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4·3 Excluded from Curriculum
  • The controversy over including the Jeju 4·3 incident in history books has come to a conclusion at the 2022 National Board of Education committee.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concluded the session with a proposal to delete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of Jeju 4.3, while including content that reflect the compilation criteria. This means that the provinces’ request to at least include Jeju 4.3 in the commentary on achievement standards was denied. Accordingly, publishers will have the right on whether to include the April 3rd incident in the new history textbooks to be applied from 2024. ‘제주 4·3 배제' 개정 교육과정 확정 역사교과서 4.3 배제 논란이 제기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국가교육위원회에서 확정됐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는 2022교육과정 개정안을 4.3이 포함됐던 학습요소와 성취기준을 교육부 제안대로 삭제하되 편찬 준거에 반영하는 내용을 담아 의결했습니다. 이는 제주 4.3을 성취기준 해설에라도 포함시켜 달라는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은 겁니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부터 적용되는 새 역사 교과서에 제주4.3 반영 여부는 출판사 집필진의 자율에 맡겨지게 됐습니다.
  • 2022.12.19(mon)  |  이현
  • Unmanageable Illegal Fishing Nets
  • Unmanageable Illegal Fishing Nets On the coastal patrol vessel, a large net pulled out from the water is being cut into pieces. Dead fish caught in the net are released into the sea. Recording Tear them out. All are cut off. That's enough. Stop. That is a large illegal drift net that hangs vertically in the water column, found 150 kilometers southwest of (차귀도) Chagwido Island. The Korea Coast Guard has cut four frames of illegal drift nets and released five tones of fish. Chinese fishing boats have allegedly installed drift nets, bu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erpetrator. Even in China, fishing boats with drift nets are called invincible ship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uerrilla operations that cross Korean waters at night or in the face of bad weather. Moreover, drift nets can be installed and then collected without a trace, making it difficult to know the exact size of the installation or damage to the domestic fishing industry. In fact, out of the 30 frames that have been recently discovered through patrols, 26 disappeared within a week and four frames were removed by the Korea Coast Guard. Many seem to have been taken back due to the crackdown. Jeong Yeong-gon / Korea Coast Guar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ection or loss in the event of bad weather. To stop illegal fishing operations, we are taking strong measures through additional deployment of large patrol vessels and special crackdowns. It's not a simple task to handle extra long drift nets when detected. Currentl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in charge of removal of illegal drift nets. But most of the illegal nets are longer than 250 meters, and some of them cannot be salvaged due to their weight. In April, about 60 frames of illegal drift nets were found in waters 185 kilometers west of Jeju, but only 40 frames were removed and the rest haven’t been collected. The budget of 450 million won, which was allocated to the fishing net removal work this year, has been used up. Future plans cannot be drawn up. As a result, even if illegal nets are found, Chinese fishing boats can collect the fish in the nets. With the operation of drift nets expected to be rampant in winter, it seems necessary not only to crack down and remove them, but also to take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to eradicate illegal operations. 싹쓸이 '범장망'…"단속도 철거도 어려워" 경비함정이 건져 올린 대형 그물을 해경 대원이 잘라냅니다. 하루 이상 그물에 잡혔던 죽은 어류들이 바다로 방류됩니다. <현장음> 다 째어버려. 절단 다 됐습니다. 됐다 됐다. 그만해. 차귀도 남서쪽 150km 해상에서 발견된 대형 범장망 제거 작업입니다. 해경은 지금까지 범장망 네 틀을 절단해 어류 5톤을 바다로 돌려보냈습니다. 현재까지 중국 어선이 설치한 것으로만 파악될 뿐 누가 불법 조업을 했는지 소재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중국에서도 범장망 어선은 무적선으로 정체 불명인데다 야간이나 기상 악화를 틈타 우리나라 해역을 넘는 게릴라 방식의 조업 특성 때문입니다. 더구나 설치한 뒤 이미 수거해 갔을 가능성도 높아 정확한 설치 규모나 조업 피해를 알기도 어렵습니다. 실제 이번에도 순찰을 통해 확인된 30여 틀 가운데 해경이 제거한 네 틀을 제외한 나머지는 일주일 사이 사라졌습니다. 상당수는 단속을 피해 되가져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영곤/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계장> 기상 악화 시 일부 유실 또는 수거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불법 범장망 조업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대형 경비함정 추가 배치 및 특별 단속을 통해서 강력히 조치한다는 방침입니다. 발견된 범장망을 처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현재 범장망 철거는 해양수산부가 전담하는데 길이만 250미터가 넘는데다 수 톤의 무게 때문에 인양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4월, 제주도 서쪽 185km 해상에서도 범장망 60여틀을 발견했지만 40여틀만 철거하고 나머지는 수거하지 못했습니다. 올해 책정됐던 예산 4억 5천만 원도 동이나 제주지역 범장망 철거 일정 조차 잡히지 않은 상황입니다. 발견 됐어도 제때 처리를 못해 다시 중국어선이 수거해 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겁니다. 겨울철 범장망 조업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단속과 철거 대책 뿐 아니라 불법 조업 근절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응도 필요해 보입니다.
