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riticism Over Remarks on Jeju 4.3
  • A situation has arisen where political parties in Jeju are criticizing (김재원) Kim Jae-won, a senior member of the ruling party, over his remarks on the April 3rd National Memorial Day, claiming that they were inappropriate. The Jeju Branch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ssued a statement strongly criticizing Kim's comments and the ruling party's senior members, including (김태호) Tae Young-ho, for mocking the bereaved families on the day of the memorial ceremony. They also pointed out that the Jeju branch of the main opposition party, the People Power Party, has remained silent and has not expressed any position on this issue. The Jeju branch of the minor opposition party, the People's Party, also criticized the ruling party for supporting distortion of the truth about the April 3rd incident, leaving the person who made inappropriate remarks unpunished, and ignoring the spirit of the times, predicting that they will suffer defeat in future local elections in Jeju. 국민의힘 연이은 4·3 망언에 비판 확산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4.3추념일은 격이 낮다는 발언과 관련해 제주도내 정당의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오늘 논평을 내고 김 최고위원의 해당 발언과 4.3추념식 당일 유족을 우롱한 태영호 최고위원을 겨냥해 집권 여당 최고위원들의 '격 낮은 인식'에 아연실색할 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제주도당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생당 제주도당도 논평을 통해 4.3 왜곡 세력을 옹호하고 망언자를 그대로 두고 역사를 부정하며 시대정신을 외면하는 국민의힘은 앞으로도 제주지역 총선에서 전패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Price Growth Slows Down
  • Price Growth Slows Down Recent data indicate that the consumer price increase in Jeju, which showed a high growth rate of 7 percent at one point last year, has been slowing down recently, with the increase rate diminishing. According to the Jeju office of Statistics Korea, the consumer price growth rate in Jeju increased by 3.9 percen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rate of increase dropped 0.8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and the consumer price growth rate recorded a 3 percent range for the first time in 17 months since October 2021. Experts note that the rise in consumer prices has eased as the prices of petroleum products fell due to a declin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The prices of gasoline and diesel have fallen by about 17 percen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nd automotive LPG has dropped by almost 9 percent. Prices for food items such as rice and Chinese cabbage have also gone down. Meanwhile, statistics show that utilities such as electricity and household gas, as well as food prices such as bread and milk, have in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e consumer price growth will continue to slow down following the large increase seen last year, but uncertainties persist. INTERVIEW Hong Yeon-gwon / Jeju office, Statistics Korea Considering the high prices in the first half of last year and the recent declin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it appears that consumer prices will remain stable for the time being. However, there are factors of concern such as the increase in utility charges, OPEC's production cuts, and rising prices in the service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monitor the situation. Perceived prices as shown in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commonly purchased items and expenditures are in the range of a 4 percent increase. So the financial burden faced by households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제주 물가 둔화…상승폭 17개월 만에 3%대 지난해 한때 7%대 상승률을 보이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도내 소비자물가. 최근 오름폭이 축소되면서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3.9% 상승했습니다. 전월보다 0.8%포인트 둔화된 오름폭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1년 10월 이후 17개월 만입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제품 가격이 내려가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실제 휘발유와 경유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17% 가량 떨어졌으며 자동차용 LPG도 9%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이와 함께 쌀과 배추 등도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반면 전기료와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과 빵과 우유 등 식품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분간 소비자물가는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인 지난해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불확실성도 여전합니다. <인터뷰 : 홍연권 / 통계청 제주사무소장> 작년 상반기 물가가 높았던 것과 최근 국제 유가 하락을 감안할 때 당분간 안정될 것으로 보이지만 공공요금 인상요인과 OPEC 감산 결정, 서비스업 부문 물가 상승세 유지 등 불안요소가 있어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가 여전히 4%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어 가계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 2023.04.06(thur)  |  이현
