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Be Aware of Nearest Shelter
  • Be Aware of Nearest Shelter Loud sirens are heard throughout the area. Upon hearing the sirens echoing in the distance, people hurriedly rush somewhere. The destination is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It is designated as a civil defense shelter. Even after entering the shelter, people listen attentively to the radio and verify the location of items such as flashlights in preparation for potential emergencies. An evacuation experience is being conducted in preparation for air raid alerts. In May, citizens experienced confusion due to an incorrect alert message sent by Seoul City. At that time, citizens who did not know the location of the shelters or evacuation procedures had no choice but to be anxious. Citizens are benefiting greatly from these experiential activities. INTERVIEW Kang Sook-hee / Resident of Nohyeong-dong, Jeju City If we didn't know the location of the shelter, we would be worried and confused when we need to come in an emergency situation, but actually trying it out, it seems like we can find the location well. In another location, a simulated earthquake drill is being conducted. Through the Safety Jeju application, people quickly search for nearby shelters, look at the map, and rush to the nearest shelter, which happens to be the school playground. In emergency situations like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vacuate to a safe place. First, when an air raid alert occurs, gas and electricity should be shut off, emergency supplies should be prepared, and people should evacuate quickly to shelters. If a shelter cannot be found, it is safer to go to the nearest building's basement. On the other hand, during earthquakes, it is best to go outside the building and evacuate to open and spacious areas. Since buildings and glass windows can break during earthquakes, protect your head and evacuate to places like playgrounds. Above all, it is good to be aware of the locations of nearby shelters and evacuation procedures. The locations of shelters can be checked through apps such as Safety Jeju, Safety Cornerstone, and Disaster Safety Portal. INTERVIEW Kang Dong-won / Representative, Province In emergency situation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nearby shelters so that you can evacuate quickly. In order to widely inform the residents, we have organized events like this. There is an app called Safety Jeju, and if you install it, you can check all the nearby earthquake shelters or emergency shelters in real-time. I recommend utilizing this app. Emergency situations occur without warning. In order to ensure safety and minimize damage, it is important to have an interest in advance preparation and evacuation procedures. 우리 동네 대피소는 어디에? 커다란 사이렌 소리가 곳곳에 울려퍼집니다. 거리에 울려퍼지는 사이렌 소리에 사람들이 황급히 어디론가 달려갑니다. 도착한 곳은 건물 지하주차장. 민방공 대피소로 지정된 곳입니다. 대피소로 들어온 이후에도 라디오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손전등의 위치도 확인합니다. 공습경보에 대비한 대피 체험이 진행되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지난 5월, 서울시가 잘못 보낸 경계경보 문자로 혼란을 겪기도 했는데 당시 대피소의 위치나 대피요령 등을 몰랐던 시민들은 불안에 떨어야만 했습니다. 시민들은 이같은 체험활동에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 강숙희 / 제주시 노형동> 대피소 위치를 몰랐다면 (비상 상황에) 찾아올 때 걱정되고 우왕좌왕할 텐데, 실제로 해 보니까 위치를 잘 찾아올 수 있을 것 같아요. 또다른 곳에서는 지진 상황을 가상한 훈련도 진행됩니다. 안심제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르게 근처에 있는 대피소를 검색하고, 지도를 보며 가장 가까운 대피소인 학교 운동장으로 달려갑니다. 이처럼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겁니다. 우선 공습 경보가 발생했을 때는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비상 물품을 준비해 빠르게 대피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대피소를 찾지 못했다면 가장 가까운 건물 지하로 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면 지진이 발생했을 ��는 건물 밖으로 나와 되도록 넓은 공간으로 피해야 합니다.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나 유리창 등이 깨질 수 있는 만큼 머리를 보호하며 운동장 등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평상시에 가까운 대피소의 위치나 행동요령을 파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대피소의 위치는 안심 제주나 안전 디딤돌 애플리케이션, 재난안전포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 강동원 / 제주도 도민안전건강실장> 비상시에는 주변에 있는 대피소를 잘 알아야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 주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서 이런 행사를 하게 됐습니다. 안심제주 앱이라고 있는데 이걸 깔면 내 주변에 있는 지진 대피소라든가 비상 대피소를 전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을 깔아서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예고 없이 발생하는 비상상황. 안전을 확보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평소 사전 준비와 대피 요령 등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 2023.07.17(mon)  |  이현
