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Vietnamese Broker Arrested for Illegal Work
  • A woman in her 40s, identified as A, was arrested for allegedly arranging employment for around 50 Vietnamese crew members with expired visas or overstayed residency in Jeju. The Jeju Maritime Police Station apprehended A, a Vietnamese migrant woman, and sent her to the prosecution on charges of introducing illegal foreign workers to fishing vessels in different regions from June to September last year. She is accused of charging a fee of 200,000 won per person. The coast guard reported that A was exploiting crew employment opportunities, facilitating the illegal employment of foreign nationals. 불법 체류 외국인 선원 취업 알선 베트남 이주여성 검거 불법 체류 외국인 선원의 취업을 알선하고 수수료를 챙긴 40대가 검거됐습니다. 제주해양경찰서는 비자가 만료됐거나 체류기간을 넘긴 베트남 선원 50여 명의 취업을 알선한 혐의로 베트남 이주여성인 40대 A씨를 검거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해경에 따르면 A씨는 선원 고용난을 노려 지난해 6월부터 9월까지 다른 지역 어선에 불법 체류외국인을 소개하고 1명당 20만 원 상당의 수수료를 챙긴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 2023.07.24(mon)  |  이현
  • Education Council Demands Authority Protection
  • Education superinten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have come forward demanding special measures in response to recent incidents of teacher assaults and teacher fatalitie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ducation Superintendents made this decision during its 91st annual meeting held at Suwon Convention Center on the 20th. Furthermore, they discussed additional measures at the education office level to safeguard educational authority in light of recent incidents and proposed forming a joint task force involving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protect educational authority. 시도교육감협의회, "교권보호, 특단의 대책 필요" 전국 시·도 교육감들이 최근 연이은 교사 폭행과 교사 사망사건과 관련해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지난 2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1회 총회에서 이같이 결정했습니다. 이와함께 최근 사건에 대해 교육청 차원의 교권보호대책 보완 방안을 논의하고 국회와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교권보호를 위한 공동테이블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 2023.07.24(mon)  |  이현
  • Kang Gyeong-heom Expelled Over Allegations
  • (강경흠) Kang Gyeong-heom,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has been embroiled in prostitution allegations, has been expelled from the Democratic Party.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Democratic Party, on the 12th, Kang received an expulsion decision from the Ethics Committee of the Jeju branch. As he did not appeal the decision, the expulsion was confirmed. Thus, Kang has become an independent member, no longer affiliated with the party. Meanwhile, the Jeju Provincial Council is proceeding with separate disciplinary procedures concerning the Assembly member. 성매매 의혹 강경흠 도의원 더불어민주당 제명 확정 성매매 의혹을 받고 있는 강경흠 도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에 따르면 지난 12일 제주도당 윤리심판원으로부터 제명 처분을 받은 강 의원이 이의 신청을 하지 않음에 따라 제명이 확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강경흠 의원은 무소속으로 당적이 변경됐습니다. 한편, 제주도의회는 강의원에 대한 별도의 징계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2023.07.24(mon)  |  이현
  • 4.3 Distortion Penalty…Ambiguous Criteria
  • The amendment bill, which seeks to penalize the distortion and denigration of the April 3 Incident, is embroiled in controversy as the National Assembly's standing committee has taken a negative stance on the matter. The National Assembly's Committee on Administration and Safety stated in its review report that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mendment bill is reasonable. However, there are concerns that the criteria for judging 4.3 distortion acts are ambiguous and could undermine freedom of expression, necessitating careful consideration. During a prior visit to Jeju, Minister of Justice Han Dong-hoon expressed a cautious stance on imposing criminal punishment for 4.3 distortion, stating that resorting to criminal penalties is an extreme approach regarding the punishment clause. 