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To Further Promote Flood Prevention
  • The province is expanding its support for the installation of flood prevention facilitie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underground housing complexes. Main focus will be on raising the subsidy rate for flood prevention facility support from the initial 50% to 90%. However, for standalone or residential underground floors in multi-unit housing, 100% support will be provided. In the case of multi-unit housing with non-residential underground floors such as parking lots, support will vary depending on scale and location. Jeju will support a limit of 10 million won for multi-unit housing and 6 million won for general housing and is currently accepting applications for assistance in installing manual flood barriers in both administrative cities. 지하주차장·지하주택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주택 지하주차장과 지하주택을 대상으로 한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을 확대합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침수방지시설 보조사업의 기준 보조율을 당초 50%에서 90%로 상향 조정합니다. 다만 단독, 공동주택 지하층이 주거용인 경우 100% 지원하며 공동주택 지하층이 주차장 등 비주거용인 경우 규모와 위치에 따라 차등 지원합니다. 한 개소당 지원한도는 공동주택의 경우 1천만원, 일반주택은 600만원까지입니다. 제주도는 양 행정시를 통해 수동식 물막이판 설치 지원을 공모하고 있습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Inspections on Airport Underground Passage
  • A safety inspection was conducted on the underground passage at Jeju Airport, which opening was delayed due to a flooding accident in (청주 오송) Cheongju Osong underground passage in (충북) Chungbuk Province. Governor (오영훈) Oh Young-hoon and relevant agencies, including Jeju City, visited the site to carefully examine the drainage facilities and safety equipment within the underground passage. According to Jeju City, the design of the underground passage incorporates a sloped structure that allows water to flow through efficiently, capable of handling heavy rainfall of up to 100mm per hour, and thus that the possibility of flooding accidents is deemed low. In response to the findings, Governor Oh has instructed the install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within the underground passage to mitigate the impact of heavy rains. Jeju City plans to temporarily open the underground passage early next month to address any necessary improvements, aiming for an official opening by the end of next month or early September. 제주공항 지하차도 안전점검…"안전시설 보강" 최근 충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고 영향으로 개통이 연기된 제주공항 지하차도에 대한 안전점검이 진행됐습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제주시 등 관계기관은 오늘 오전 현장을 찾아 지하차도 내 배수 시설과 안전 시설물 등을 점검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제주시는 제주공항 지하차도의 경우 물이 흐르도록 경사져 있고 시간당 최대 100mm까지 빗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침수사고 가능성은 적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오영훈 지사는 지하차도 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CCTV와 폭우에 따른 자동 차단기 설치 등을 주문했습니다. 제주시는 다음달 초 지하차도를 임시 개통해 보완점을 개선하고 다음달 말이나 9월 초 정식 개통할 계획입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Slow Reservoir Reinforcement
  • Slow Reservoir Reinforcement This is the second reservoir built in the upper reaches of the (한천) Hancheon River in 2009. Renovations on the inflow gates at the reservoir are currently underway. The existing gates, which are 10 meters wide, are being dismantled and replaced with new gates that are 18 meters wide. There are also plans to lower the gate threshold by 30 centimeters and raise the height of the riverbank. This will allow an additional 10.3 tons of rainwater per second to flow into the reservoir instead of the river. Construction has begun after a four-year delay. In 2019 there was a detailed assessment which emphasized the need to reinforce the gate facilities due to a low inflow rate into the reservoirs. This, in turn, could increase the risk of river flooding. With a budget of around 700 million won, the project’s planned completion date is in August, prior to the arrival of typhoon season. Howe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servoirs still lack follow-up measures. The previous assessment recommended that the inflow capacity of major urban river reservoirs that run through the city should be doubled. This included (병문천) Byeongmuncheon River, (독사천) Doksacheon River, and (산지천) Sanjicheon River. However, except for the (한천) Hancheon River Reservoir, construction on the remaining facilities has yet to start. The key issue lies in the project’s cost, which amounts to hundreds of billions of won. It has proven difficult to secure the required budget, which includes government funds, due to prioritization challenges based on urgency and risk of disasters. Recording Yang Su-ho / Representative, Jeju City This project was delayed and started late due to a lack of surplus budget, as other more urgent projects were prioritized and received budget allocation. We started the project last year, and there are around 10 projects overall for next year as well. Our plan is to proceed with them gradually. During this year's rainy season, heavy rainfall nationwide has led to record-breaking loss of lives. However, the on-going project to improve Jeju’s reservoir performance, which is crucial for flood prevention, has yet to show any significant progress. 