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eogwipo Offers Free HPV Vaccination
  • Seogwipo Offers Free HPV Vaccination Seogwipo City will expand vaccination of HPV papillomavirus in humans which are effective in preventing cervical cancer. Targets are female teenagers aged 12 to 17 and low-income women aged 18 to 26. Eligible people can be vaccinated free of charge at a nearby consignment medical institution or public health center. HPV infection is a major cause of cervical cancer, anal cancer and vaginal cancer. Vaccination can prevent more than 90% of cancers caused by HPV. 서귀포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무료 예방접종 지원 서귀포시가 자궁경부암 예방 효과가 있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확대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만 12살에서 17살 여성 청소년과 만 18살에서 26살의 저소득층 여성으로 가까운 위탁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무료로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항문암, 질암 등의 주요 원인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사람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해 유발되는 암의 90% 이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Jeju City Stablizes Livestock for Chuseok
  • Jeju City Stablizes Livestock for Chuseok Jeju City will stabilize the supply and demand of livestock products and tighten inspections on distribution of illegal livestock before the Chuseok holiday. Accordingly, the province plans to stabalize the supply and demand and price stability of livestock products by posting consumer prices on its website and conduct inspections of retailers. In addition, Jeju City will conduct special inspections on livestock distribution activities, assessing record management and compliance with the distribution. 제주시, 추석 대비 축산물 수급안정 등 유통점검 제주시가 추석을 대비해 축산물 수급안정과 부정축산물 유통점검을 실시합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격 동향을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판매업소 점검 등을 통해 축산물의 원활한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유도할 방침입니다. 제주시는 이와 함께 축산물 이력제 이행상황과 유통기간 준수여부 등 축산물 유통행위에 대한 특별점검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Jeju Promotes Carbon Neutral Livestock
  • Jeju Promotes Carbon Neutral Livestock The province will establish and implement a "2030 Livestock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enhance Jeju’s clean qualities. Accordingly, Jeju plans to inject 537.9 billion won to initiate 47 projects that practice carbon neutrality and creat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livestock environment. In particular, detailed plans include increasing the capacity of public facilities for livestock manure treatment, manure purification, 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through energyiz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percent. The Livestock Act stipulates that a livestock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is to be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제주도, '탄소중립' 2030 축산환경 개선계획 수립 제주도가 탄소중립과 청정 제주 가치 실현을 위해 '2030 축산환경 개선계획'을 수립해 추진합니다. 이에따라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친화적 축산환경 조성을 위해 47개 사업에 5천 379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가축분뇨 처리를 위한 공공시설 용량 확대와 가축분뇨 정화처리와 에너지화를 통한 탄소배출 감소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한다는 목표로 세부계획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축산환경 개선계획은 축산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Support Expands for School Field Trips
  • Support Expands for School Field Trips The POE will expand support for school trips so that they can be executed safely amid the COVID-19 pandemic. Support will include 24-hour on-site emergency communication channels and personnel on-site for school trips. The POE has also recommended to expand negative test targets and secure additional coordinators and emergency personnel to care for students who show symptoms. There are currently approximately 80 schools that are promoting school trips to areas outside of their province in the second semester. 코로나 재유행 수학여행 현장지원단 확대 운영 제주도교육청이 코로나가 재유행 속에 안전한 현장체험 학습을 위해 수학여행 현장지원단을 확대 운영합니다. 우선 수학여행 현장지원단을 위한 24시간 비상연락 체계를 유지하고 긴급 파견 등을 지원합니다. 또 참가 학생의 음성확인 대상 범위를 넓히고 의심증상자 발생에 대비해 인솔자와 이송요원을 추가 확보하도록 권고했습니다. 현재 2학기 다른지역으로 수학여행을 추진중인 학교는 80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Wild Boar Damage in Seogwipo City
  • Wild Boar Damage in Seogwipo City A series of reports were made on wild boar damage in the middle mountainous regions of Seogwipo raising awareness for caution. According to Seogwipo City, 63 wild boars were captured last month, exceeding 56 that were caught last year. They are reported to appear in middle mountainous areas, causing damage to crop and appearing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temples, golf courses, and in some cases threatening humans. This year Seogwipo City has secured 90 million won to reward wild boar capture activities. 서귀포시 멧돼지 피해 잇따라…63마리 포획 최근 서귀포 중산간에서 멧돼지 피해 신고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 달까지 포획된 멧돼지는 63마리로 지난해 56마리를 이미 넘었습니다. 중산간 지역에 출몰해 농작물 피해를 주고 사찰과 골프장 같은 대중 이용 시설에도 나타나면서 인명 피해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맷돼지 포상금으로 9천만 원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포획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Youths in Shelters Need More Help
