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절감 그림의 떡?"…계약 방식 두고 '이견'
이정훈 기자  |  lee@kctvjeju.com
|  2025.10.16 11:41
영상닫기
         제주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드림노트북 사업,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데 이를 줄이려는 노력은 충분할까요?

인천시교육청과의 단가 차이로
계약 방식의 문제점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제주도의회와
교육청 간의 입장 차이도 뚜렷합니다.

이정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의 핵심 공약인 '드림노트북' 사업이
올해로 3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교육환경 구축을 목표로
중학교 1학년에게
노트북을 지원하는 이 사업에는
지금까지 약 3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습니다.

CG-IN
하지만 노트북 한 대당 평균 구매 단가가 156만 원으로,
같은 사양을
95만 원에 구매한 인천시교육청과 비교해
60만 원 이상 비싸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CG-IN

그 차이는 바로 계약 방식에서 비롯됐습니다.

인천은
노트북 구매와 유지관리 계약을 분리해 예산을 절감했지만 제주도교육청은
포괄 계약 방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경문 / 제주도의원 ]
"쉽게 말해 분리 발주 그냥 노트북은 노트북만 사고 유지관리 업체는 유지 관리 업체에만 맡기고 따로 분리 발주를 한 거거든요. 그렇게
한 거를 보니까 노트북 단가가 한 대당 64만 원이 차이가 났다
그래서 제주도(교육청)도 그렇게 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보여집니다. "






이같은 주장에 제주도교육청은 반박 입장을 내놨습니다.

올해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트북을 지급하는
'아우름정보사업'에서
분리 발주 방식을 시범 적용했지만
노트북 한 대당 구매가격은 127만 원으로
기존 통합 발주 방식과
큰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유지보수 비용이 제외된 순수 노트북 단가임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하 효과가 미미했다는 설명입니다.

[전화녹취 제주도교육청 관계자 ]
"우리도 MAS(분리발주)는 아니지만 (통합 발주)했을 때와 노트북 단가는 5만원, 5천 원 차이로 똑같이 낙찰됐습니다. "

하지만 제주도의회는 이 같은 해명에 대해 재반박하고 있습니다.

시범 분리발주 물량이 고작 70대에 불과해
입찰 경쟁을 유도하기 어려웠다는 겁니다.

매년 7천 대에 육박하는 대규모 발주가 이뤄지는
드림노트북 사업과는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강경문 / 제주도의원 ]
" 올해 70대를 한번 (분리 발주) 시범 사업을 해봤다고 하는데 그거는 70대에 불과한 거고, 지금 교육청에서 (구매)하는 게 약 7천 대 정도가 되는데 그 중에 1% 갖고는 저는 실험이 아니라고 봅니다. "




디지털 교육환경 구축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되는 드림노트북 사업.

그러나 예산 집행의 효율성과 계약 방식의 개선 여부는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기자사진
이정훈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