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Increased Heat-related Illnesses
  • As the prolonged heat wave continues, the number of heat-related illness patients is increasing. On the 1st day of the, six suspected patients were urgently transferred, including a person in their 40s who showed symptoms of paralysis while performing pesticide work in (성산읍) Seongsan-eup. During the past month, Jeju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heat-related illnesses, with a total of 30 reported cases. Out of those cases, 18 individuals required hospital treatment. The fire department is enhancing its response by equipping rescue vehicles with heat illness supplies such as ice vests and ice packs and dispatching two rescue vehicles simultaneously.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온열질환자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 1일 성산읍에서 농약 작업을 하던 40대가 전신 마비 증상을 보이는 등 1일 하루 동안 의심환자 6명이 긴급 이송됐습니다. 특히 지난 달에만 제주에서 온열질환자 30명이 발생해 이 가운데 18명이 병원 치료를 받기도 했습니다. 소방본부는 구급차에 얼음조끼와 얼음팩 같은 폭염질환 구급장비를 상시 비치하고 구급차 2대를 동시 출동시키며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3.08.03(thur)  |  이현
  • Scorching Heat Killing Livestock
  • Scorching Heat Killing Livestock At a chicken farm in (한림읍) Hallim-eup, Jeju City, the chickens open their beaks and gasp for air, struggling to breathe. The oppressive heat has slowed down their movements significantly. To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s, the farmers tirelessly run fans and spray water on the sunshades outside the buildings. The heat is also taking a toll on the exhausted pigs. Large pigs lie down on the floor, barely moving or breathing. With temperatures exceeding 30 degrees Celsius for consecutive days, livestock management is being faced with an emergency. To cool down the pigs, the farmers use fans and regularly spray cool water, but the internal temperatures remain high. Pigs, in particular, are vulnerable to the heat as they lack a well-developed sweat gland system. This means they suffer from decreased appetite due to scorching heat following the late monsoon season. The unrelenting heat is causing great concern among farmers. INTERVIEW Yu Byeong-seon / Pig farm owner We’re doing our best to lower the perceived temperature for the pigs. I can’t sleep these days because I worry that the pigs we raised with great care might suddenly die in the prolonged heat. <인터뷰 : 유병선 / 양돈 농가> 돼지들 (체감) 온도를 낮추는 데에 주력하고 있어요. 폭염이 지속되면 애지중지 키웠던 돼지들이 갑작스럽게 폐사하는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까 그런 걱정 때문에 요즘 하루하루 잠을 못 자고 있습니다. Since a heatwave warning was issued in Jeju on July 10th, there have been over 33 reports of livestock deaths due to the heat within just 20 days. Most of the reported cases involved pigs. With the heatwave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there are concerns that the number of livestock deaths will increase. As the scorching heat continues unabated, livestock and livestock farmers are facing a tough summer ahead. 찜통 더위에 가축 관리 '비상'…폐사신고 잇따라 제주시 한림읍의 한 양계장. 닭들이 입을 벌린 채 거친 숨을 몰아 쉽니다. 숨 막히는 더위에 닭들의 움직임도 평소보다 더뎌졌습니다.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쉴새 없이 환풍기를 돌리고 건물 밖 차광막에 물을 뿌리기도 합니다. 더위에 지친 건 돼지들도 마찬가지. 몸집이 큰 돼지들이 바닥에 축 늘어져 있습니다. 가뿐 숨을 몰아쉬며 꼼짝도 하지 않습니다. 연일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가축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더위를 식히기 위해 선풍기를 돌리고 직원들이 수시로 시원한 물을 뿌려보지만 내부 온도는 좀처럼 떨어지지 않습니다. 특히 돼지는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더위에 취약한데, 늦은 장마에 곧바로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사료를 먹는 양도 크게 줄었습니다. 꺾일 줄 모르는 폭염에 농가의 걱정은 큽니다. <인터뷰 : 유병선 / 양돈 농가> 돼지들 (체감) 온도를 낮추는 데에 주력하고 있어요. 폭염이 지속되면 애지중지 키웠던 돼지들이 갑작스럽게 폐사하는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까 그런 걱정 때문에 요즘 하루하루 잠을 못 자고 있습니다. 제주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지난달 10일부터 최근까지 한 달도 되지 않아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피해 신고가 30건 넘게 접수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더위에 취약한 돼지였습니다. 당분간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예보되면서 폐사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연일 30도를 웃도는 찜통더위에 가축들도 축산 농가도 힘겨운 여름 나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2023.08.03(thur)  |  이현
  • POE Offers Academic Counseling
  •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conducting academic counsel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is counseling aims to assist students in selecting subjects that align with their future college entrance or career paths, in lin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ounseling will target around 300 parents of first and second graders of regular high schools, and will take place at the Jeju High School Credit System Support Center until the 7th of next month. A team of 20 experienced teachers, including subject and college entrance guidance experts, has been assembled to provide support for this counseling program. 도교육청,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 컨설팅 운영 제주도교육청이 여름방학을 맞아 고교학점제 학업 설계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이번 컨설팅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맞춰 학생들이 대입 전형 등 진학이나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을 돕기 위한 겁니다. 컨설팅 대상은 일반고 1, 2학년과 학부모 3백여 명을 대상으로 오는 7일까지 제주 고교학점제 지원센터에서 이뤄집니다. 이번 컨설팅에는 교과과 진학 지도 등 경험이 풍부한 교사를 중심으로 20명의 지원단이 꾸려졌습니다.