  • Jejumok-Gwana, Popular Among Foreign Tourists
  • (제주목 관아) Jejumok-Gwana, former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of Jeju, is gaining popularity among foreign tourists.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제주목 관아) Jejumok-Gwana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exceeded 11,000, which is 25 times higher than the same period last year. Tourists from various nationalities including China, Southeast Asia, and Europe, visit to experience Jeju'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opportunity to wear traditional Korean clothing Hanbok and participate in traditional games and activities. 제주목 관아, 외국인 관람객에게 인기 제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중심지인 제주목 관아가 외국인 관람객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제주목 관아를 찾은 외국인 관람객은 1만 1천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배 증가했습니다. 중화권 국가를 중심으로 동남아, 유럽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찾아 한복을 입거나 전통놀이를 통해 제주의 역사문화 현장을 즐기고 있습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POE College Entrance Lectures for Parents
  • The Jeju Province Education Office is operating an online college entrance coaching academy targeting parents. The lectures cover 45 topics on college admissions methods discussed during the Parents' College Entrance Coaching Academy's offline briefing session in April. The video lectures will be uploaded sequentially on a YouTube channel until September. 학부모 진학코칭 아카데미 강의 영상 제공 제주도교육청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진학코칭 아카데미를 운영합니다. 이번에 실시되는 강의는 지난 4월 학부모 진학코칭 아카데미 오프라인 설명회에서 안내한 대입 전형별 주요 사항 등을 담은 45개 주제가 담겼습니다. 강의 영상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오는 9월까지 순차적으로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Economy Slows as Tourism and Real Estate Decline
  •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Bank of Korea, the number of tourists who visited Jeju last month was 1.152 million, a decrease of 132,000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The overall de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s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overseas travel and a reduction in domestic flight routes to Jeju. In addition, the housing market has been stagnant, with a 7.3% decrease in construction starts area and a 28.5% decrease in construction permits area in Ma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Jeju Branch of the Bank of Korea has attributed the recent constraints on Jeju economy's recovery to the decline in tourist arrivals and the sluggish housing market, despite the improvement in consumer sentiment. 관광객 감소·주택경기 부진에 경제 회복 더뎌 관광수요 감소와 주택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제주경제가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15만 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만 2천명 감소했습니다. 해외여행 증가와 제주행 국내 항공노선이 축소되면서 전체 관광객 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와 함께 주택시장이 침체되면서 지난 5월 건축착공면적은 1년 전보다 7.3% 건축허가면적은 28.5% 각각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소비심리 회복에도 관광객 감소와 주택시장 부진으로 최근 제주경제의 회복세가 제약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More New Hires But Drop in Employment Rate
  • Despit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individuals in the province for three consecutive months, the employment rate has shown a decline.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Statistics Korea, the number of employed individuals in the Jeju region last month was 403,000, which increased by 1,0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maintaining a three-month consecutive growth trend. The wholesale, retail,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sectors saw the highest increase in employed individuals, with a rise of 7,000. Conversely,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s witnessed a continued decline, with a decrease of 12,000. Despite the increase in employed individuals, the employment rate recorded 69.5%, a 0.5%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제주 취업자 3개월 연속 증가…고용률은 하락 제주지역 취업자수가 3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고용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취업자 수는 40만 3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천명 늘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산업별 취업자수는 도소매·숙박·음식점에서 가장 많은 7천명이 증가한 반면 농림어업은 1만 2천명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취업자 증가에도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하락한 69.5%를 기록했습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Jeju City offers tax refunds this month
