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일)  |  이정훈
제주지역 농민 인구가 줄어드는 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만9천125가구로 1년 전인 3만357가구보다 천2백여가구, 4.1% 줄어든 겁니다. 이 같은 농가 감소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습습니다. 특히 60살 이상의 농민은 전체 농가의 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제주지역 어가는 2천599가구로 전년 대비 5.5% 감소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2:21
  • "제주에 폭싹 빠졌수다"…관광객 잡기 총력
  • 제주도가 봄 여행 시즌에 맞춰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제주 여행주간을 마련했습니다. 이 기간 제주를 찾는 여행객에게는 풍성한 혜택과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는데 관광 수요 회복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관광객이 화면에 표시된 QR코드에 휴대폰을 갖다대자 디지털 관광증 사전 신청이 완료됩니다.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제주와의 약속에 대한 서약까지 마치자 경품 참여 기회가 주어지고 작게는 키링에서 크게는 탐나는전 5만 원권에 당첨됩니다. 기대하지 않았던 행운에 제주여행의 시작은 더욱 설레고 기쁩니다. <인터뷰 :변정현 조하민 조재승 / 경남 김해> “아버지 칠순 기념으로 가족들끼리 다 같이 제주도 놀러 왔는데 만 원짜리, 5만 원짜리 상품권에 당첨되고 (정말 좋아요.) 기대치 않게 도착하자마자 이런 행운이 오게 돼서 여행 내내 재밌게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 공항 한편에 마련된 넷플릭스의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촬영지를 재현한 유채꽃 포토존은 색다른 추억을 선사합니다. 모두 오늘 개막한 제주 여행주간을 맞아 준비된 이벤트들입니다. <스탠드업 : 김지우> “내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마련된 이번 여행 주간은 다음 달 6일까지 열흘간 이어집니다.” 올들어 현재까지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약 23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제주도는 봄 관광 시즌에 맞춰 여행주간을 운영해 둔화된 관광객 수요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여행 주간에는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증정 등의 혜택과 폭삭 속았수다 촬영지 탐방, 국가유산방문의 해 연계 프로그램 등이 운영됩니다. <인터뷰 : 김희찬 / 제주도 관광교류국장> “경기가 장기적으로 침체되고 또 여행 심리가 위축되면서 덩달아 제주를 찾는 국내 관광객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여행 수요를 촉진하고 제주관광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여행주간 행사를 개최하게 됐고요.” 제주도는 하계기간 제주 기점 국내선 항공편이 늘어난 만큼 여행주간을 시작으로 내국인 관광객 회복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 2025.03.28(금)  |  김지우
KCTV News7
00:50
  • 예금은행 연체율 '역대 최고'…가계·기업 급등
  • 가계와 기업의 자금 사정이 모두 악화되면서 제주지역 예금은행 연체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 1월말 도내 예금은행 연체율은 1.14%로 전월 대비 0.1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한은이 지역별 연체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로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차주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차입주체별 연체율을 보면 기업대출이 0.18%포인트 오른 1.18%, 가계대출이 0.12%포인트 상승한 1.19%로 나란히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 2025.03.28(금)  |  김지우
KCTV News7
00:53
  • 하계 제주 항공편 확충…국내선 주 1,558회 운항
  •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인 오는 3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7개월간 제주기점 국내선 항공편이 일주일에 1천 558회 운항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하계기간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발표했습니다. 국내선 제주노선은 김포와 김해 등 모두 11개로 주 운항횟수는 지난해 하계 시즌보다 0.3% 동계 기간에 비해서는 11.8% 증가했습니다. 국토부는 제주노선의 높은 하계 수요에 대응하면서도 소규모 지방노선의 안정적인 운영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 기점 국제선은 기존보다 2개 노선이 추가된 총 4개국 22개 노선으로 주196회 운항할 예정입니다.
  • 2025.03.28(금)  |  김지우
KCTV News7
00:34
  • 제주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하락세 지속
  •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이 소폭의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넷째주 제주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5% 하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귀포시는 동홍동과 서홍동을 위주로 0.09% 내렸고 제주시는 노형동과 일도2동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늘면서 0.05% 하락했습니다. 이와 함께 전세가격은 전주와 비교해 0.06%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5.03.28(금)  |  김지우
KCTV News7
00:42
  • 2027년까지 메밀 지역특화작목 집중 육성
  •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오는 2027년까지 메밀을 지역특화작목으로 집중 육성합니다. 이를 위해 메밀 신품종 보급을 통한 재배 안정화와 기능성 연구, 가공산업 확대, 체험 관광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합니다. 특히 기존 메밀보다 수확량이 많고 병해충에 강한 신품종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농가실증 시험을 추진하고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제주지역은 2010년 이후 국내 최대 메밀 생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국내 전체 생산량의 57%를 차지하고 있지만 소비자 인지도는 낮아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 2025.03.28(금)  |  양상현
KCTV News7
00:49
  • 올해 하계 제주 기점 국내선 운항 주 1,558회
  •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인 오는 3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7개월간 제주기점 국내선 항공편이 일주일에 1천 558회 운항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하계기간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발표했습니다. 국내선 제주노선은 모두 11개로 주 운항횟수는 지난해 하계보다 24회 동계 기간에 비해서는 113회 늘었습니다. 국토부는 제주노선의 높은 하계 수요에 대응하면서도 소규모 지방노선의 안정적인 운영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 기점 국제선은 일본 도쿄와 오사카, 중국 베이징, 상하이, 싱가포르 등 모두 21개 노선이 운항됩니다.