  • 2023.07.31(mon)  |  이현
  • Seogwipo Promotes Forest Therapy
  • Seogwipo Healing Forest is recruiting participants for a forest therapy healing program that utilizes meditation and exercise therapy. This program will run from September 4th to November 27th, every Monday and Friday. Participants will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barefoot walking meditation in the forest, sensory forest therapy, mental therapy, and foot bath experiences. The application period is until the 25th, and the program will be operational with a minimum of two or more participants. Participation is free for the therapy program, but will have to pay for parking individually. 서귀포 치유의숲, 숲테라피 치유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서귀포 치유의숲이 명상과 운동요법을 이용한 숲테라피 치유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9월 4일부터 11월 27일까지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운영되며 숲속 맨발걷기명상과 오감숲테라피, 정신요법, 해먹.족욕체험 등이 진행됩니다. 신청 기간은 오는 25일 까지로 최소 2명 이상 참여 신청시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치유프로그램 참가비는 없으며 주차비는 별도로 부담해야 합니다.
  • 2023.07.31(mon)  |  이현
  • Online Survey on Infertility Support Policies
  • An online survey is being conducted to explore policies to support infertile couples in Jeju Island. A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infertile couples in the Jeju region, the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announced that an online survey will be conducted until the 17th. This survey will target residents who have been selected for infertility support programs over the past five years including infertility diagnosis and treatment, and identifying difficulties faced in the workplace. The data found will be used to assess and improve policies related to supporting infertile couples. 난임부부 지원 정책 발굴 온라인 실태조사 실시 제주도내 난임부부들에게 필요한 정책 발굴을 위한 실태조사가 진행됩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제주지역 난임부부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오는 17일까지 온라인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최근 5년간 난임부부 지원사업에 선정된 도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난임 진단과 시술은 물론 직장에서의 애로사항 등도 조사하게 됩니다. 조사 결과는 난임부부 지원 정책 평가와 개선사항 등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 2023.07.31(mon)  |  이현
  • Public Library Usage Up 65%
  • Following the lifting of COVID-19 restrictions, there has been a notable surge in the utilization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provi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the number of local residents visiting public libraries reached 852,000, an impressive 65%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dditionally, the number of books borrowed has also shown substantial growth, totaling 1,067,000 books, a 45%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Notably, in the case of libraries in Jocheon, Aewol, and Pyoseon, there has been an enthusiastic reading trend among rural residents, with more than 40,000 books being borrowed in just the first half of this year. 공공 도서관 이용 활발…이용객 65% 증가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공공 도서관 이용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동안 도내 공공도서관을 찾은 도민은 85만 2천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 증가했습니다. 또 도서 대출권수는 106만 7천권으로 작년 대비 45% 늘어났습니다. 특히 조천과 애월, 표선도서관의 경우 올 상반기에만 4만여권의 도서가 대출되는 등 농어촌 주민들의 독서 열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2023.07.31(mon)  |  이현
  • Sports Voucher Supported to Vulnerable
  • Sports vouchers aimed at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and disabled individuals are garnering a positive response. According to the province, more than 2,100 residents have availed themselves of these vouchers for a month or longer since the beginning of this year. The vouchers can be used at 170 sports facilities within the province, and successful applicants will receive support of 95,000 won per month for a period of one year. Due to budget depletion, while application has closed for Jeju City, however Seogwipo City is still accepting applications on a rolling basis. The budget for this program has been expanded from 1.1 billion won last year to 2.2 billion won this year. '월 9만5천원' 취약계층 스포츠 강좌 이용권 호응 취약계층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 강좌 이용권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들어 지금까지 한달 이상 스포츠 강좌 이용 도민은 2천 100여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스포츠 강좌 이용권은 도내 170개 체육시설에서 사용 가능하며 신청자에게 1년간 매월 9만 5천원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억원이던 예산을 올해 22억원으로 확대한 가운데 제주시의 경우 예산 소진에 따라 신청이 마감됐으며 서귀포시는 수시 모집중입니다.