  • Youths in Shelters Need More Help The number of Jeju children who are not cared for at home and are sent to child shelters exceeded 140 last year. Domestic abuse is the most common reason for being placed in shelters. Number of Shelter Residents Preparing for Independent Life Age 15: 15 Age 16-18: 27 Age 19 and over: 18 Age unknown: 5 Total: 65 Of these shelter residents, about 65 are now preparing to become self-reliant. From this year, the age at which protection ends at child shelters was extended from 18 to 24. However, 27 percent of those who have exceeded the maximum age remain in shelters as they prepare for independence. cg-out Reasons for extending their protection period include the harsh realities faced when entering society at large. Concerns About Being Independent - Seeking employment, education - Making new relationships - Finding housing - Lack of skills: cooking meals, doing laundry, grocery shopping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found that residents are reluctant to leave shelters over concerns about entering college or getting a job. Unlike residents of shelters on the mainland who said that finding housing was their biggest worry, residents in Jeju pointed to potential difficulties in making new relationships.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ordinances in place so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se shelters can become self-reliant and thrive as members of society. Based on these rules, the province provides funds for housing and gives support allowances to shelter residents who are about to be discharged. However, access to information is limited due to the decentralized nature of support organizations. Moreover, social programs are often lacking the experts required for their smooth implementation. INTERVIEW Lee Yeon-hwa / Researcher,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Many teenagers who are about to be discharged have experienced child abuse and emotional issues. It takes time for them to find proper support from institutions on their own. In the coming months and years, it will be essential that experts and support organizations come together to help fix the problems faced by shelter residents seeking independence. '홀로선' 보호종료 청소년…"심리지원 절실" 가정에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보호시설에 맡겨지는 제주지역 아동인구는 지난해에만 140명을 넘었습니다. 보호시설에 맡겨진 이유로는 가정에서의 학대가 가장 많이 차지합니다. 이들 가운데 시간이 흘러 자립을 준비하는 청소년은 65명 가량입니다. 특히 올해부터 아동복지시설의 보호 종료 연령이 종전 만 18살에서 24살로 연장되면서 성인 연령을 넘기고서도 보호시설에 남아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경우가 27%나 됩니다. 이들이 보호기간을 연장하는 데는 퇴소 이후 부딪히는 현실의 벽이 너무 높고 차갑기 때문입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실제 보호시설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밀착 면접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보호를 연장하는 이유로 대학 진학이나 취업 준비 등에 대한 불안과 걱정이 가장 컸습니다. 특히 다른 지방의 청소년들이 시설에서 나와 거주할 집 문제 등을 가장 큰 불안 요소로 선택한 것과 달리 제주 청소년들은 퇴소 이후 맺게 될 새로운 인간 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꼽았습니다. 제주도는 이들 보호시설 아동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자립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조례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홀로서기를 앞둔 청소년들에게 주거정착금이나 자립지원 수당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 기관이 분산돼 필요한 청소년들에게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배치된 전문가 부족으로 지원 프로그램 운영에도 애를 먹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연화 /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 지금 보호종료 아동들 같은 경우에 많이 아동 학대나 정서적인 부분에 취약해서..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그런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스스로 그런 기관들을 찾아가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 때문에 가정 밖 청소년들의 홀로서기를 돕기 위해서는 통합 자립지원기관 운영과 함께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 2022.08.22(mon)  |  고주연
  • Murderer of Lawyer Lee → Not Guilty to Guilty
  • Murderer of Lawyer Lee → Not Guilty to Guilty The long time unsolved murder case of lawyer Lee Seung Yong has come to a closure. The court overturned its first ruling that pleaded him not guilty to guilty with a sentence to 12 years in prison. At an appeal sentencing held on the 17th, the Gwangju High Court Criminal Justice Department reversed the acquittal of the first trial pleading Kim guilty of murder and sentenced him to 12 years in prison. Kim was judged guilty considering the weapon used at the scene of the crime and the fact that Kim paid his accomplice. The court upheld the first trial ruling, which sentenced him to a year and a half in prison for threatening a broadcaster employee. The murder case of Lawyer (이승용) Lee Seung-yong which happened back in 1999 has remained unsolved the past 23 years. A re-investigation was conducted claiming that defendant Kim had instigated the murder, and the real culprit has finally been revealed. 이승용 변호사 살해 1심 무죄→항소심 '유죄'…징역 12년 장기미제로 남았던 이승용 변호사 살인 사건 항소심 재판부가 살해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던 1심 판결을 뒤집고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광주고법 제주 제1형사부는 17일 열린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56살 김 모씨의 살해 혐의를 인정해 1심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징역 12년을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당시 사용된 흉기와 범행 상황 그리고 공범에게 자금을 지급한 사실 등을 고려했을때 김 씨는 살인 공동정범으로 인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재판부는 방송사 직원을 협박한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한 1심 판결은 유지했습니다. 지난 1999년 발생한 이승용 변호사 살인사건은 그동안 장기 미제 사건으로 남아 있었지만 지난 해, 방송을 통해 피고 김씨가 살인을 교사했다고 주장하며 재수사가 이뤄졌고 범행 23년 만에 진범이 드러나게 됐습니다.
