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NA Testifies Man Guilty 15 Years Later
  • A 6-year prison sentence was handed down to a man in his 40s who was found guilty of sexual assault that occurred 15 years ago with the help of DNA testing. The Jeju District Court’s 2nd Criminal Division sentenced the 42-year-old defendant, identified as Mr. A, for forcibly taking the victim, who was at a bus stop, to a lodging facility in June 2008, together with an acquaintance, and sexually assaulting her. At the time of the crime, the police were unable to identify the suspect as there was no witness, and no DNA to be used as evidence found from the crime scene. However, Mr. A was later apprehended for a different sexual offense, and it was through a DNA test that his involvement in the crime committed 15 years ago was revealed. DNA 검사로 드러난 15년전 성폭행범 6년형 DNA 대조를 통해 15년만에 범행이 드러난 40대 성폭행범에게 1심에서 징역 6년형이 선고됐습니다. 제주지방법원 형사2부는 15년 전인 지난 2008년 6월 지인과 공모해 버스정류장에 있던 피해자를 강제로 숙박업소에 끌고가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42살 A 피고인에게 이같은 판결을 내렸습니다. 당시 경찰은 목격자가 없는데다 현장에서 확보한 DNA와 일치하는 정보가 없어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다가 A 피고인이 다른 성범죄로 검거돼 DNA검사에서 15년전 범행이 드러났습니다.
  • 2023.06.19(mon)  |  이현
  • Drug-related Crimes Increase in Jeju
  •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reported that during the concentrated crackdown on drug crimes from March to May, there was a 34%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ith 43 individuals arrested and 7 individuals detained. The number of drug suppliers involved in smuggling and selling drugs has risen to 20, nearly seven times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Furthermore, the amount of Philophon seized has increased by 4.5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plans to strengthen crime control and prevention activities by operating a joint task force consisting of over 60 investigators. 제주 마약 사범 34%, 필로폰 4.5배 증가 최근 제주에서 마약 사범이 크게 늘어나고 필로폰 압수량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경찰청이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마약 사범 집중 단속 기간에 지난해 보다 34% 늘어난 43명을 검거하고 7명을 구속했습니다. 마약을 밀반입하거나 판매한 공급책은 20명으로 지난해보다 7배 가까이 늘었고 필로폰 압수량도 전년 대비 4.5배 증가했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수사 인력 60여 명으로 구성된 합동단속 추진단을 운영하면서 범죄 단속과 예방활동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 2023.06.19(mon)  |  이현
  • Salt Shortage Amid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 Salt Shortage Amid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This is a local supermarket. Even before the supermarket opens in the early morning, people are lining up, placing their shopping carts in a queue, patiently waiting. As soon as the doors of the supermarket open, people enter one by one, and everyone seems to have an unspoken agreement as they head towards the salt shelves. Recently, there has been a nationwide salt shortage, and Jeju is also experiencing scarcity. INTERVIEW Baek Hyeong-sik / Resident, Ara-dong, Jeju City I arrived at 5:30 AM after exercising. (Were you waiting in line since 5:30?) Yes, that's right. I'm here as the first person in line, waiting. Salt is a necessity for humans, so I came to purchase it. In order to prevent hoarding, the supermarket implemented a limit of one pack of salt per person. However, within just 10 minutes of the store opening, all the newly stocked quantities were sold out. With the imminent release of radioactive waste water from Fukushima, Japan, citizens are express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salt and rushing to make purchases. Additionally, the frequent rainy weather has led to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salt, exacerbating the supply shortage. As a result, the price of a 20 kilogram bag of salt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of around 20 percent, rising from 25,000 won to a recent price of 30,000 won. INTERVIEW Jeong Yeo-san / Resident, Nohyeong-dong, Jeju City I came early to buy salt in advance because I'm worried that the price will rise due to the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issue. We can't consume seafood