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Audit Suggests Much Improvement Needed
  • Several complaints have arisen over the Comprehensive Audit Results on Jeju Cit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udit Committee conducted an audit on all administrative work undertaken by Jeju City since July 2020 and demanded 40 administrative measures, 25 status measures, and 130 million won in financial measures. The main issues highlighted include cases where national shared property was lent out to specific individuals for as long as 30 years without an open bidding along with failure to properly collect acquisition or property taxes. Jeju City was also found to be negligent in providing child support and fuel cost assistance. Additionally, vulnerable groups were not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hiring process, and many individuals who did not meet the required standards were appointed as representatives for the oper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제주시 종합감사 결과 지적사항 '수두룩' 제주시에 대한 종합감사 결과 지적사항이 무더기로 나왔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는 지난 2020년 7월 이후 제주시가 추진한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감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40건의 행정상 조치와 25명에 대한 신분 조치, 1억3천만 원의 재정상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주요 지적사항을 보면 국가 공유재산을 입찰도 없이 특정인과 수의계약으로 길게는 30여년 동안 대부해준 사례가 확인됐습니다. 또 취득세나 재산세 추징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고 아동수당이나 유류비 지원 업무도 소홀히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밖에도 채용 과정에 취약계층 우대사항을 적용하지 않거나 청소년수련시설 운영 대표자 대부분을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인물을 선임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 2023.04.20(thur)  |  이현
  • Abuse of Unmanned Parking System
  • Abuse of Unmanned Parking System A vehicle that has just entered a parking lot makes a quick turn and heads back toward the exit. Although the barrier went up, the vehicle did not leave, but instead immediately reversed and parked to one side. This U-turn maneuver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a trick used to avoid paying parking fees. If the vehicle does not exit when the barrier goes up, it is recognized under the category of free parking within 30 minutes. No fees were charged when the car left during weekends or after 6 p.m., when the parking lot payment system is not enforced. Recording Lee Jong-seok / Representative, Jeju City The vehicle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vehicle owner made the camera at the barrier of the exit recognize the vehicle, causing the barrier to lift. The vehicle then immediately reversed back into the parking spot and left during a time when fees were not charged, such as after the parking lot's operating hours had ended. By doing so, the vehicle managed to avoid being flagged for unpaid parking fees. According to a police investigation, the car’s owner was found to have avoided parking fees over 120 times from March of last year when the parking lot became unmanned until last month. That’s a whopping total of 1.2 million won. It was reported that the car’s owner became aware of the trick by frequently using the unmanned parking lot. The police have charged the driver with the illegal use of facilities and handed over the case to the prosecutor's office. Currently, out of the 78 public parking lots in Jeju City, more than 80 percent, or about 60 parking lots, have been converted to unmanned systems. With flaws in the management and fee collection system of the city’s unmanned parking lots coming to light, Jeju City plans to conduct a comprehensive inspection of vehicles using these lots and implement wide ranging improvements to the system. 주차장에서 유턴?…1년간 무료 이용 꼼수 공영주차장에 방금 들어온 차량이 크게 회전하더니 다시 출구 쪽으로 향합니다. 차단기가 올라갔지만 빠져나가지 않고 곧바로 후진해 한쪽에 정차합니다. 도로가 아닌 주차장 입구에서 유턴한 차량. 주차 요금을 내지 않기 위한 꼼수였습니다. 차단봉이 올라가면 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30분 이내 무료 차량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세워둔 이후 주차장이 개방되는 오후 6시 이후나 주말에 빠져나가면 요금이 부과되지 않았습니다. <씽크:이종석/제주시 공영주차장 담당> 입차는 정상적으로 됐는데 출차할 때 차단기 앞에서 카메라가 인식해서 차단기가 올라가면 다시 후진해서 주차를 하고 운영시간이 종료된 후에 카메라 사각지대로 나오면서 미납처리를 삭제하는 건입니다. 경찰 수사 결과 차주는 무인으로 바뀐 지난해 3월부터 지난 달까지 120여 차례에 걸쳐 주차요금 120만 원 상당을 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차주는 무인시스템 주차장을 자주 이용하면서 방법을 알게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은 차주에 편의시설 부정 이용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로 넘겼습니다. 현재 제주시 공영주차장 78 곳 가운데 무인으로 전환된 곳은 60여 곳으로 80%가 넘습니다. 무인화된 주차장의 차량 관리와 요금 징수 체계에 허점이 드러난 가운데 제주시는 요금 미납 차량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무인주차장 운영 시스템도 개선할 계획입니다.
