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취재수첩] 항쟁의 역사 실태조사 시급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22.03.24 10:42
영상닫기
<오유진 앵커>
항쟁의 역사를 간직한 귀중한 유산들이 사라지는 문제, 아번주 카메라포커스가 취재했습니다.

취재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애국지사 생가 조례가 어떤 건가요?

<김용원 기자>
네. 지난 2019년 저희 카메라포커스에서 애국지사 생가 문제를 고발한 이후 바로 제주도의회가 관련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2020년 10월부터 시행된 독립운동 기념사업 지원 조례에 독립유공자의 생가와 거주지가 독립운동 유적지로 포함됐습니다.

이 조례를 근거로 생가를 유적지로 관리하고 각종 지원 사업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틀이 마련됐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유진 앵커>
그런데 왜 활용이 안되는 건가요?

<김용원 기자>
이번에 취재한 김장환 선생 사례를 보면요.

김장환 선생은 조천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14인 동지 중 한명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지금까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독립유공자의 생가가 아니여서 독립운동 유적지에서도 제외되고 아예 관리 자체를 받지 못하는 겁니다.

또 유공자 생가여도 관리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례로, 제주 보훈청이 2019년 애국지사로 추서된 강평국 선생의 생가터인 칠성통에 생가 표지석을 세우려고 했는데요.

이 비석을 어디에 세울지를 놓고도 주변 상인들로부터 여러 민원이 있었다고 합니다.

유적지가 사유지고 또 이로 인한 재산권 행사 때문에 생가 관리에도 어려움이 크다고 합니다.


<오유진 앵커>
4.3 유적들도 둘러보니 어땠습니까?

<김용원 기자>
네. 제주도가 지정한 4.3 유적지는 800곳이 넘습니다.

하지만 정식 문화재로 지정된 경우는 2019년 국가 등록문화재가 된 수악주둔소 한 곳 뿐이고요.

유적지 대부분은 표지판이나 안내판을 세우는 정도로만 말 그대로 상징적인 의미만 부여하고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입니다.

관리할 주체가 없다보니 손길이 닿지 않는 유적지들은 방치되거나 훼손되고 또는 한쪽으로 치우친 역사적 기술로만 기억되는 현장도 상당수였습니다.


<오유진 앵커>
근현대사 항쟁의 유산들 그냥 사라지게 놔둬야 하는 걸까요?

<김용원 기자>
우선, 항일 유산이나 4.3 유적지를 지자체가 관리 할 수 있는 울타리 안으로 넣는게 우선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애국지사 200여 명의 생가 가운데 독립운동 유적지는 한 곳도 없고 문화재로 등록된 4.3 유적지도 사실상 전무하거든요.

그렇다고 모든 유산을 다 보존해야 한다는게 아니라 정말 상징적이고 의미가 있는 현장을 중심으로 문화재나 유적지로 등록하기 위한 정확한 실태조사와 고증작업, 그리고 사유지 매입 같은
이런 절차부터 첫걸음을 떼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유진 앵커>
항쟁의 역사를 간직한 귀중한 유산이 다행히 아직 여럿 남아 있습니다. 어떤 것을 어떻게 보존할지, 활용은 어떻게 할지 깊은 고민이 있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용원 기자였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