  • 2022.12.19(mon)  |  이현
  • Year End Investigation for Children in Need
  • Seogwipo City will conduct household investigations to check the status of 153 children admitted to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ren in foster care for the year-end and New Year holidays.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by child protection agents who visit childcare facilities and families in person, to ensure needs and protection measures are being met. Also, training books and materials to support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will be offered. 서귀포시, 연말 보호아동 양육상황 점검·지원 서귀포시가 연말연시를 맞아 양육시설 입소 아동과 가정위탁 보호 아동 153명에 대한 양육상황을 점검합니다. 이번 점검은 아동보호전담요원이 양육시설과 가정에 직접 방문해 양육상황과 함께 보호조치 필요성, 보호 종결 여부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아동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각종 도서 관련 물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Jeju Dream Tower at Job Fair
  • In response to the surge in foreign tourists due to the resumption of direct international direct flights, Lotte Tourism Development Co., Ltd. is recruiting to add to its manpower. Recruitment will target hires for its hotel and casino, and integrated support will be prioritizing on hiring local talent. In addition, a job fair will be held in Jeju and Seoul from the 5th to the 7th of next month and offer professional placement counseling. 제주 드림타워, 인력 상시 채용…내달 잡콘서트 롯데관광개발이 국제선 직항 재개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 급증 등에 대비하기 위해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인력을 상시 채용합니다. 모집 대상은 호텔과 카지노, 통합지원 분야로 도내 인력을 중점적으로 채용할 방침입니다. 또 다음달 5일부터 7일까지 제주와 서울에서 잡콘서트를 열어 전문가와 직업 상담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합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Transportation Improvements at Hallasan Arboretum
  • Improvements to transportation facilities at the entrance of Halla Arboretum have been made due to increased traffic. The Jeju Municipal Police Bureau installed a crosswalk signal on the southern side of the intersection at the entrance of Halla Arboretum and improved surrounding walking paths. In addition, the traffic signal duration has been extended in order to reduce traffic congestion for vehicles using Aejoro road. So far, there have been five traffic accidents that occurred at the entrance intersection of Halla Arboretum during the past four years. ‘유동인구 증가' 한라수목원 입구 교통시설 개선 최근 제주경찰청 이전과 상가 신축 등으로 유동인구와 통행량이 늘어난 한라수목원 입구 교통 시설이 개선됐습니다.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한라수목원 입구 교차로 남쪽에 보행신호기를 설치하고 보행 동선을 개선했습니다. 또 애조로에서 진입하는 차량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직진 신호 시간을 연장했습니다. 한편, 한라수목원 입구 교차로에서는 최근 4년동안 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Negligence in Personnel Management
  • Provincial audits identified negligence in work designated for Jeju fire authorities and procurement contracts. The Provincial Audit Committee conducted a comprehensive audit targeting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and fire departments under its jurisdiction. 11 administrative measures and four personnel status measures were issued. Cases include public officials who do not meet criteria being appointed as 119 rescue workers. Others include violations in procurement where contracts were split to avoid public bids regulated for contracts worth over 200 million won. Also allowances that were paid in full without any reduction to the personnel who are to receive disciplinary measures will be withdrawn. 소방 인력·계약업무 소홀 등 지적사항 수두룩 제주 소방당국이 구조대원 편성 업무와 물품 구매 계약 업무 등을 소홀히 한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가 제주도소방안전본부와 관할 소방서를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실시하고 모두 11건의 행정상 조치와 4명에 대한 신분상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주요 지적 사항은 기준에 맞지 않는 공무원을 119 구조대원으로 인사발령 하는가 하면 2억원 이상 물품을 구매할 때는 경쟁을 통해야 하는데도 쪼개기 발주로 수의계약으로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와함께 징계처분자에게 수당 등을 감액하지 않고 지급해 이를 회수하도록 요구했습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Jeju Expands Outdoor Grown Tangerines Sales
