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Announces 3rd Development Plan
  • Jeju has recently introduced its third general plan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lan is to decrease regional disparities by implementing a range of strategies, including improving access to services, attracting residents, and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 producer-linked services over five years from 2021 to 2027. The plan outlines several specific initiatives, such as expanding cultural and leisure facilities, implementing urban renewal projects, and enhancing medical and childcare services in vulnerable areas. In particular, it includes strategic projects that align with the major policies of the 8th administration, including creating a 15-minute city and promoting workation businesses. 제3차 지역균형발전 5개년 계획 발표 제주도가 제3차 지역균형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 계획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동안 지역간 격차 완화를 위한 서비스 이용 접근성 개선과 생활인구 유치, 전문 서비스 생산자 연계 서비스 공급 등의 전략이 담겨 있습니다. 세부적인 사업을 살펴 보면 문화.여가시설 기반 확충과 도시재생사업, 의료, 보육 취약 지역 해소 사업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특히 15분 도시와 워케이션 등 민선 8기 주요 정책의 취지를 고려한 전략 사업을 담고 있습니다.
  • 2023.04.10(mon)  |  이현
  • Apartment Prices Continue to Fall
  • The price of apartments in Jeju continued to decline this month.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Agency, apartment prices in the province fell by 0.18% during the first week of this month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Additionally, lease prices for apartments also experienced a 0.2% decline from the previous week. The real estate industry attributes the decline in apartment prices to frozen buying sentiment caused by high-interest rates. 제주 아파트 가격 4월에도 하락세 지속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이 이달 들어서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와 비교해 0.18% 떨어졌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주 대비 0.2% 하락하며 내림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고금리 여파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04.10(mon)  |  이현
  • Conditional Participation in Disposable System
  • After just four months, some franchise stores in Jeju have decided to conditionally opt-in to the Disposable Cup Deposit System, marking a reversal of their prior refusal. Jeju Franchise Store Owners’ Association held a press conference to express their agreement with the system’s purpose and to announce their conditional participation. However, they also called for the ordinance to be revised and implemented to include all businesses on Jeju using disposable cups. The small size of some stores presented challenges in installing simple collection bins, so they requested that Jeju expand public return sites and join the system. This decision means that approximately 120 franchise stores in Jeju will participate in the system. "일회용컵 보증금제 조건부 동참"…시행 4개월 만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거부해 온 일부 제주지역 프랜차이즈 매장들이 제도 시행 4개월 만에 동참합니다. 제주프랜차이즈점주협의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의 취지에 공감하며 조건부 동참을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일회용컵을 사용하는 제주도 내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제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조례 개정과 시행을 촉구했습니다. 이와 함께 매장이 협소해 간이회수기 설치 등이 어려운 경우도 있는 만큼 공공 반납처의 확대와 제도 동참을 위한 제주도 차원의 지원을 요구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제주도 내 프랜차이즈 매장 120여 곳에서 일회용컵 보증금제도에 동참할 예정입니다.
  • 2023.04.10(mon)  |  이현
  • Abandoned Ships Float for Years
  • Abandoned Ships Float for Years This is (모슬포) Moseulpo South Port. It is a crucial spot for catching large yellowtail and connecting with Jeju’s dependent islets of (마라도) Marado and (가파도) Gapado. Next to the fish farming facility where yellowtail and amberjack are kept, an old, worn-out ship catches the eye. This abandoned ship was once used as a cargo vessel, but has been left unused for a long time. Various parts of the ship are rusted and cracked, as if it has not been touched by human hands in ages. INTERVIEW Park Cheol-min /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There is a risk of potential accidents due to the abandoned ship, and if it collides with the temporary fish storage facility, the fish caught by fishermen may be lost, or there may be significant problems. The situation is similar in (모슬포) Moseulpo North Port, which is also suffering from abandoned ships. Two vessels, including a fishing boat and a leisure boat, are left almost sinking. It is estimated that this fishing boat has been abandoned at sea for over 10 years. As a sign that the ship has been abandoned for a long time, grass has grown on the vessel. This place is adjacent to the Olle Trail, making it an eyesore to slow walkers. INTERVIEW O Heung-jin, Park Hak-jin / Tourists As it is on the Olle Trail, it would not be pleasant for walkers. Such abandoned ships leave a negative impression. It would be better to deal with these issues as soon as possible. Most fishing boats are made of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and if they are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plastic components can leach out and pollute the water quality. If there is any chance of oil leakage from the abandoned ships, it could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marine environment. Abandoned ships should be removed by their owners,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the owners,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fac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m due to budget constraint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measures to deal with abandoned ships as they not only harm the beauty of the port but also the marine environment. 폐선박 수년째 둥둥…환경오염 우려 대방어의 고장이자 제주도 본섬과 마라·가파도를 잇는 모슬포남항. 방어와 부시리 등 활어를 보관하고 있는 가두리 시설 옆으로 낡은 배 한 척이 눈에 띕니다. 화물을 운반하는 바지선으로 쓰이다가 버려진 폐선박입니다. 장기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듯 곳곳이 녹슬고 갈라졌습니다. <인터뷰 : 박철민 / 모슬포수협 지도과장> 방치를 하다 보면 혹시 모를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로 인해 활어 임시 보관 장소와 충돌하면 어민들이 잡아온 고기들이 방생되거나 큰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모슬포북항도 폐선박으로 몸살을 앓긴 마찬가지입니다. 어선과 레저용 보트 등 두 척이 사실상 침몰된 상태로 방치돼 있습니다. 이 어선은 10년 넘게 해상에 방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버려진 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는 걸 보여주듯 선박 위로는 수풀까지 자랐습니다. 심지어 이곳은 올레길과 맞닿아 있어 올레꾼들에게는 흉물스럽기까지 합니다. <인터뷰 : 오흥진 박학진 / 관광객> (올레길) 코스이기 때문에 지나가는데 이런 폐선이 있으면 보기도 안 좋고 관광객들에게 인상도 안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은 빨리 (처리됐으면 좋겠습니다.) 어선 대부분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장기간 방치될 경우 플라스틱 성분이 흘러나와 수질을 오염시킵니다. 또 폐선박에서 자칫 기름이라도 유출되면 해양 환경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폐선박은 배 주인이 이동시켜야 하지만 소유주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행정당국은 예산 문제로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항구의 미관은 물론 해양 환경도 해치면서 방치 선박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3.04.10(mon)  |  이현