because of the contamination. This is a big problem, a really big problem. We should protest or lodge a complaint with Japan. The distribution industry expects the shortage phenomenon to continue for some time as the demand for salt increases while the supply remains limited. INTERVIEW Representative of a local supermarket We have been engaged in ongoing discussions and efforts to receive shipments, but the situation at the source is not favorable. As a result, the salt currently being received is from the 2022 harvest. Ideally, we should have received the 2020 or 2019 harvests with impurities removed, but those quantities have already been exhauste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at it will consider the option of purchasing and releasing salt at a discounted price if the salt prices continue to rise. It has also stated its intention to expand radiation testing for salt as a precautionary measure. "오염수 때문에 불안" 제주서도 소금 '품귀' 제주시내 한 마트입니다. 문을 열기도 전인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이 쇼핑카트를 줄지어 세워놓은 채 대기하고 있습니다. 마트 문이 열리자 차례대로 입장하고 모두 약속이나 한 듯 소금 판매 진열대로 향합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소금 대란이 벌어지면서 제주에서도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 백형식 / 제주시 아라동> 운동하다 보니깐 5시 30분에 왔는데. (5시 30분부터 줄 서신 거예요?) 네. 여기 첫 스타트로 와서 기다린 거예요. 소금이 서민들의 필수품 아닙니까. 꼭 있어야 되니깐 구매하러 왔죠. 사재기를 막기 위해 마트 차원에서 천일염 구매 수량을 1인당 1포로 제한했지만 마트 영업이 시작된 지 10분 만에 입고된 물량이 모두 품절됐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소금 안전성을 우려한 시민들이 대거 구매에 나서고 있습니다. 여기에 잦은 비날씨로 천일염 생산량이 감소한 점도 공급 부족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천일염 20kg 가격은 2만 5천원에서 최근 3만원으로 20% 가량 껑충 뛰었습니다. <인터뷰 : 정여산 / 제주시 노형동> 후쿠시마 오염수 때문에 소금값 오를까봐 미리 사다 놓으려고 미리 왔습니다. 오염수 때문에 수산물을 못 먹잖아요. 이거 큰일 났어요 큰일 났어 진짜. 일본한테 항의하든가 해야지. 유통업계는 소금 수요가 증가한 반면 공급은 한정돼 있는 만큼 당분간 품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 마트 관계자> 저희가 계속 산지하고 협의하면서 계속 물량을 받으려고 하는데 산지 상황도 여의치 않다 보니깐 지금 들어오는 것도 2022년산이 들어오고 있어요. 보통 간수가 많이 빠진 2020년산이나 2019년산이 들어왔어야 하는데 그 물량이 다 빠지고… 정부는 소금 가격이 오를 경우 정부가 수매한 후 할인 방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천일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3.06.19(mon)  |  이현
  • Free Reissuance of Resident Registration Cards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offering free reissue of resident registration cards with enhanced security features. The target group for the reissue is those who obtained their resident registration cards prior to November 1, 2006. The new resident registration cards are made of a durable material that prevents damage and includes improved security features. The (태국) Taeguk pattern in the upper left corner allows visual identification of tampering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tools. To obtain the new resident registration card, individuals can visit their local district or community center with a photo and apply for the reissue. 보안 기능 추가된 주민등록증 무료 재발급 제주특별자치도가 보안기능이 추가된 주민등록증을 무료로 재발급합니다. 대상은 2006년 11월 1일 이전에 발급한 주민등록증입니다. 신규 주민등록증은 기존보다 내구성이 우수하고 훼손이 방지되는 재질로 제작되고 있으며 좌측상단의 태극 문양을 통해 특별한 도구없이 육안으로 위변조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사진 한 장과 함께 가까운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 2023.06.15(thur)  |  이현
  • 300,000 Won Support for Electric Bicycles
  • The Jeju Province announced that a subsidy of up to 300,000 KRW will be provided for the purchase of electric bicycles. Residents of Jeju who purchase pedal-assist electric bicycles will be eligible for a subsidy of up to 300,000 KRW per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subsidy is available to residents aged 18 and above who have resided in Jeju for at least one year.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from tomorrow until the 12th of next month. A total of 500 individuals will be selected through a lottery next month as recipients of the subsidy. 전기자전거 구입 1인 당 최대 30만 원 지원 전기자전거를 구입할 경우 30만원의 보조금이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도민들이 페달보조 방식의 전기자전거를 구입할 경우 1인 당 최대 30만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1년 이상 제주에 주소를 둔 만 18살 이상 도민으로 내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자는 500명 규모로 다음달 전자추첨으로 선정될 예정입니다.