4·3 왜곡 처벌 개정안 부정적…"왜곡행위 판단 모호" 4.3 왜곡 폄훼를 처벌하도록 하는 4.3 특별법 개정안에 대해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검토보고서에 개정 법률안의 입법 취지는 타당하지만 4.3 왜곡 행위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하고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했습니다. 지난번 제주를 찾은 한동훈 법무부장관도 4.3 왜곡에 대해 형사처벌까지 가는 것은 극단적인 방식이라며 처벌 조항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 2023.07.24(mon)  |  이현
  • Construction Halt Due to an Abandoned Car
  • Construction Halt Due to an Abandoned Car This area is known for its dense residential housing. Amidst the houses, one can spot a single white sedan standing alone in a spacious but empty parking lot. The overgrown vegeta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wheels indicate that the vehicle has been abandoned for quite some time. To address the chronic parking shortage in the area and prevent long-term abandonment of vehicles, a project to implement paid parking lots is underway. The installation of parking control equipment and ground work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by mid-September. However, absurdly enough, the parking lot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halted due to this long-term abandoned vehicle. Local residents are expressing disbelief that the construction has been postponed because of an abandoned vehicle that has been left unattended for years. INTERVIEW Nearby Merchant I was suspicious, could it be that they're not doing the construction because of an abandoned vehicle? They can't do it because of that? Why did they leave it like that... Is there any value in delaying the construction because of that? INTERVIEW Area resident It's been there for years, maybe six years now? They say they can't touch it recklessly. They should remove it quickly... However, due to the lack of clear criteria and time frames for dealing with abandoned vehicles under the parking law, there is no way to force immediate removal. As a stopgap measure, Jeju City decided to temporarily relocate the abandoned vehicle and put it back in the parking lot once the construction is finished. According to the criteria applied by Jeju City last month for enforcing actions against long-term abandoned vehicles, it will be possible to enforce the removal in March next year, as it will have been a year since the vehicle was officially identified as abandoned. In the en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arking lot, the unauthorized abandoned vehicle continues to occupy one side of the parking area. 주차장 개선 공사 중단…방치차량 한 대 때문 제주시내 주택 밀집 지역입니다. 주택 사이에 조성된 텅빈 넓은 주차장에 홀로 세워진 흰 승용차 한 대가 눈에 띕니다. 무성하게 자란 풀들과 바퀴 상태를 보면 오랜 시간 방치됐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역의 고질적인 주차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장기방치 차량 방지 등을 위한 주차장 유료화 사업을 추진 중인 곳입니다. 9월 중순까지 주차장 입출입 기기 설치와 바닥 공사 등이 진행될 것으로 고지됐습니다. 하지만 어이없게도 이 장기 방치 차량 때문에 주차장 개선 사업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인근 주민들은 해당 차량이 수년 동안 방치돼 왔다며 이로 인한 공사 중단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인근 상인> 긴가민가 했어요. 설마 방치차량 때문에 (공사를) 안 하고 있다고? 못하고 있다고? 왜 방치하고 있나…. 저것 때문에 지금 이렇게 연기시켜야 될 만한 가치가 있나… <인근 주민> 이거 몇 년 됐어 한 6년 됐나? 저거는 함부로 건들지도 못한다면서요. 빨리 치워버려야지... 하지만 주차장법상 방치차량에 대한 명확한 기간이나 처리 기준 등이 없다보니 이를 강제로 처리할 수도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따라 제주시는 궁여지책으로 해당 방치 차량을 잠시 옮겨두고 공사가 마무리되면 다시 주차장에 세워두기로 했습니다. 지난달 제주시가 장기방치 차량 행정대집행을 실시한 기준을 적용한다면 해당 차량이 방치된 것으로 조사된지 1년이 지난 내년 3월에나 강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주차장 조성이 끝난 후에도 골치덩이인 무단방치차량은 여전히 주차장 한 면을 차지하게 됐습니다.
