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Supports Debt Repayment
  • To alleviate the debt burden of low-income households, the province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repayment of high-interest alternative loans, becoming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do so. Through the current budget revision, the island has secured 1 billion KRW and plans to accept support applications starting from next month. The repayment support funds of 200,000 KRW per resident of Jeju Province who are using particular loans such as (햇살론15) Hetsal Loan 15 and loans for low-credit individuals, and Hetsal loan for employees to name a few. This initiative aims to assist individuals in repaying their loans and alleviating their financial burden. 제주도, 정부 고금리 대안 자금 상환 지원 서민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제주도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정부의 고금리 대안 자금 상환을 지원합니다. 제주도는 이번 추경을 통해 10억원을 확보하고 다음달부터 지원 신청을 받을 계획입니다. 햇살론15와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근로자 햇살론을 이용하고 있는 도민을 대상으로 1인 당 20만 원의 상환 지원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 2023.06.08(thur)  |  이현
  • Employment Rate Down to 67.8%
  • The employment rate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Jeju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mmittee, the employment rate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was 67.8%, a 0.9%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committee analyzed that the decrease in employment in the agricultural and construction sectors influenced the decline in the employment rate in the first quarter. On the other hand, the youth employment rate increased by 2.3%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reaching 47.5%. 올해 1분기 고용률 67.8%…전년 대비 하락 올해 1분기 고용률이 전년보다 하락했습니다.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고용률은 67.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원회는 농립어업과 건설업 취업자 감소가 1분기 고용률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반면 청년 고용률은 47.5%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습니다.
  • 2023.06.08(thur)  |  이현
  • Expanded Support for Youth Employment
  • Starting next month, the public work program will be expanded in the province. With an additional budget of 14.1 billion KRW, Jeju Island will introduce a computerized program targeting youth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ublic work program. The recruitment will include approximately 1,500 participants for the regular public work program and around 50 participants for the youth program, totaling approximately 1,600 participants. The new youth employment program,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will provide support for computer-related public employment, such as database construction. The province has started announcing the details of the program and will recruit participants through their official website. 공공근로사업 확대 운영…청년 일자리 지원 다음 달부터 공공근로사업이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는 추경 예산 141억 원을 투입해 기존 공공근로사업과 함께 청년 대상 전산화 공공근로사업을 추가합니다. 모집 인원은 공공근로사업 1천5백여 명, 청년 공공근로사업 50여 명 등 모두 1천6백여 명입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새롭게 진행될 청년 공공근로사업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전산화 관련 공공 일자리를 지원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오늘부터 도청 누리집을 통해 사업 내용을 공고하고 참여 대상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 2023.06.08(thur)  |  이현
  • Discounts Return for Local Currency
  • The discount policy for participating stores in the local currency "Tamnaneunjeon" program, which had been suspended due to budget depletion, has resumed. The province has secured an additional budget of 10 billion KRW, allowing the resumption of the local currency discount policy ranging from 5% to 10% at participating stores starting from the 23rd. In addition, the individual discount limit will be increased from 150,000 KRW to 200,000 KRW until the end of this month. 탐나는전 현장할인 재개 예산 소진으로 중단됐던 탐나는전 가맹점 현장할인 정책이 재개됐습니다. 제주도는 추경 예산 100억 원을 확보함에 따라 지난 23일부터 중단되고 있는 가맹점 현장 5~10% 할인 정책을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함께 이달 말까지 개인별 할인 한도를 1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합니다.
  • 2023.06.08(thur)  |  이현
  • Cement Prices on the Rise
  • Cement Prices on the Rise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severely impacted by a "Triple High" phenomenon, which refers to high oil prices, high interest rates on loans, and the high cost of raw materials. Amidst these circumstances, cement manufacturing companies are raising their prices, further increasing concerns with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cement industry, the leading company, Ssangyong C&E, will be increasing the price of Type 1 bulk cement by 14.1 percent, from 104,800 won per ton to 119,600 won starting from next month. Ssangyong C&E holds a 38 percent share of the cement supply in Jeju.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other six cement producers have either already decided to increase prices or are currently in discussions regarding price adjustments. Indeed, the island is facing an even greater impact from the price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al logistics costs of approximately 7,400 won per ton of cement. This adds to the overall shock caused by the price increases. The cement industry has pointed to increased electricity costs, which account for 20 percent of their manufacturing expenses, saying they have no choice but to raise prices. Over the past two years, cement prices have increased four times, putting a growing burden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prices were to be raised to the level of 120,000 won this time, it would result in a 60 percent increase within a span of two years. Furthermore, the rise in construction costs can lead to delays and increases in housing prices, which can adversely affect the general public. Recording Gang Myeong-hun / Jeju Ready-Mixed Concrete Industry Cooperative Association If cement prices increase as notified, it’s inevitable for ready-mixed concrete prices to also rise. Consequ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 will face additional burdens. We’ll have a dialogue with the cement industry to find a solution to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taken action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ement price increases and has begun to develop countermeasures.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in directly controlling prices in the private sector, the government’s policy is likely to focus on examining whether the price increases are excessive. 시멘트 가격 줄인상…지역경제 '노심초사' 최근까지 신3고 현상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큰 타격을 입은 도내 건설업계. 이런 가운데 시멘트 제조업체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설 태세여서 또다시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업계 1위 쌍용C&E는 내달부터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 4천800원에서 11만9천600원으로 14.1% 인상합니다. 쌍용C&E는 도내 시멘트 공급의 3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나머지 6개사도 이미 가격 인상을 결정했거나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는 현재 시멘트 t당 약 7400원의 물류비가 추가로 붙어 가격 인상 충격이 더욱 클 수밖에 없습니다. 시멘트업계는 제조 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료 인상으로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최근 2년 사이 시멘트 가격이 네 차례나 인상되면서 건설업계의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가격을 12만원 수준으로 올리면 2년 새 60% 오르게 되는 겁니다. 또한 건설비용 상승은 공기 지연과 분양가 인상 등 도민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씽크 : 강명훈 / 제주도레미콘공업협동조합 전무이사> 통보받은 대로 시멘트 가격이 인상되면 레미콘 가격도 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고 이에 따라서 건설업계와 도민들한테 부담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시멘트업계와 대화를 통해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는 시멘트 가격 인상의 적정성 여부를 살피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다만 민간에 대한 직접적인 가격 통제는 어려운 만큼 과다 인상 여부 위주로 들여다볼 방침입니다.