  • 2023.04.20(thur)  |  이현
  • Improvement of Water Facilities in Vulnerable Areas
  • Jeju Island will invest 156 billion won in improving water supply facilities for vulnerable rural areas. The province plans to begin construction on water supply facilities in 10 towns and 13 districts this month and complete them by the end of the year. In addition, Jeju will simultaneously carry out pipeline construction and alternative water source development projects to establish a stable water supply system. The plan is to initiate all water supply facility improvement-related project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nd alleviate inconveniences. 농어촌 급수 취약지역 시설개선 사업 추진 제주도가 농어촌생활용수 급수 취약 지역에 156억 원을 투입해 상수도 시설 개선 사업을 추진합니다. 우선 도내 10개 읍면 13개 지구 상수도 시설 공사를 이달 중 착공해 연말까지 준공할 계획입니다. 또 송수관로 시설공사와 대체 취수원 개발사업도 병행해 안정적인 물 공급 운영체계를 구축합니다. 제주도는 상반기에 상수도 시설개선사업 관련 모든 공사를 발주해 불편을 해소해 나갈 방침입니다
  • 2023.04.17(mon)  |  이현
  • Chujado Operates ‘Movie Day'
  • The town of (추자면) Chujamyeon operates a 'Movie Day' to improve the cultural welfare of its residents. Fee movies will be screened for residents twice a month in the small theater locat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추자면) Chujamyeon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Through the program the island hopes to be able to alleviate the cultural demands of its residents. 추자면, '영화가 있는 날' 운영…"문화 욕구 해소" 추자면이 지역 주민들의 문화복지 향상을 위해 '영화가 있는날'을 운영합니다. 이에따라 추자면 종합복지관 2층 소공연장에서 매달 2회 씩 주민들을 위한 무료 영화가 상영될 예정입니다. 추자면은 영화가 있는 날을 통해 주민들의 문화 욕구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3.04.17(mon)  |  이현
  • Jeju City Conducts Safety Inspection of Accomodations
  • A joint inspe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ll be conducted until the 3rd of next month, targeting 29 tourist accommodations and one suspension bridge. The inspection will focus on checking for damage to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removing evacuation hazards, and managing the state of safety equipment such as fire extinguishers and water pumps. Last year, a national safety diagnosis was conducted on 29 tourist accommodations, and corrective and repair measures were taken on 16 of them, including the removal of debris in transformer rooms and repairing damaged smoke detectors. 재난발생 대비 관광숙박시설 안전 점검 제주시가 각종 재난발생에 대비해 관광숙박시설 등을 중심으로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합니다. 이번 점검은 민관 합동으로 다음달 3일까지 관광숙박시설 29개소와 출렁다리 1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집니다. 토목 건축물 파손과 피난 위험 요소 제거, 소화기나 완강기 등의 안전 장비 관리 상태를 중점적으로 확인할 예정입니다. 한편 지난해에는 관광숙박시설 29곳에 대한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해 변전실 내 적치물과 연기감지기 파손 등 16곳에 대한 시정조치와 보수 조치를 실시했습니다.
  • 2023.04.17(mon)  |  이현
  • Jeju City to Crack Down on Illegal Drug Cultivation
  • Jeju City's western public health center will conduct a crackdown on illegal cultivation of poppy and marijuana until July, timed with the flowering and harvesting seasons of the plants. As a result, the authorities will monitor and crack down on illegal cultivation practices that take place in concealed areas such as fields within villages, backyards, gardens, and small plots of land. According to relevant laws, those who sow and smuggle marijuana and poppy for drug use may face up to five years in prison or a fine of up to 50 million won. 제주시, 양귀비·대마 불법재배 집중 단속 제주시 서부보건소가 양귀비 개화기와 수확기에 맞춰 오는 7월까지 대마와 양귀비 불법 재배 행위를 집중 단속합니다. 이에 따라 마을 내 경작지와 집 뒷마당이나 화단, 텃밭, 정원 등 은폐된 장소에서 몰래 재배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섭니다. 마약용 양귀비와 대마를 파종하거나 밀매하는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 2023.04.17(mon)  |  이현
  • Non-membership Golf Courses Going Public
  • Most non-membership golf courses in the province are transitioning to public golf courses. The province announced that out of the 25 non-membership golf courses on the island, 22 have applied for public course designation and have been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y are currently undergo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registration status. This change is due to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the golf course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re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membership, non-membership, and public courses from this year. In particular, the designation as public courses is interpreted as a measure to be exempted from taxes, such as individual consumption tax. If designated as public courses, fees will then be decided upon depending on government standards. 도내 비회원제 골프장 대다수 '대중형' 전환 제주도내 비회원제 골프장 대다수가 대중형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도내 비회원제 골프장 25곳 가운데 22곳이 대중제 지정을 신청해 현재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모두 지정받아 변경등록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관련 법 개정으로 올해부터 골프장 분류 체계가 회원제와 비회원제, 대중제 세가지로 개편된데 따른 겁니다. 특히 해당 업체들이 개별소비세 등 일부 세금의 면제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대중형 골프장으로 지정되면 정부의 상한 기준에 따라 그린피 등 이용료를 책정해야 합니다.