  • Jeju Supports Warranty Insurance for Travel Businesses
  •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provides business warranty insurance premiums to travel companies in the province. 50% of paid insurance premiums are provided within the maximum limit of 300,000 won per company. However the subsidy will be recovered if the guarantee insurance is terminated due to business closure. Business guarantee insurance is mandatory for travel agencies, and premiums will vary depending on sales of previous years in addition to the credit worthiness of businesses. 제주도관광협회, 여행업계 보증보험료 지원 제주도관광협회가 도내 여행업체를 대상으로 영업보증 보험료를 지원합니다. 업체당 최대 3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보험료의 50%를 지원하며 폐업으로 보증보험을 해지할 경우에는 지원금을 환수합니다. 영업보증보험은 여행업체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보험료는 전년도 매출액과 신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Jeju Book Fair and Literary Festival…May 8-9
  • The Jeju Book Fair and Literary Festival, the national book exhibition, will be held at the Hala Gymnasium on the 8th and 9th of next month. The Jeju Book Fair, now in its third year, is a book fair where independent publishers, small publishers, and about 200 independent bookstores from across the country gather to exhibit and sell books they have personally made and to operate related seminars. During the event, there will be nine seminars, and 30 people can participate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per day. In addition, various exhibitions and programs curated on the topics of Jeju 4.3, upcycling, and programs such as creating one's own picture books will be available. '제주북페어 책운동회' 8~9일 한라체육관서 열려 전국 책 박람회인 제주북페어 책운동회가 오는 8일과 9일 한라체육관에서 열립니다. 올해 3회째를 맞는 제주북페어는 전국의 독립출판물 제작자와 소규모 출판사, 독립서점 200여 팀이 모여 직접 만든 책을 전시 판매하고 관련 세미나를 운영하는 책 박람회입니다. 행사 기간 9개의 세미나가 진행돼 당일 선착순으로 30명씩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4.3 주제 자료 큐레이션과 업사이클링 놀이 쉼터, 나만의 그림책 만들기 등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Gapado Promotes Reusable Cups
  • A deposit system for reusable cups will be implemented on Gapado Island. Seogwipo City has obtained the consent of eight cafes on Gapado Island, and after a two-month trial period, the system will be officially enforced from June. Accordingly, if a reusable cup is used on Gapado Island, a deposit of 1,000 won will be required, and when the cup is returned, the deposit will be refunded to consumers. Seogwipo City has installed deposit return machines at the passenger lounges at (운진) Unjin Port, and on Gapado Island. 다회용컵 보증금제 가파도서도 실시 가파도에서도 다회용컵 보증금제가 실시됩니다. 서귀포시는 가파도에 있는 8개 카페매장의 동의를 얻어 두달동안 시범기간을 거쳐 6월부터 본격적으로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가파도에서도 다회용컵을 사용하면 1천원의 보증금을 내고 컵을 받납하면 돌려받게 됩니다. 서귀포시는 대정읍 운진항 대합실과 가파도내 대합실에 보증금 반환기를 설치했습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Penalties for Violators of Housing Lease Act
  • Starting from June, the "Housing Lease Reporting System" will be implemented to protect the rights of tenants. The province has announced that, as the grace period for the reporting system ends on May 31, starting from June, if the lease contract exceeds a security deposit of KRW 60 million or monthly rent of KRW 300,000, it must be reported within 30 days. However, contracts that only expire without changes in security deposit or monthly rent will be excluded. Failure to report within the deadline or providing false information may result in a fine of up to 1 million KRW. '주택 임대차 신고제' 6월부터 시행…위반시 과태료 임차인 권리 보호를 위한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오는 6월부터 시행됩니다. 제주도는 주택 임대차 신고제 계도기간이 다음달 31일 종료됨에 따라 6월부터 보증금 6천만원 또는 월차임 30만 원을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인 경우 30일 내에 신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보증금이나 월차임 증감 없이 임대차 기간만 만료되는 계약은 신고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기간 내에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 신고할 경우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Measures Strengthen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 Measures are being considered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by preserving related records until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have agreed to reflect the records of preparators of school violence in the regular entrance examination and to consider ways to preserve them until employment in order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At a consultative council, effective measures for separating actors of violence and strengthening tailored support for victimized students were also discussed.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be confirmed at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Committee, presided by the Prime Minister. 학폭 가해 기록, 대입·취업때까지 보존 검토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관련 기록을 대입 뿐 아니라 취업때까지 보존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당정협의를 통해 학폭 근절을 위해 가해 기록을 대입 정시 전형에 반영하도록 하고 취업 때까지 기록을 보존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당정 협의회에서는 또 가해자 즉시 분리 조치 실효적 방안과 피해 학생 맞춤 지원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됐습니다. 이번에 논의된 방안들은 국무총리 주재 학교폭력대책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2023.04.06(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