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화)  |  김지우
제주도내 예금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올 들어 두 달 연속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내수 부진에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확대돼 가계와 기업 모두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지역경제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원리금을 한 달 이상 갚지 못한 도내 예금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2월말 기준 1.15%. 한국은행이 시도별 연체율을 집계한 지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역대 가장 높았던 올해 1월보다도 0.01%포인트 오르며 두 달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2%포인트 상승한 1.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가계 대출 연체율은 역대 최고였던 지난 1월보다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1%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내 연체율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2년 전만 하더라도 제주와 전국 평균 연체율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2023년 하반기부터 격차는 점점 커졌습니다. 현재는 제주지역 연체율이 2배 가량 높은 상황입니다. 고금리와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는 건데 특히 제주는 관광객 감소에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장기화되면서 더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설상가상 기업들은 내수 부진에 인건비, 원자재 가격 상승이 맞물려 상환 능력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 최종윤 / 한국은행 제주본부 기획금융팀 과장> “2월 중 예금은행 연체율을 보면 제주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대출 연체율이 크게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점들로 봤을 때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경제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기업들이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주는 농지 거래 급감으로 농업법인의 대출 연체까지 심화되면서 당분간 전국보다 높은 수준의 연체율을 보일 전망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그래픽 송상윤)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0:33
  • 제주 농축협 상반기 신규직원 40여 명 채용
  • 농협 제주본부와 제주도 지역농협 인사 업무 협의회가 올 상반기 농축협 직원 40여명을 신규 채용합니다. 이번 채용은 연령, 학력, 성별 등의 제한을 두지 않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가유공자 등 예우와 지원에 관한 법률 규정에 따라 해당 지원자는 우대됩니다. 채용지원서 온라인 접수는 오는 14일까지이며 인적성과 직무능력 검사, 면접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합격자가 정해집니다.
  • 2025.03.11(화)  |  김지우
KCTV News7
00:51
  • 비 날씨에 높은 기온으로 양파 노균병 발생 우려
  •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최근 지속된 비 날씨와 평년보다 높은 기온으로 인해 양파 노균병 발생이 우려된다며 철저한 방제 작업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1주일 제주도의 평균기온은 10.9도로 평년보다 2.3도 높았고 특히 지난 1일과 2일 최고기온이 17도를 기록한데다 습도가 90% 이상으로 높아 노균병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감염이 심할 경우 양파 잎 전체가 위축되고 고사할 수 있어 4월까지 방제하지 않으면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농업기술원은 노균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생육 후기까지 10일 간격으로 주기적인 방제를 실시하고 이미 감염됐다면 신속히 제거해 추가 감염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2025.03.11(화)  |  양상현
KCTV News7
00:34
  • 제주 아파트 입주전망 악화…입주율은 개선
  • 이달 제주지역 아파트 입주 전망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제주도내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3.3로 전월 대비 5.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다만 지난달 제주권의 아파트 입주율은 75.7%로 한 달 전보다 18.7%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연구원은 경기 침체와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 2025.03.11(화)  |  김지우
KCTV News7
02:40
  • '귀한 몸' 갈치…어획량 급감 '비상'
  • 최근 갈치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갈치를 주요 어종으로 하는 도내 수협들도 위판 실적에 큰 타격을 입고 있는데요. 소비자 부담은 물론 어민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입니다 제주동문수산시장. 갈치를 주로 취급하는 수산물 가게마다 손님이 없어 휑합니다. 가끔 오는 손님도 선뜻 주머니를 열지 못하고 흥정을 이어갑니다. 경기 침체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최근 갈치 어획량 감소로 가격이 전년보다 20% 가량 오르면서 수요가 줄었습니다. <인터뷰 : 김경자 / 수산물 가게 업주> “(위판장 가도) 거의 갈치가 안 보이죠. 작년에 100개 나오면 올해는 20, 30개 정도 상자밖에 안 나와요. 장사가 거의 안 되는 상태죠. 거의 안 팔리는 거죠 너무 비싸니깐.” 은갈치가 이른바 금갈치가 되면서 소비자들은 좀 더 저렴한 생선을 찾습니다. <인터뷰 : 고미화 / 제주시 이도동> “재작년까지는 (갈치를) 박스로 사다 먹었는데 작년, 올해는 아직 먹어본 일이 없어요 너무 비싸서. 계절 생선 사다 먹고 그렇게 계절에 많이 나는 생선 사다 먹죠.” 지난해 제주지역 수협의 전체 위판량은 전년 대비 11.3%, 위판액 5.9% 각각 줄었습니다. 특히 위판액 감소폭이 전국에서 가장 컸는데 갈치 어획량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수협별로 보면 갈치 어획량이 가장 많은 서귀포수협은 위판량과 위판액 모두 10%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두 번째로 많은 갈치를 생산하는 성산포수협은 20%대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면서 갈치 최대 산지인 제주에서도 어획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어민들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김미자 / 서귀포수협 조합장> "전체 위판 금액의 90%가 갈치에요. 그 정도로 어업인들이 살아가는 거예요. 위판장에 나가면 어업인들 웃음소리, 활기찬 소리들이 들려야 하는데 고기가 안 나니깐 사람 자체가 모이지 않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거든요." 갈치는 특산품이지만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 사이에선 바가지 요금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생선이기도 합니다. 어획량 감소가 갈치음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면 고물가 이미지 해소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현광훈, 그래픽 송상윤)
  • 2025.03.10(월)  |  김지우
KCTV News7
02:17
  • "면세품이라더니...오히려 비싸요!"