  • During this month, Jeju City will be providing refunds for personal local income tax applicable to the comprehensive income earned in the previous year. This initiative aims to support taxpayers facing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economic slowdown and rising prices. This year, approximately KRW 1.27 billion will be offered to 37,000 individuals eligible for refunds. Refunds will be directly deposited into designated bank accounts by the National Tax Servic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application. 제주시, 개인 지방소득세 환급금 이달 지급 제주시가 이달 중 지난해 귀속 종합소득에 대한 개인지방소득세 환급금을 지급합니다. 경기침체 물가 상승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납세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환급 대상자는 기납부세액이 결정세액보다 많은 3만 7천여 명에 12억 7천만 원 수준입니다. 환급금은 국세청 환급계좌 정보 공유를 통해 별도 신청 절차 없이 해당 계좌로 입급됩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2.7 billion Decrease in Jeju Property Taxes
  • In July of this year, the two administration cities of the province imposed a total property tax of KRW 93.4 billion on approximately 398,000 properties. This imposition reflects a decrease of KRW 2.79 billion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ecline in the declared housing prices and assessed land values, reduction in the fair market value ratio for one household per property, and abolition of the special tax rate for vacation homes attributed to the decrease. The deadline for payment is by the end of this month, and for overdue payments, a surcharge of 3% will be charged. 양 행정시, 재산세 934억 원 부과…27억 감소 양 행정시가 올해 7월 정기분 재산세로 39만 8천여 건에 934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번에 부과된 재산세는 지난해 대비 27억 9천만 원이 감소한 규모입니다. 주택 공시가격과 공시지가 하락, 1세대 1주택에 대한 공정시장가액비율 인하, 별장 중과세율 폐지 등이 재산세 감소 사유로 분석됩니다. 납부 기한은 이달 말까지로 기한을 넘겨 납부할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Jeju’s Heritage Reinterpreted
  • Jeju’s Heritage Reinterpreted Small (허벅) Heobeok jars are neatly arranged on a desk. A young person has reinterpreted Jeju's traditional (허벅) Heobeok pottery into reusable cups and decorative items, called (새허벅) Saeheobeok. Saeheobeok is made from eco-friendly materials called CXP, utilizing tree branches and sawdust. As part of a cultural project in Seogwipo City, (새허벅) Saeheobeok has been produced under the eco-friendly upcycling programs of the ‘(반지롱 노지스토어) Banjirong Nogistore’ project. INTERVIEW Jeong Ji-sol / Representative, Jeju local brand The Heobeok used to be an earthenware jar. But we have recreated it into an eco-friendly tumbler that we can carry around. This is a way to reproduce the past culture and also a way to preserve Jeju's nature. Members of the Seogwipo Senior Club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environmental effort. Using discarded (삼다수) Samdasoo water bottles, they weave greenish colored recycled fibers into something resembling braided hair. They make Mangtaegi sacks for the newly designed tumbler. INTERVIEW Go Myeong-suk / Seogwipo Senior Club member We made this by recycling Samdasoo bottles. It reminded me of the old days, and I was so happy to make it from recycled materials, so I worked hard on it. The traditional weaving technique was particularly noteworthy, as artisans used the same method to create straw sacks. Since skill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have become tradition and culture, there is renewed hope that this legacy will continue on. INTERVIEW Kang Yong-heub / Seogwipo Senior Club member Upon receiving the orders, I created a sample and shipped it out. They liked it, so I continued making more. If this trend continues, it will be good for creating jobs as well. The proceeds from these reinterpreted products are being donated to Jeju's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rganization and used to pay the artisans, making the overall project all the more impactful. 제주 허벅과 망태기의 재탄생 책상 위에 자그마한 허벅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습니다. 한 청년이 제주의 전통 옹기 허벅을 다회용컵과 장식품 등으로 재해석한 이른바 새허벅입니다. 새허벅은 나뭇가지와 톱밥 등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CXP로 만들어졌습니다. 서귀포시 문화도시 조성사업 중 친환경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반지롱 노지스토어'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입니다. <정지솔 / 제주 로컬브랜드 OOO 대표> 예전의 물허벅은 항아리였지만 저희가 들고 다닐 수 있는 친환경 텀블러로 만들어서 들고 다니는 것 자체가 과거의 문화를 재현하는 것이기도 하고 지금의 제주의 자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해서…. 