  • To promote sales of outdoor grown tangerines, Jeju Island will be expanding its support on direct delivery to consumers. Accordingly, the province will operate special sales by subsidizing auction fees, sales events and providing supplementary supplies. In addition,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plans to use various platforms to prepare special exhibitions and focus on online promotions such as issuing discount coupons and supporting delivery costs. 노지감귤 성출하기 직거래·온라인 판촉 확대 노지감귤 성출하기를 맞아 제주도가 소비 촉진을 위해 소비지 직배송을 확대합니다. 이에따라 감귤 출하조합 등에 경매 수수료를 지원하고 덤행사와 특판 행사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 제주 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은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행사 기획전을 마련하고 할인쿠폰 발급과 택배비 지원 등 온라인 판촉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Unused Disaster Subsidy To Disappear
  • Any remaining funds of the disaster emergency living support fund that is not used up within the year will dissappear thereafter. Jeju urges people to be aware that the subsidies paid via local currency (탐나는전) Tamnaneunjeon can only be used until the 31st of this month and any unused funds will automatically disappear. In addition, residents who have not yet applied for the subsidy must apply by the 20th. As of yesterday, the total amount of unused subsidies reached 2.593 billion won. 전 도민 재난지원금 연말까지 사용해야…31일 이후 소멸 지난 8월부터 지급된 전 도민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을 올해 말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전액 소멸됩니다. 제주도는 탐나는전으로 지급된 지원금을 오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을 결우 자동 소멸돼 환수 처리된다며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아직 지원금을 신청하지 못한 도민은 오는 20일까지 신청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어제 기준으로 지원금 미사용액은 모두 25억 9천 3백만 원에 이릅니다.
  • 2022.12.15(thur)  |  이현
  • Disabled Artists Put Creativity on Show
  • Disabled Artists Put Creativity on Show Animals that symbolize bravery appear on a long canvas. The clay dragon wears the color orange, going against our preconceptions in an imaginative way. These are works by(강승탁) Gang Seung-tak, an artis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NTERVIEW Gang Seung-tak / Exhibition artist I drew members of a cat family, a fierce dog, and a dragon. I wanted to express strong and courageous animals. Eight artis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playing their creations after working on them for over a year. The exhibition is the result of a project designed to tea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 to express themselves artistically. It seeks to expand social participation, such as by professional artists. Local artists also participate in the project. INTERVIEW Yang Jae-yeol / Artist, instructor The ideas and innoc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shattered my prejudices. The closer I become with them and the more I teach them, the more they inspire me. The parents of these burgeoning artists have a different take on how they view the exhibition. They say that having a disability does not mean that one is unskilled or unable, but rather that those with disabilities can present another kind of potential through their art. Park Hyang-ran / Associa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I want people to see the potential of the disabled. And my biggest wish is that people see the disabled as our neighbors. "Able art" means the art of possibility. The challenges faced by disabled artists are not only drawing the public’s attention, they’re showing everyone just how much creative potential these talented individuals have to offer. "우리도 예술가" 발달장애인들의 특별한 도전 병풍처럼 길게 펼쳐진 화첩에 용맹함을 상징하는 다양한 동물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클레이로 만든 용 조형물은 선입견을 깨고 주황색으로 표현되며 상상에 상상을 더했습니다. 발달장애를 가진 예비창작자 강승탁 씨가 오랜 시간 공을 들여 만든 작품들입니다. <강승탁 / 발달장애인 예비창작자> 고양이과 맹수하고 개과 맹견을 그렸습니다. 또 용도 그렸고요. 강하고 정의롭고 용기 있는 동물로 표현했습니다. 8명의 발달장애인 예비창작자들이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준비한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발달장애인들에게 예술을 통한 다양한 표현방법을 교육하고 직업적인 작가 활동과 같은 사회참여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젝트 전시회입니다. 지역의 비장애인 작가들도 힘을 보태 의미를 더했습니다. <양재열 / 작가·지도강사> 발달장애인분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 순수함 같은 것 때문에 제가 가지고 있었던 편견들이 좀 많이 깨지고 이 친구들한테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제가 가르치는 게 아니라 제시자 역할을... 전시회에 참여한 예비창작자들의 부모들 마음은 조금 남다릅니다. 장애가 있다고 해서 무능력하고 불가능한 존재가 아니라 예술을 통해 그들만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박향란 / 서귀포시장애인부모회장> 장애인을 장애인으로만 보지 않고 장애인의 가능성을 봐주셨으면 좋겠고요. 장애인도 나하고 같이 사는 이웃이다라고 봐주셨으면 하는 게 가장 큰 바람입니다. 가능성의 예술, 장애의 예술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에이블아트' 발달장애인들의 특별한 도전이 비장애인 못지 않은 가능성을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 2022.12.15(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