  • 2023.07.24(mon)  |  이현
  • Jeju Introduces Low Interest Loans
  • The province is lowering the interest rate for the ‘(제주 혼디론) Jeju Hondi Loan, which is provided by the Credit Recovery Commission for Jeju residents. This loan, which is provided in partnership with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Credit Recovery Committee and Jeju Credit Guarantee Foundation, supports residents who have undergone debt restructuring or received individual insolvency approval and demonstrate commitment to debt repayment with offering a maximum loan amount of 15 million won with an equated installment repayment plan for a period of up to 5 years. Up to date, 546 have applied to the Hondi Loan in the previous year, and 298 cases this year. '소액대출' 제주혼디론 대출금리 1%로 인하 제주특별자치도가 신용회복위원회의 제주도민 대상 소액대출상품인 제주혼디론의 대출금리를 현재 최고 4%에서 1%로 인하합니다. 제주도와 신용회복위원회, 제주신용보증재단의 협약사업인 제주혼디론은 채무조정이 확정되거나 개인회생 인가를 받은 후 성실히 채무를 상환하거나 완제한 도민에게 1천 500만원 한도에서 최대 5년간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으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제주혼디론 대출상품 이용실적은 지난해 546건, 올해의 경우 5월까지 298건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Delivery Worker’s Shelter Getting Popular
  • The number of users at '(혼디쉽팡) Hondi Shimpang,' the Jeju Delivery Worker’s Shelter, is consistently growing, especially among drivers, quick service workers, and delivery personnel.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Shelter has seen a 20% increase in users, with a total of 20,000 people utilizing its servic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mong the Shelters, Jeju City hall Shelter has the highest number of users at 7,800, followed by the Yeondong Shelter with 7,600, and the Seogwipo Shelter with 4,600. Jeju Island is going beyond providing a mere resting space and has been successful in organiz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n areas such as labor, finance, and law, generating positive responses from the participants. 제주이동노동자쉼터 이용 꾸준히 늘어 대리운전이나 퀵서비스, 배달업 등 제주이동노동자쉼터인 '혼디쉼팡' 이용객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 쉼터 이용자는 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습니다. 제주시청센터가 7천 800명으로 가장 많고, 연동센터 7천 600명, 서귀포센터 4천 600명 등입니다. 제주도는 단순한 휴식공간을 넘어 노무와 금융, 법률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호응을 얻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Jeju Air Opens Flights to Macau and Beijing
  • Jeju Air, a low-cost airline, is expanding its operations in the Jeju hub by introducing new routes to Macau and Beijing in the Greater China region. The Jeju-Macau route will launch on the 25th of this month, followed by the Jeju-Beijing route on the 2nd of next month. Both routes will operate twice a week. Jeju Air aims to expand its market share in the medium and short-haul international routes by starting new flights to the Greater China region, in addition to its existing routes in Japan and Southeast Asia. 제주항공, 제주-마카오·베이징 신규 취항 저비용항공사인 제주항공이 제주기점 중화권 노선 운항을 확대합니다. 오는 25일부터 제주-마카오 노선, 다음달 2일부터 제주-베이징 노선에 신규 취항하게 됩니다. 이들 두개 노선은 각각 주 2회 운항 일정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제주항공은 일본, 동남아 노선에 이어 중화권 노선에도 신규 취항을 시작하며 중, 단거리 국제선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2nd Phase of Jeju Outer Port Resumes
  • After a 7-year hiatus, the Jeju Outer Port Phase 2 development project, aimed at resolving berth shortages, has resumed. The island plans to invest 72.5 billion won by 2027 to reclaim over 40,000 square meters of sea area and construct mooring facilities and has announced the draf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Jeju Outer Port Phase 2 development project. On the 25th, the Jeju City (건입동) Geonip-dong and (화북동) Hwabuk-dong Community Centers will hold explanatory meetings with residents. According to Jeju Island authorities, the project is expected to alleviate berth shortages and facilitate efficient cargo handling. The second phase of the Jeju Outer Port project was initially launched in 2016 but faced delays due to a decrease in cruise ship arrivals.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 7년 만에 재개 선석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이 7년 만에 재개됩니다. 제주도는 오는 2027년까지 사업비 725억 원을 투입해 4만여 제곱미터 규모의 해상을 매립하고 계류시설 등을 조성하는 내용의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공고했습니다. 이어 오는 25일 제주시 건입동과 화북동 주민센터에서 주민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이 사업을 통해 선석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원활한 화물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초 제주외항 2단계 사업은 2016년부터 추진됐지만 크루즈 입항이 감소하면서 진척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 2023.07.20(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