 어떻게 보완할 방법이 없고 스스로 찾아야 된다는 것이 좀 힘들었는데.."






교사들은 AI디지털 교과서 덕분에
수업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을 크게 줄였습니다.

[인터뷰 김현민 / 한림여중 교사 ]
"학생들이 수학 문제 더 풀고 싶어요. 이렇게 하면 제가 인터넷사이트나 다른 문제지들을 다 일일이 복사해서 나누어 주거나 했었는데 이제는 클릭 몇 번으로 학생들한테 보충 문제를 제공해 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으로
학생들의 디지털 활용 능력과 자기주도 학습 역량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지만 보완해야 할 점도 나타났습니다.

수업 도중 일부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아
안정성에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특히 올해 디지털교과서 사용료에 13억원 이상이 투입되지만
교사들의 연수가 충분하지 않아
일부 교과목에서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종이교과서를 대체할 수 있겠느냐하는 실험적이라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만약 이게 종이교과서 대체가 돼서 선생님들이나 학생들, 학부모들이 효과가 대단하다고 하면 내년부터 이걸 과학이라든지
다른 교과로 확대할 수 있지만... "




올해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신청한 도내 학교는
초·중·고 100여 곳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영어와 수학, 정보 과목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올해 이들 학교에 대해
시범 운영 결과를 토대로
내년 학년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기자사진
이정훈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