  • 제주공항을 이용하시는 관광객이나 도민분 가운데 면세점에 둘러 일부러 물건 구입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면세품이라 가격이 저렴할 거란 기대가 큰데, 가격 꼼꼼히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일부 상품은 시중가보다 오히려 비싼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철진씨는 이달 초 출장에서 돌아오는 길에 제주공항 면세점에서 화장품을 구입했습니다. 아내에게 줄 선물이었습니다. 면세품이라 저렴할 것이란 생각했던 고씨는 온라인에서 같은 제품의 판매 가격을 확인하고는 당혹스러웠습니다. cg-in 26만원을 주고 면세점에서 구입한 화장품이 온라인쇼핑몰에선 20만원대로 5만원 이상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제품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브랜드의 화장품도 면세점에서의 판매 가격이 온라인몰보다 오히려 더 비쌌습니다. CG-OUT 출장 내내 들고 다니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구입한 면세품이 오히려 시중보다 비싸게 구입했다는 사실에 면세점에 항의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더 황당했습니다. CG-IN 면세점은 세금만 면세될 뿐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며 시중 제품과 가격을 비교해 구매해달라는 답변이었습니다. CG-OUT [ 고철진(가명) / 면세점 구매자 ] "얼마나 좀 싸게 샀나 해서 살펴봤더니 싼 것이 아니고 오히려 껑충 뛰어서 높으니까 깜짝 놀랐죠. 어떤 면에서는 (면세점 구매가) 참 바보 같은 짓을 했다는 생각도 들고... " 해외 브랜드의 경우 면세점은 달러로 판매가격을 책정하기 때문에 면세점 물건값은 환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다보니 치솟는 환율에 일부 품목은 오히려 온라인몰이나 백화점보다 면세품이 비싸지는 '가격 역전'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여행을 갈 때 평소 사고 싶었던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면세점. 하지만 시중보다 더 비싸게 구입하지 않기 위해서는 구매 전 가격을 비교해보는 꼼꼼한 소비 습관이 필요해보입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
  • 2025.03.10(월)  |  이정훈
  • 갈치 어획량 감소에 도내 수협 위판실적 '저조'
  • 최근 제주지역 갈치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수협 위판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협중앙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수협의 전체 위판량은 전년 대비 11.3%, 위판액은 5.9% 각각 줄었습니다. 특히 위판액 감소폭은 전국에서 가장 컸는데 갈치 어획량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수협별로는 제주에서 갈치 어획량이 가장 많은 서귀포수협이 위판량과 위판액 모두 10%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 2025.03.10(월)  |  김지우
KCTV News7
00:41
  • 제주 부동산 경매 한파 지속…낙찰률 20%
  • 제주지역 부동산 경매시장이 저조한 낙찰률을 기록하는 등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경매 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에서 진행된 부동산 경매는 596건으로 이 가운데 124건만 낙찰돼 20.8%의 낙찰률을 기록했습니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나타내는 낙찰가율은 47.5%에 그쳤습니다. 낙찰률을 부동산 유형별로 보면 주거시설이 18.9%, 업무상업시설이 26.8%, 토지 19% 등으로 전 유형에서 부진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 2025.03.10(월)  |  김지우
KCTV News7
00:37
  • 기업경기 소폭 반등에도…기준치 크게 밑돌아
  • 이달 도내 기업의 경기 전망이 반등했지만 여전히 기준치에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달 업황전망 중소기업 건강도지수는 52.2로 전월 대비 1.1포인트 소폭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0.8포인트 오른 55, 비제조업이 1.4포인트 상승한 51.4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지수가 기준치인 100에 절반 수준에 그치면서 여전히 경기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5.03.09(일)  |  김지우
KCTV News7
00:36
  • LH 제주, 올해 사업 투자비 50% 상반기 집행
  • 한국토지주택공사 제주지역본부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올해 사업 투자비의 50%를 상반기 안에 집행합니다. 올해 총 사업비는 846억원으로 제주동부지구 조성과 제주화북 행복주택 건설에 447억원, 주거복지사업에 399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올해 공사 용역 발주 규모는 110억원으로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 방침에 따라 상반기에 90%를 편성하고 지역 업체 입찰 참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 2025.03.09(일)  |  김지우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