  • 2023.06.15(thur)  |  이현
  • Geomun Oreum Trekking Event Opens
  • The 2023 International Trekking event for (거문오름) Geomun Oreum, a world natural heritage site, will be held until the 20th of this month. During the event, visitors will be able to explore (검은 오름) Geomun Oreum free of charge without prior reservation, and the normally restricted Lava Trail will be open for exploration. There will be two trekking courses available, including the (태국)Taeguk Trail and the Lava Trail, both of which will be accompanied by guides.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such as congratulatory performances and experience booths will be operated throughout the event period.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국제트레킹 모레 개막 2023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국제트레킹이 오는 20일까지 거문오름 일대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 기간에는 사전 예약 없이 거문오름을 무료 탐방할 수 있고 평소 개방되지 않는 용암길도 열립니다. 트레킹 코스는 태극길과 용암길 모두 2곳으로 해설사가 배치될 예정입니다. 이 밖에도 행사 기간 축하공연과 체험 부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 2023.06.15(thur)  |  이현
  • Heat-related Illness and Safety Alert Issued
  •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has issued a heat-related illness and safety accident alert for the summer season. In response to the alert, heatwave equipment has been provided to 32 ambulance stations throughout the province, and 28 standby teams have been organized. In addition, there will be an emphasis on enhancing emergency medical consultations and emergency response guidance. Over the past five years, there have been a total of 365 cases of heat-related illnesses in the Jeju area. In the previous year alone, the number of patients per 100,000 population in Jeju was 13.7, the highest in the country. 여름철 온열질환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제주소방안전본부가 여름철 온열질환 안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이에따라 도내 32개 119구급대에 폭염장비를 비치하고 28대의 펌뷸런스 예비출동대를 편성했습니다. 이와 함께 응급의료 상담과 응급처리 지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제주지역 온열질환자는 365명에 이르고 있으며 지난해의 경우 제주지역 인구 10만명 당 환자수가 13.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 2023.06.15(thur)  |  이현
  • Improvements Expected with Administrative Restructuring
  • A resident movement organization advocating for local resident autonomy in districts and neighborhoods called ‘(제주민회) Jeju Minhwe’, held a press conference demanding restructure to the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residents' autonomy association, independent of local government bodies, where all residents can become members. They argued that residents should have the right to self-governance in matters closely related to their daily lives. They also called for the inclusion of a model for this type of administrative system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be considered. "행정체제 개편, 읍면동 주민자치 실현해야" 읍면동 주민자치 실현을 위한 주민운동 기구인 제주민회가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해 읍면동 주민자치 실현을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지방자치단체와는 별개의 주민자치회를 구성해 읍면동 주민 모두를 회원으로 하고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에 대해 자치권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같은 내용의 행정체제 모형안을 하나의 대안으로 포함해 도민 공론화 과정을 거치도록 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 2023.06.15(thur)  |  이현
  • JNU’s 1000 Won Breakfast Getting Attention
  • Since the official implementation of the "1,000 Won Breakfast" program at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number of students having breakfas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tarting from the 1st of this month, Jeju National University began providing breakfast at the Student Dormitory cafeteria for only one thousand won per meal, thanks to support from Jeju Island, the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The number of students using the breakfast program has risen from an average of 70 students per day to over 200 in just two weeks, nearly tripling in size.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a dormitory capacity of 1,900 students, but next year, an additional dormitory with a capacity of 900 students is scheduled to open, which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utilizing the program. 제주대, '천원의 아침밥' 이용학생 3배 급증 제주대학교가 이달 부터 '천원의 아침밥' 본격 시행 이후에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대학교는 지난 1일부터 학생생활관 6호관 식당에서 제주도와 대학, 정부 지원으로 한끼당 천원으로 아침 식사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천원의 아침밥 이용 학생은 하루평균 70여 명에서 시행 2주 만에 2백여명으로 3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제주대는 현재 기숙사 정원이 1천900명이지만 내년에 9백명 정원의 생활관이 추가로 개관할 예정이어서 이용학생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2023.06.15(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