전국 '물난리'…제주 저류지 보강 '언제쯤' 지난 2009년 한천 상류에 조성된 제2저류지입니다. 저류지 유입부에 수문 교체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폭 10미터였던 기존 수문을 철거하고 폭 18미터 짜리 새 수문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수문 문턱도 30cm 낮추고 반면 하천 보는 높일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초당 10.3톤의 빗물이 하천이 아닌 저류지로 더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저류지 유입량이 적어 하천 범람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수문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는 지난 2019년 정밀진단 용역이 나온지 4년 만에 시작된 공사입니다. 사업비 7억 원을 확보해 태풍이 오기 전인 8월 완공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일부를 제외한 저류지 상당수는 여전히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당시 용역에서는 병문천과 독사천, 산지천 등 도심을 관통하는 주요 하천 저류지의 유입부를 최대 2배는 늘려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한천 2 저류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설 공사는 아직 손도 대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백억 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관건인데 재해 위험이나 시급성 측면에서 우선순위에 밀리면서 국비를 비롯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씽크:양수호 제주시 하천관리팀장> 이거보다 더 급한 사업들이 있어서 그쪽에 예산이 투입됐고 여유분의 예산이 없다 보니 후순위로 밀려서 늦게 시작하는 사업입니다. 작년에 사업을 시작하게 됐고 내년에도 전체적으로 10여 개 사업이 있는데 점차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번 장마로 전국에서 기록적인 인명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재해로부터 홍수와 범람 등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 시설인 저류지의 성능 개선 사업은 수년째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2023.07.20(thur)  |  이현
  • Exhibition by Yang Ji-hye Until Aug 6
  • The Haenyeo Museum is currently hosting an exhibition titled "Capturing the Jeju Sea" by artist (양지혜) Yang Ji-hye and will run until the 6th of next month. In this showcase of craftsmanship, art pieces made from epoxy resin, a popular material for crafts, is used to capture the essence of Jeju's landscapes and the captivating presence of the Haenyeo. Over 40 art pieces will be displayed. Various items crafted using Jeju's natural materials such as sand, seashells, basalt, and volcanic moss will also be exhibited. 양지혜 공예전 '제주바다를 담습니다' 해녀박물관서 열려 아름다운 제주바다와 해녀를 소재로 한 양지혜 작가의 공예전이 다음달 6일까지 해녀박물관에서 열립니다. 이번 공예전에서 작가는 공예용 합성수지인 레진을 재료로 흐름을 이용해 제주 섬과 바다에 있는 해녀의 모습을 표현한 40여 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또 모래와 조개, 현무암, 화산송이 등 제주의 자연물을 이용한 다양한 소품도 함께 전시될 예정입니다.
  • 2023.07.17(mon)  |  이현
  • More Villages Added to Jeju Karumstay
  • Three villages, namely (김녕리) Kimnyeong-ri in (구좌읍) Gujwa-eup, (교래리) Gyorae-ri in (조천읍) Jocheon-eup, and (무릉리) Mureung-ri in (대정읍) Daejeong-eup, have been selected as the new Karumstay villages under the integrated village tourism brand. Jeju Province and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recently launched a competition to identify new Karumstay villages. After assessing criteria such as community-driven initiative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ppeal of local resources, and potential for growth, these three villages were chosen. In order to enhance the immersive tourism experiences in these villages, Jeju Province and the organization will provide consulting services an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pilot tourism products. Additionally, there are plans to share best practices and pursue networking initiatives, including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s with existing Karumstay villages. '김녕·교래·무릉' 마을여행 카름스테이 신규 선정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와 조천읍 교래리,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등 3개 마을이 마을관광 통합브랜드인 '카름스테이' 신규마을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최근 카름스테이 신규마을을 공모하고 주민주도 추진체계와 조직력, 마을 자원의 매력성, 성장 가능성 등을 평가해 이들 3개 마을을 선정했습니다. 제주도와 공사는 이들 마을의 체류형 관광상품을 고도화하기 위해 컨설팅과 함께 시범 상품 운영을 지원합니다. 아울러 기존 카름스테이 마을과 교류를 통해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연계상품 개발 등 네트워킹 사업도 후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 2023.07.17(mon)  |  이현
  • Childcare Support Expanded
  • In order to accommodate children who are unable to attend a childcare center due to illness, the accepted documents for verifying attendance have been expanded. Effective from this month, in addition to medical certificates, prescription slips, and medication receipts will now be recognized as valid proof of attendance. This change is a resul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recent revisions to the daycare program guidelines. Full support for childcare fees will be provided only when a child attends the childcare center for 11 or more days per month. If the attendance is 10 days or fewer, parents will be responsible for a portion of the fees. 어린이집 출석 인정 증빙서류 범위 확대 아이가 아파서 어린이집에 못 가는 경우, 앞으로 진단서 외에도 처방전이나 약제비 영수증으로도 출석이 인정됩니다. 이는 보건복지부의 보육사업 지침 일부 개정에 따른 것으로 이달부터 적용됩니다. 영유아 보육료는 어린이집 출석일수가 월 11일 이상인 경우에만 전액 지원됩니다. 월 10일 이하인 경우, 부모 자부담 금액이 발생합니다.