서귀포 시니어클럽의 어르신들도 힘을 보탰습니다. 버려지는 삼다수 병으로 만들어진 연둣빛의 재생섬유를 마치 머리를 땋는 것처럼 매듭짓습니다. 허벅 전용 가방, 제주어로 멜망탱이라고 불리는 망태기를 만드는 겁니다. <고명숙 / 서귀포 시니어클럽> 삼다수 병을 재활용해서 이거 실을 빼서 만든 겁니다. 옛날 생각나고 이거 재활용으로 만든다는 게 너무 기뻐서 그냥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특히 멜망탱이 제작 과정에 테왁 장인들이 테왁 망사리 짜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어르신들이 과거 어깨너머로 배운 기술이 이제는 전통과 문화라고 불리는 만큼 누군가가 이를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에서입니다. <강용흡 / 서귀포 시니어클럽> 주문이 들어오니까 내가 기초(샘플) 하나 짜서 보내봤거든요. 그래서 그게 좋다고 해가지고 그다음부터 하게 됐어요. 이게 앞으로 계속 이어지면 일자리 하기에도 좋고…. 재해석된 허벅과 망태기의 수익금은 제주의 해양환경보호단체에 기부되고 테왁 장인들의 인건비로 사용되며 의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 2023.07.13(thur)  |  이현
  • Natural Pool Closed Due to Rockfall
  • Natural Pool Closed Due to Rockfall At the entrance of (황우지) Hwangwooji Coast, also known as the Fairy Bathhouse, entrance and access are restricted due to concerns about rockfall. While it is considered a popular summer water play destination in Jeju, visitors are unable to enter the water and are forced to turn away. This is because access has been restricted due to concerns about rockfall along the coast. INTERVIEW Jeong Gwang-hyeon, Oh Se-eun / Visitors from Busan We came here because it's known as a snorkeling spot, but when we tried to rent life jackets, we were told we couldn't enter. So we just looked from a distance for a short while. We came all the way wearing our swimsuits, so it's really disappointing. Usually, the coast would be bustling with water play enthusiasts during the summer, but with access restrictions, Hwangwooji Coast remains calm. On one side of the coast, life jackets and water play equipment, prepared for rental, are stacked up alone. Since early last year, concerns about rockfall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leading Seogwipo City to conduct safety inspections and risk assessments for steep slopes and potential disasters. The result is a Grade C classification, which allows for regular safety inspections and the ability to designate and manage collapse hazard zones when necessary. Accordingly, Seogwipo City has decided to restrict access to Hwangwooji Coast. INTERVIEW Kim Yong-cheol / Representative, Seogwipo City In April this year, based on the safety consultation and disaster risk assessment conducted, we decided to restrict access to Hwangwooji Coast due to the possibility of casualties caused by rockfall. Local merchants who were preparing for summer business understand the situation but cannot help feeling disappointed. INTERVIEW Merchant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we were hoping to do some business. It's the peak of summer, but it's completely impossible. I really don't know what to do. The impact i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entire Hwangwooji Coast i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nets or fences for rockfall prevention. Seogwipo City has stated that separate deliberation is required for safety measures and announced plans to continue restricting access for the time being. 낙석 위험 출입통제 '선녀탕'…"아쉬워요" 선녀탕이라 불리는 서귀포시 황우지해안 입구입니다. 여름철 제주 물놀이 명소로 꼽히지만 방문객들은 물가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발길을 돌립니다. 해안가 낙석 우려로 출입이 통제됐기 때문입니다. <정광현 오세은 / 부산시> 스노클링 명소라고 해서 왔는데 구명조끼 대여하려고 하니까 못 들어간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냥 멀리서 잠깐 보고… 지금 수영복까지 다 입고 왔는데 못 들어가서 너무 아쉽고…. 평소 같으면 물놀이객들로 북적거릴 날씨지만 출입이 통제되면서 황우지 해안은 한적하기만 합니다. 해안 한편에는 대여를 위해 준비해 놓은 구명조끼와 물놀이 용품들만 덩그러니 쌓여있습니다. 지난해 초부터 낙석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서귀포시가 안전점검 자문과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결과는 C등급. 정기적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필요할 경우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 관리할 수 있는 등급입니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가 황우지 해안 출입을 제한하기로 한 겁니다. <김용철 / 서귀포시 연안관리팀장> 올해 4월 제주도 안전자문과 재해위험도 조사를 통해서 낙석으로 인한 인명사고 가능이 있다는 결과에 따라서 황우지해안 출입을 제한하게 됐습니다. 여름 장사를 준비하던 인근 상인들은 이런 상황을 이해하면서도 아쉬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인근 상인> 코로나 끝나니까 이제 좀 장사를 해야지 했는데... 여름 한철이라고 봐야 되는데 이게 아예 딱 안 되니까 진짜 어떻게 해야 될지를 모르겠어요. 정말 타격이 커요. 게다가 황우지 해안 일대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낙석 방지를 위한 그물이나 철망을 설치하기도 어려운 상황. 서귀포시는 안전조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심의가 필요하다며 당분간은 계속해서 출입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2023.07.10(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