  • Polariz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 Last month, there was a polarization in industrial activity in the province, as production i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creased while consumption decreased.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Statistics Korea, production in the island's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creased by 21.4%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Compared to one year ago, production increased by 2.7% and inventory decreased by 33%. However, the sales index of large retail stores, which is an indicator of local consumption, fell by 4.9% and returned to a downward trend. 제주 산업활동 양극화…생산 늘고 소비 줄고 지난달 제주지역 광공업 생산이 증가한 반면 소비는 줄어들면서 산업활동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가 발표한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광공업 생산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21.4% 증가했습니다. 출하는 1년 전과 비교해 2.7% 늘었으며 재고는 3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도내 소비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4.9% 떨어지며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 2023.04.03(mon)  |  이현
  • Unpaid Taxes Now Viewable to Public
  • Unpaid local taxes are now visible to the public nationwide without the landlord's consent. This is due to the revision of the Local Tax Collection Law, which allows tenants to apply for inspection of unpaid local taxes without the landlord's consent from the time of contract conclusion until the start of the lease agreement if the security deposit exceeds KRW 10 million. Until now, inspection of unpaid local taxes was only possible with the consent of the landlord before the lease agreement. Tenants who wish to request to view any unpaid local taxes can apply by visiting the Jeju City Hall Property Office or district administration center with a copy of the lease agreement. 내일부터, 집주인 동의 없이 미납세금 열람 가능 집주인 동의가 없어도 전국 어디서나 미납 지방세에 대한 열람이 가능합니다. 이는 지방세징수법 개정에 따른 것으로 임차보증금이 1천만원을 초과하면 계약체결 후부터 임대차 계약 기간이 시작되는 날까지 임대인 동의 없이 미납지방세 열람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지금까지는 임대차계약 전에 임대인의 동의를 받아야만 미납지방세 열람이 가능했습니다. 열람하려는 임차인은 임대차계약서 사본을 가지고 제주시청 재산과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 2023.04.03(mon)  |  이현
  • Jeju Expands Civilian Safety Insurance Coverage
  • The coverage of the civilian safety insurance, which compensates for unexpected accidents in daily life, will be expanded. Jeju Island announced that it will expand the coverage of the civilian safety insurance to compensate for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such as the Itaewon tragedy. As a result, the number of coverage items has increased from 22 last year to 28 this year, and support of up to KRW 20 million will be provided for each coverage item. Jeju Island residents with a registered address in the province will be automatically enrolled in the civilian safety insurance without any separate procedure and can receive benefits in addition to their individual insurance. 도민안전보험 보장범위 확대…자연재해·사회재난 추가 일상생활 중 예상치 못한 불의의 사고에 보상받을 수 있는 도민안전보험 보장범위가 확대됩니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자연재해와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회재난 피해를 보상할 수 있도록 도민안전보험 보장 항목을 확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보장항목은 지난해 22개에서 올해 28개 항목으로 늘어나고 보장항목별로 최대 2천만원까지 지원됩니다. 도민안전보험은 제주도에 주민등록을 둔 도민이면 별도의 절차없이 자동 가입되며 개인별로 가입한 보험과 중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3.04.03(mon)  |  이현
  • Jeju City Supports Weddings for Couples
  • Jeju City is recruiting participants for the so-called ‘Happy Wedding,’ which supports Cohabiting Couples’ with a joint wedding ceremony, until the 12th of this month. Targeted participants will be five low-income and multicultural cohabiting couples who have resided in Jeju City for over a year after marriage registration. Beneficiaries will be selected through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applicants economic level, marital period, and number of children. ‘Happy Wedding’ will be held as a joint wedding on May 31st, and the overall cost of the wedding, including rental fees for the venue, dress, tuxedo, including costs for photography, will be covered. Since 1984, a total of 825 couples have participated in Jeju City's Happy Cohabiting Couples' Wedding. 제주시, 동거부부 행복 결혼식 참여자 모집 제주시가 오는 12일까지 동거부부 행복 결혼식 참여 희망자를 모집합니다. 참여 대상은 제주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혼인신고 후 1년 이상 지난 저소득과 다문화 동거부부로 경제 수준과 혼인 기간, 자녀 수 등 종합심사를 거쳐 다섯 부부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행복 결혼식은 오는 5월 31일 합동결혼식으로 진행되며 웨딩홀과 드레스, 턱시도, 촬영 등 결혼식의 전반적인 비용이 무료로 지원됩니다. 제주시 동거부부 행복결혼식에는 지난 1984년부터 현재까지 825쌍이 참여했습니다.