  • 2023.07.17(mon)  |  이현
  • Housing Assistance for Elderly
  • Jeju City has launched a program to provide housing assistance to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who live alone and do not own a home. The program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elderly citizens who are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support but do not have their own housing. Eligible individuals will receive an annual subsidy ranging from 400,000 to 700,000 won per person. This housing assistance is separate from the existing housing allowance of 164,000 won provided unde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the previous year, Jeju City allocated a total of 840 million won to support housing for 1,281 individuals. 제주시, 무주택 홀로사는 어르신 주거비 지원 제주시가 만 65살 이상 무주택 홀로사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국민 기초생활 수급자 가운데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며 1인당 40만원에서 70만원이 연 1회 지원됩니다. 이번 주거비 지원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지급되는 16만 4천원의 주거급여와는 별도로 추가 지원됩니다. 제주시는 지난해 8억 4천 만원을 투입해 1천 281명에게 주거비를 지원했습니다.
  • 2023.07.17(mon)  |  이현
  • 11 Schools Chosen for International Exchange
  • The school-level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which were put on hol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re set to resume. The Jeju POE has announced the selection of eleven schools for participation. Among them are four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인화) Inhwa Elementary and (하도) Hado Elementary, three middle schools, including (노형) Nohyeong and (애월) Aewol Middle, and four high schools, including (대기) Daegi High and (삼성) Samsung Girls' High. These eleven schools have established sisterhood connections with schools in Cambodia, Taiwan, Japan, and Germany, fostering mutual exchange activities. The exchanges will encompass various avenues, including online interactions as well as reciprocal visits and homestays etc. 단위학교 국제교류 사업 재개…11개교 선정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학교단위 국제교류 사업이 재개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공모를 통해 인화초와 하도초 등 4개 초등학교와 노형중과 애월중 등 중학교 3곳, 대기고와 삼성여고 등 고등학교 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11개 학교는 제주도교유청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캄보디아와 대만, 일본과 독일 학교들과 상호 교류 활동을 하게 됩니다. 교류는 온라인은 물론 홈스테이 등을 통한 학교 간 상호 방문도 이뤄집니다.
  • 2023.07.17(mon)  |  이현
  • First Fatality Occur, Be Aware of SFTS
  • Jeju Island has reported its first death caused by Severe Fever with SFTS this year. The unfortunate incident occurred in Seogwipo City, where a 49-year-old resident, Mr. A, received a positive diagnosis for SFTS and passed away on the 12th of this month while undergoing treatm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investig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atient had disclosed having contact with a stray cat. Health authorities are currently conducting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precise route of infection. Given that there are no available vaccines or specific treatments for SFTS, which is transmitted by ticks, Jeju Island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king extra precautions to prevent tick bites. 길고양이 접촉 후 SFTS 양성 환자 숨져, 올해 첫 사망자 올들어 처음으로 제주에서 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에 거주하는 49살의 A씨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양성 판정을 받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오던 중 지난12일 사망했습니다. 이 환자는 길고양이와 접촉했다고 진술한 바 있으며 방역당국은 정확한 감염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 중입니다. 제주도는 참진드기에 의한 감염은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만큼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강조했습니다.
  • 2023.07.1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