  • 2023.07.31(mon)  |  이현
  • Cars Parked on Sidewalks Will be Fined
  • Starting in August, vehicles parked illegally on sidewalks for over 1 minute will face fines of at least 40,000 won when reported through a reporting application. In the province, fines for illegal parking will be imposed starting from August after the guidance period for the resident reporting system. Notably, the reporting criteria, previously varying across different local governments, have now been standardized to 1 minute. Consequently, any vehicle parked illegally for 1 minute or longer at sidewalks will incur fines upon being reported by residents. For regular passenger cars a fine of 40,000 won for general violations, 80,000 won for violations in front of fire facilities and areas designated for the protection of seniors and disabled, and a fine of 120,000 won for violations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will be imposed. 8월부터 인도 위 1분 불법 주정차 '과태료' 8월부터 인도에 1분 이상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안전신문고 앱으로 신고하면 4만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인도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에 대한 계도기간을 마치고 8월부터 이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시작합니다. 특히 지자체별로 다르게 적용했던 신고 기준도 1분으로 통일돼 인도에서 1분 이상 차량의 일부라도 주정차를 하는 경우 주민이 신고하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승용차의 경우 일반 위반 4만원, 소방시설물 표지 내 또는 장애인.노인보호구역 위반 8만원, 어린이 보호구역 위반 12만원입니다.
  • 2023.07.31(mon)  |  이현
  • Special Talent Donation by Social Service Worker
  • Special Talent Donation by Social Service Worker A meticulously drawn image of an elderly person on a pure white paper. The completed artwork captures the happy expressions of smiling elderly individuals, with vibrant colors adding to the joy. Since last year, (박세용) Park Se-yong, engaged in a social service, which is an alternative to military service, and stationed at this nursing home, has personally drawn these pictures. The portraits, gifts from Park to the elderly residents, are cherished as precious treasures throughout their lives. INTERVIEW Park Jong-ran / It's wonderful because he did it so nicely. In this harsh world, I want to praise him for being so kind and well-behaved. Before being called up for service, Mr. Park was preparing to be a cartoonist in Japan. He continues the act of giving portraits to the elderly, using his own talent. Especially aiming to be of great help to the elderly residents, during working hours, he focuses diligently on his duties. After work, he devotes his personal time and resources to draw these portraits. Mr. Park's benevolent actions have brightened the atmosphere at the nursing home. INTERVIEW Han Young-hee / Director, Ju Sarang Small Nursing Home (The elderly) always enjoy the activities here, but they look forward to the time when Mr. Park Se-yong comes. He becomes the vitality of their lives. He has presented portraits to 11 nursing home residents so far. Up until the end of his service period, he plans to draw as many elderly individuals as possible on canvas. INTERVIEW Park Se-yong / Social service worker Even while serving here, I wanted to find meaningful work, and I thought capturing the smiles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in my drawings would be truly valuable. I want to continue drawing as many portraits of the elderly as possible during the remaining period. An admirable talent donation by a social service worker is touching the local community with warmth. 사회복무요원의 특별한 '재능기부' 새하얀 종이에 세심하게 그려진 어르신의 모습. 완성된 그림에는 환하게 웃는 어르신들의 행복한 표정이 알록달록한 색감과 함께 담겼습니다. 지난해부터 이 요양원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 중인 박세용씨가 직접 그린 그림입니다. 어르신들에게 손자 같은 박씨의 초상화 선물은 평생 간직할 소중한 보물입니다. <인터뷰 : 박종란 / 요양원 이용자> 아주 좋죠 손주가 해주니깐. 이 험한 세상에 우리 손주는 어떻게 저렇게 착하고 점잖고 얌전할까 아주 칭찬 많이 해주고 싶어요. 소집 전 일본에서 만화가를 준비하던 박씨. 자신의 재능을 살려 어르신들에게 초상화를 선물하는 선행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어르신들에게 최대한 많은 도움을 주고자 근무시간에는 성실하게 임무에 집중하고 퇴근 후 본인의 시간과 사비를 들여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박씨의 선행에 요양원 분위기는 한층 더 밝아졌습니다. <인터뷰 : 한영희 / 주사랑소규모요양원 원장> (어르신들이) 평상시에도 여기 나오는 걸 즐거워하지만 우리 박세용 군이 오면서는 그 시간을 굉장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삶의 활력이 되는 거죠. 지금까지 박씨가 요양원 어르신들을 위해 그린 작품은 모두 11점. 소집해제일까지 노력이 닿는 한 최대한 많은 어르신을 화폭에 담을 예정입니다. <인터뷰 : 박세용 / 사회복무요원> 여기서 복무하면서도 가치 있는 일을 찾고 싶어서 어르신들의 미소와 행복한 모습을 그림으로 담는 게 참 가치 있겠다 생각해서 하게 됐습니다. 남은 기간에도 계속 어르신들을 최대한 많이 그려드리고 싶습니다. 한 사회복무요원의 아름다운 재능기부가 지역사회에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 2023.07.31(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