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가까이 표류하던 제주신항만 건설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입니다.
해양수산부가
기존 고시 내용을 변경한데 따른 것입니다.
사업비는 3조 8천억 원 규모로
당초 계획보다 1조 원 가까이 늘었고
완공시점도 2035년으로 5년 앞당겨졌습니다.
특히 일도지구 SK저유소 이전 문제의 실마리가 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양상현 기잡니다.
해양수산부가
제주신항 건설기본계획 변경을 고시했습니다.
지난 2019년 8월 기본계획이 고시됐지만
당시 사드사태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코로나 사태까지 이어지며
타당성 논란으로 표류하다가
이번에 여러 변화된 여건을 반영해 변경했습니다.
사업비는 3조 8천억 원.
6년 전 기본계획 고시에 비해 9천 600억 원 늘었습니다.
완공시점은 당초 2040년에서 2035년으로 5년 앞당겨졌습니다.
이번 사업의 주요내용을 보면
현재 제주시 탑동 앞바다를 매립해
2.8km의 방파제와 2km의 방파호안을 건설하게 됩니다.
접안시설로는
크루즈 부두 4선석을 비롯해
잡화부두 3선석,
유류부두과 관리부두 각 1선석으로 조성됩니다.
크루즈 부두는
15만톤급 3척과 22만톤급 1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집니다.
크루즈 부두 인근에 충분한 부지를 개발해
민간 주도의 상업,
문화, 관광산업을 집적화하겠다는 구상입니다.
그리고 80만 9천제곱미터를 복합부지로 개발하게 됩니다.
이번 기본계획 변경의 핵심은
기존 여객.크루즈 중심에서
화물.크루즈 기능으로 전환됐다는 것입니다.
제주도는 다음달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신청하는 등
관련 절차를 거쳐
2029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씽크) 오상필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국장
화물.여객선 혼재 문제와 대형 크루즈 수요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항만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첫 단추로 제주의 해양관광과 물류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이번 변경된 기본계획 고시에 유류 부두가 포함됨으로써
일도지구 SK 저유소 이전 문제를 푸는
실마리가 될 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씽크)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물론 SK 저유소는 사유재산이기 때문에 SK측과 SK에너지 측과 협의가 필요합니다만 협의를 통해서 저유소가 이전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말씀 드립니다.
지난 2016년 기본계획 발표 후
10년 가까이 표류하던 제주신항만 개발사업이
이번에는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양상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