  • 2022.08.18(thur)  |  고주연
  • Rental Car Quota to be Extended
  • Rental Car Quota to be Extended In 2018, the total number of registered rental cars in Jeju was about 31,000. The province introduced a rental car quota policy to reduce the number of rental vehicles to 25,000 cars.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 number of registered rental cars was 29,8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number registered before the policy. This is because only half of the reduction goal was achieved, and thousands of rental cars had newly applied for registration before the policy was introduced. The province has lost several lawsuits filed by rental car companies. As a number of travelers have chosen the island as their destination instead of flying abroad because of the pandemic, unintended side effects are reported such as overcharging and illegal operation of rental cars registered on the mainland. It is reported that the province is considering extending the quota policy for another two years ahead of the end of the policy on the 20th of next month. While sympathizing with the extension of the policy, the local rental car industry states that it is unfair to force only local companies to reduce the number of rental cars as the previous provincial office did. INTERVIEW Gang Dong-hun / Head, Jeju Rental Car Cooperative Local companies have reduced the number of rental cars by about 3,000. The reduction efforts were made only by local companies. Local companies agree to the current number, but cannot accept further reduction. Research conducted last year suggests between 28,300 and 30,100 as the appropriate number of rental cars on the island. The province plans to hold a rental car supply and demand control committee to set specific goals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quota policy. 렌터카총량제 2년 연장…적정대수는 고민 지난 2018년 제주지역 등록 렌터카 수는 모두 3만 1천여 대. 제주도는 등록대수를 모두 2만 5천대 까지 줄이겠다며 렌터카총량제를 도입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렌터카 수는 2만 9천 800대로 시행 전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감차 목표량을 절반 밖에 달성하지 못한데다 총량제 시행 전 신청된 증차 때문입니다. 더욱이 총량제 도입 후 업체에서 제기한 소송에서 제주도가 잇따라 패소했으며, 코로나 여파로 제주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바가지 요금, 다른지역 렌터카 불법 영업과 같은 각종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음달 20일, 총량제 종료를 앞두고 제주도가 2년 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지역 렌터카 업계에서는 총량제 연장 시행에는 동감하면서도 종전처럼 지역업체에만 감차를 강요하는 정책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강동훈/제주렌터카대여협동조합 이사장> 그전에 3천대 정도 감차했습니다. 감차는 지역 업체가 대부분이었어요. 더 이상 지역 업체들도 현상태는 수긍하지만 더 이상 감차는 무리다,라는 게 업계 입장입니다. 지난해 실시한 연구 용역을 바탕으로 제시된 제주지역 적정 렌터카 대수는 2만 8천 300대에서 3만 100대. 제주도는 조만간 렌터카수급조절위원회를 개최해 총량제 연장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 등을 설정할 방침입니다.
  • 2022.08.18(thur)  |  고주연
  • Seogwipo Strengthens Sanitary Inspection before Chuseok
  • Seogwipo Strengthens Sanitary Inspection before Chuseok Seogwipo City will run a period for livestock hygiene inspection until the 26th in preparation for the Chuseok holiday. During this time, the government will focus on sanitary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livestock products, compliance with labeling standards, and handling of expiration dates a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For any violations noticed, administrative measures including fines will be issued, and on-site guidance such as recovery measures and disposal, will be executed if necessary. In addition, Seogwipo City plans to stabilize prices by identifying cost trends for high-quality products during the Chuseok holiday while guiding and cracking down on unfair trade practices. 서귀포시, 추석 대비 축산물 위생점검 강화 서귀포시가 추석 명절에 대비해 오는 26일까지 축산물 위생점검 특별기간을 운영합니다. 이 기간 전통시장과 마트 등을 중심으로 축산물 위생 취급과 운반, 표시기준 준수 여부, 유통기한 경과 등을 집중 점검합니다.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과태료 등 행정처분 하고 필요한 경우 회수조치와 폐기처분 등 현장지도를 병행할 계획입니다. 서귀포시는 이와 함께 추석 명절 성수품에 대한 물가동향을 파악하고 불공정 거래행위를 지도 단속해 추석 물가 안정화를 유도할 방침입니다.
  • 2022.08.18(thur)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