  • 2023.04.17(mon)  |  이현
  • Oil Prices Hike
  • Oil Prices Hike Vehicles are lining up at a gas station in downtown Jeju City. With the recent increase in oil prices, many consumers are trying to fill up their tanks when the price is even slightly cheaper. INTERVIEW Hong Sung-wook / Donam-dong, Jeju City It's definitely a burden to drive when the price is in the 1700 won range. The price of gasoline in Jeju, which had surged to an all-time high of 2,200 won per liter at one point, has fallen to the 1,500 won range due to the government's fuel tax reduction measures and stability in international oil prices. However, international oil prices are fluctuating again as major oil-producing countries, including OPEC, have recently announced plans to reduce oil production. Currently, the average price of gasoline in Jeju is 1,692 won per liter, up by 50 won over the past two weeks, and approaching the 1,700 won mark. The price of diesel has also risen by 36 won over the same period to 1,573 won per liter. For those whose livelihoods depend on driving, the rising cost of fuel is becoming an even greater burden. INTERVIEW Go Man-ho / Construction company representative The company fills up the fuel of construction equipment. We contracted at the lower rate of oil prices, but if the oil price rises, we end up doing the construction at a loss. To make matters worse, the fuel tax reduction measures that had restrained the price of oil are scheduled to end this month. The current reduction in fuel tax rates for gasoline and diesel are 25 percent and 37 percent, respectively. The government has been considering extending the fuel tax reduction measures in response to the recent rise in oil prices, but even this is difficult due to the decrease in tax revenue. As a resul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gradual normalization of fuel tax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Now, all eyes are watching their final decision. 기름값 다시 들썩…유류세 인하 '변수' 제주시내 한 주유소로 차량들이 연이어 들어옵니다. 최근 기름값이 다시 오르자 조금이라도 저렴할 때 기름을 채워 넣으려는 소비자들이 많아진 겁니다. <인터뷰 : 홍성욱 / 제주시 도남동> 아무래도 1700원대는 차 타고 다니는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긴 하죠. 한때 리터당 역대 최고가인 2천 200원대까지 치솟았던 도내 휘발유 가격은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와 국제유가 안정세 속에 1천 500원대까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석유수출국기구인 OPEC 등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하면서 국제유가가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현재 도내 휘발유 평균가격은 리터당 1천692원으로 2주 사이 50원 오르며 1천700원 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경유 가격은 리터당 1천573원으로 같은 기간 36원 상승했습니다. 운전이 생업과 이어지는 경우에는 오르고 있는 기름값이 더욱 부담스럽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 고만호 / 건설업체 대표> 장비 같은 경우에는 회사에서 기름을 넣어주다 보니깐 처음에 내렸던 단가로 계약했다가 유가가 또 올라버리면 우리는 마이너스를 보면서 공사를 해야 되는 실정입니다. 설상가상 기름값을 억눌렀던 유류세 인하 조치도 이달 말 종료될 예정입니다. 현행 휘발유와 경유엔 각각 25%, 37%의 유류세 인하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유가 상승에 유류세 인하 연장을 고심하고 있지만 세수 감소로 이마저도 여의치 않습니다. 이로 인해 유류세 인하를 단계적으로 정상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최종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2023.04.17(mon)  |  이현
  • Tamna Education Center Recruits Parent Supporters
  • The Tamna Education Center seeks parents supporters who wish to participate in helping develop student character. Parents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in the province are eligible for application and 15 people will be hired in total. Those chosen as a parent supporter will be eligible to participate in special lectures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additoin, a small amount of transportation fee will be provided for parent participants and an incentive will be offered to active supporters. 탐라교육원, 학부모 서포터즈단 15명 모집 탐라교육원이 학생 인성교육에 참여할 학부모 서포터즈단을 공개 모집합니다. 모집 대상은 도내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로 모두 15명을 모집합니다. 학부모 서포터즈로 선정되면 학부모 아카데미를 시작으로 특강, 문화체험 활동 등에 참여하게 됩니다. 학부모 서포터즈에게는 소정의 교통비 등이 제공되며 우수 활동가에게는 인센티브도 주어집니다.
  • 2023.04.13(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