  • 2023.04.03(mon)  |  이현
  • Controversy over the Exclusion of Tourism Funding
  • The controversy of excluding Jeju from the list of beneficiaries continues as the government announces a travel support plan worth up to 60 billion won to revitalize tourism. During the 15th emergency economic livelihood meeting presided by President (윤석열) Yoon Seok-yeol,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provide discounts on essential travel expenses such as lodging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nd a plan to reduce airline fees for flights arriving at local airports. However, Jeju and Gimhae airports were excluded from the support among 14 local airports nationwide.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it focused on promoting domestic consumption and revitalizing local business districts. It excluded Jeju, where tourists are constantly visiting, from the list of beneficiaries as it aims to support vacation expenses. 정부, 관광 활성화 6백억 지원…제주 제외 논란 정부가 관광 활성화를 위해 여행 지원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제주가 대상에서 제외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5차 비상경제민생대책회의에서 정부는 최대 6백억 원을 투입해 국민에게 숙박비와 놀이시설 등 필수여행비 할인과 지방공항 도착 항공요금 할인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항공요금 할인 방안의 경우 전국 지방공항 14개 가운데 제주공항과 김해공항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정부는 내수 증진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휴가비를 지원하는 만큼 관광객이 꾸준한 제주의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04.03(mon)  |  이현
  • 5,688 More Recognized as Bereaved Families
  • The Jeju 4.3 Incident Investigation and Restitution Committee has announced an additional 5,688 victims and their families as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incident. Among those who reported from January to June 2021, a total of 78 victims and 5,610 families were recognized through the committee's fact-finding and deliberation process. This brings the total number of victims to over 14,700 and the total number of families to over 94,100 since the committee's establishment in 2002. Jeju Island installed memorial tablets at the 4.3 Peace Park. For victims who are still missing, separate markers will soon be installed. 4·3 희생자, 유족 5천 688명 추가 결정 제주 4.3사건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가 4.3 희생자와 유족으로 5천 688명을 추가로 결정했습니다. 희생자 78명과 유족 5천 610명으로 지난 2021년 1월부터 6월까지 신고한 이들 가운데 실무위원회의 사실조사와 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이뤄졌습니다. 이에따라 2002년부터 결정된 4.3사건 희생자는 1만 4천 700여명, 유족은 9만 4천 100여명으로 전체 10만 8천 800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이번에 결정된 희생자에 대해 올해 추념식 전에 4.3 평화공원 봉안실에 위패를 설치할 계획이며 행방불명 희생자의 경우 빠른 시일내에 행방불명인 표석을 별도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 2023.04.03(mon)  |  이현
  • Longer Stays Prefered by Elders
  • Longer Stays Prefered by Elders The "One-month stay" has become a representative tourism content in Jeju along with the trend of relocating to the island. It has been found through a survey that those aged 60 and over, resid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igh-income earners show a high preference for a one-month stay. According to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ourists who visited Jeju for a one-month stay using public-private data by Statistics Korea and Jeju Tourism Organization, it is estimated that a total of 9.33 million domestic visitors visited the island for a year starting from August 2021. Among them, visitors who stayed for 28 to 31 days, which is considered a one-month stay, accounted for 0.4 percent or 35,000 people. By age group, visitors in their 20s and 30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one-month stay visitors at 39 percent. However, among those in their 60s, the proportion of one-month stay visitors was higher than that of short-term visitors staying for less than 7 days, indicating a tendency for this age group to prefer longer stays. In terms of regions, resid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ccounted for 61.1percent of one-month stay visitors, showing a higher proportion of one-month stay visitors than short-term visitors. Although non-homeowners accounted for more one-month stay visitors than homeowners, there was a slightly higher preference for one-month stays among homeowners. In terms of income level, among one-month stay visitors, those with an income of less than 30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but high-income earners showed a greater tendency for one-month stays compared to short-term visits. In addition, those who frequently use mobile content on leisure showed a tendency towards one-month stays. The regions with a preference for one-month stays were ranked in order as follows: (애월) Aewol, (구좌) Gujwa, (조천) Jocheon, and (성산) Seongsan. INTERVIEW Jeong Geun-o / Representative, Jeju Tourism Organization It has been analyzed that visitors who prefer a one-month stay tend to favor places that are uniquely Jeju, such as hills, forest trails, and beaches. Plans are underwa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for long-term tourists, with the aim of making the island a popular destination for long-term visitors. A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eference for a one-month stay is related to economic condition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is analysis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new added value in the local tourism industry. 실버세대·고소득일수록 '한달살이' 선호 제주 이주 열풍과 함께 도내 대표 관광 콘텐츠로 자리잡은 한달살이. 60살 이상과 수도권 거주자, 고소득자 등에서 한달살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과 제주관광공사 등이 민관데이터를 활용해 제주 한달살이 방문객의 주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1년 8월부터 1년간 제주를 찾은 내국인은 933만명으로 추정됐습니다. 이 가운데 체류기간이 28일에서 31일인 한달살이 방문자는 0.4%인 3만5천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 한달살이 방문객은 20~30대가 39%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만 60대의 한달살이 비중은 7일 이내 단기 방문 비중보다 높아 다른 연령대에 비해 한달살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자가 한달살이의 61.1%를 차지하며 단기 방문보다 한달살이 비중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 한달살이는 무주택자가 유주택자보다 많았지만 유주택자의 한달살이 선호 경향이 다소 높게 나왔습니다. 소득수준으로 볼 때 역시 한달살이 근로자 중 소득 3천만원 이하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고소득자일수록 단기 방문에 비해 한달살이 경향이 더 컸습니다. 또한 평소 레저 관련 모바일 콘텐츠를 많이 사용하는 층이 한달살이 경향을 보였습니다. 한달살이를 선호하는 지역은 애월과 구좌, 조천, 성산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정근오 / 제주관광공사 데이터R&D그룹 PM> 오름, 숲길, 해변과 같이 제주다운 곳들을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장기 체류하는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계획이고 그로 인해 제주가 장기 체류형 관광객들에게 각광받는 관광지가 되도록… 제주 한달살이가 경제적 여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온 가운데 이번 분석이 지역관광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2023.04.03(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