  • 2023.06.08(thur)  |  이현
  • Jeju Air Introduces Life Car for Vulnerable
  • Jeju Air has introduced and operates lift cars to assist the boarding of passengers with mobility issues, including wheelchair users. While Jeju Air currently provides wheelchair assistance services, concerns about safety issues such as unavoidable physical contact and accidents caused by instrument handling have led them to adopt lift cars. The lift car service is initially being implemented on routes departing from Gimpo Airport, and it is scheduled to expand to Jeju-bound routes later this month. 제주항공, 교통약자 탑승 돕는 '리프트카' 도입 제주항공이 휠체어 이용 승객 등 교통약자의 항공기 탑승을 돕기 위한 리프트카를 도입해 운영합니다. 제주항공은 현재 휠체어 이동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불가피한 신체 접촉과 악기상으로 인한 낙상사고 등의 안전 문제가 우려됨에 따라 리프트카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리프트카 서비스는 김포발 노선에서 우선 시행되고 있으며 이달 중 제주발 노선까지 확대될 예정입니다.
  • 2023.06.05(mon)  |  고주연
  • Jeju Surveys on Art Platforms
  • A survey to gather public opinions from resident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Jeju Art Platform will be conducted until the 10th of this month. Jeju Cultural & Arts Foundation announced that the survey will target approximately 500 Jeju residents and artists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Jeju Art Platform. The survey can be participated in through an online link and QR code access. The Jeju Art Platform project aims to utilize the former Academy Theater and create a multifunctional cultural space, including a public performing arts practice hall. 제주아트플랫폼 조성 도민의견 수렴 설문조사 제주아트플랫폼 조성에 대한 도민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조사가 오는 10일까지 실시됩니다.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제주아트플랫폼 공간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제주도민과 예술인 약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전용링크와 QR코드 접속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제주아트플랫폼 사업은 옛 아카데미극장을 활용해 공공공연예술연습장 등을 비롯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 2023.06.05(mon)  |  고주연
  • May Consumer Price Drops to 2.5%
  • Last month,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in the Jeju slowed down to the 2% range for the first time in over two years.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in the region was recorded at 2.5% last month, marking the lowest level in 23 months since February 2021. Moreover, the drop in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to the 2% range occurred for the first time in 20 months. Looking at specific items, prices for petroleum products including diesel and gasoline, as well as pork and airfares, hav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public utility fees such as electricity, city gas, and sewage charges continued to rise steadily.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5%…23개월 만에 최저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년여 만에 2%대로 둔화됐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지난 2021년 2월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것은 20개월만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경유와 휘발유 등 기름값을 비롯해 돼지고기와 항공료 등이 하락했습니다. 반면 전기와 도시가스, 하수도료 등 공공요금은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
  • 2023.06.05(mon)  |  고주연
  • Fisheries Welfare Extended Until the 30th
  • The application period for the fisheries public welfare direct payment, which is provided to stabilize fishermen's income, has been extended for an additional month from last month to this month. Accordingly, fishermen and fishing boat owners who meet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the fisheries' public welfare direct payment can submit their applications to the resident centers of their respective jurisdictions by the 30th of this month. In particular,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through the small-scale vessel and fishing boat owner direct payment, an annual support of 1.2 million won will be provided. This system provides direct payments to fishermen who fulfill certain obligations, including the disadvantaged area direct payment, small-scale vessel direct payment, and fishing boat owner direct payment. 수산공익직불금 신청 오는 30일까지 연장 어업인들의 소득안정을 위해 지급하는 수산공익직불금 신청이 당초 지난달에서 이달까지 한달 연장됩니다. 이에 따라 수산공익직불제 자격 요건을 갖춘 어업인과 어선원은 관할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오는 30일까지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도입되는 소규모어가 직불제와 어선원 직불제를 통해 해당 어가와 어선원에게 연간 120만원이 지원됩니다. 수산공익직불제는 일정한 의무를 이행한 어업인에게 직불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조건불리지역 직불제와 소규모어가 직불제, 어선원 직불제 세가지가 포함됩니다.
  • 2023.06.05(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