  • 2025.03.28(금)  |  김지우
KCTV News7
02:32
  • 떠나는 청년 농업인…첫 육성 계획 수립
  • 제주도내 청년농업인이 크게 줄고 있습니다. 10년 전에 비해 80% 가까이 줄며 농촌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는데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가 처음으로 청년농 육성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올해로 34살인 문선호 씨. 농업인 치고 어린 나이지만 경력이 적지 않습니다. 20대 초반부터 농사일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건 부족한 경험과 정보 습득. 여러 경로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찾아다니며 극복했는데 최근 후배 농업인들을 보면 더 많은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인터뷰 : 문선호 / 청년 농업인> ”더울 때 더운 곳에서 일하고 추울 때 추운 곳에서 일하는 게 농업이라서 청년들이 농업을 기피하지 않나...그리고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 창업을 하기에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가업을 물려 받든, 새롭게 농사를 시작하든 농업에 뛰어든 청년들의 상황이 녹록치 않은데 현실의 벽에 부딪혀 포기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브릿지 : 문수희> ”청년 농업인 규모가 지속적으로 줄면서 농촌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기준 제주 청년 농업인 규모는 4천호 가까이 달했지만 10년 사이 851호로 쪼그라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농가 가운데 청년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4년 10.3%에서 2023년 2.8%로 줄어든 반면 65살 이상 농가 비율은 2014년 39.4%에서 2023년 52%로 늘었습니다. 청년 농업인을 잡기 위해 제주도가 처음으로 육성 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는 2029년까지 청년 농업인 1,200호 육성을 목표로 유입부터 영농 창업, 정착, 전문 농업인까지 단계별로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모두 30개 사업에 1천226억 원이 투입되는데 특히 청년 농업인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농지 임대료 등 실질적인 지원 사업에 중점을 뒀습니다. <인터뷰 : 김영준 /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농업정책과장> "청년농들의 가장 애로사항이 농지 구입 문제를 힘들어 하는데 이번 추경을 통해 농지 임대료 지원 사업도 반영을 했습니다." 제주도의 청년 농업인 육성 계획이 농촌 지역을 보다 젊게 만드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좌상은, 그래픽 : 이아민)
  • 2025.03.27(목)  |  문수희
KCTV News7
00:38
  • "85㎡ 초과 미분양 취득세 50% 감면 건의"
  • 제주도내 상공업계가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탄력적인 세정 정책 운영 등을 제주도에 건의했습니다. 제주상공회의소는 오늘(27일) 지역 상공인 의견을 반영한 건의서를 제주도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건의서에는 85㎡ 초과 미분양 주택 취득세의 50% 감면과 탐나는전 가맹점 확대, 용도지역·지구 층수 완화, 농지취득 자격 완화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제주상의는 대내외적 영향으로 지역 기업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지역 현안을 반영한 정책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 2025.03.27(목)  |  김지우
KCTV News7
02:10
  • 양배추 1포기 5,000원…"당분간 채솟값 강세"
  • 3천원대에 거래되던 양배추 1포기 가격이 최근 5천원을 넘어섰습니다. 여기에 배추와 무, 당근 등 주요 채소가격까지 줄줄이 올라 밥상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는데 이 같은 강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제주오일시장 내 채소가게가 몰려 있는 골목입니다. 수많은 유동인구에도 채소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습니다. 뜸해진 손님에 채소가게 상인들은 야채를 다듬으면 시간을 보내는가 하면 멍하니 앉아 있기도 일쑤입니다. 손님이 줄어든 가장 큰 요인은 치솟는 채솟값에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간혹 오는 손님도 선뜻 물건을 고르지 못합니다. <인터뷰 : 소비자> “너무 비싸요 옛날에 비해서 지금. 그러니깐 서민들은 지금 진짜 이러다 큰일 난다 안정이 돼야지. 큰일 났어요 서민들 어째 살아.” 제주도내 양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1포기에 5천원을 웃돌고 있습니다. 전년 대비 20%, 평년보다는 30% 급등했습니다. 1포기에 1만원까지 올랐던 배추는 김장철이 지나면서 6천원 선까지 내렸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여전히 60% 이상 비싼 가격입니다. 이와 함께 대표적인 월동 채소인 무와 당근을 비롯해 상추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채솟값 상승이 반갑지 않은 건 상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 김민경 / 시장 상인> “(손님들이) 주머니 안 열려고 그래요. 왜 이렇게 비싸냐고 말도 못 해요. 먹지 말자 그러고 가요. 너무 비싸니깐 물가가 올해는 유난히 더 비싸고.” 폭염과 폭설 등 잦은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하면서 채소가격이 오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채소가격은 봄 채소가 출하되는 다음 달 말까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당분간 밥상 물가 부담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박병준, 그래픽 송상윤)
  • 2025.03.27(목)  |  김지우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