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City Supplies Eco-Friendly Compost
  • Jeju City is supply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t recycled from food waste collected from homes and restaurants to local farms. Through its food waste resource facility, Jeju City provides free compost to farms in the (봉개) Bonggae area, and plans to sell it for 2,000 won per bag to farms in other areas. Last year, Jeju City provided over 6,400 tons of compost to 195 farms free of charge. 제주시, 음식물폐기물로 만든 친환경 퇴비 공급 제주시가 가정이나 식당에서 수거한 음식물류폐기물을 친환경퇴비로 만들어 농가에 공급합니다. 제주시는 음식물자원화시설을 통해 생산된 부산물 퇴비를 봉개지역 농가에 우선적으로 무상 곱급하고 다른지역 희망농가의 경우 1포당 2천 원에 판매할 계획입니다.
  • 2023.03.29(wed)  |  이현
  • Maintenance on Nine Oreum Trails
  • As the number of visitors to Jeju island increases during spring, the province plans to enhance worn hiking trails. Jeju City announced plans to complete renovation on hiking trails for nine mountain trails, including (다랑쉬오름) Daraengshioreum in (세화리) Sehwa-ri, (구좌읍) Gujwa-eup and (노끄메오름) Nokkomeoreum in (유수암리) Yusuam-ri, (애월읍) Aewol-eup by June. The project will cost 1 billion won, and will involve overall facility improvements, such as the replacement of pedestrian mats, safety ropes, and railings. Jeju City is urging visitors to refrain from using alternative routes other than the designated hiking trails for safety reasons. 제주시, 다랑쉬오름 등 9개 오름 탐방로 정비 봄철 탐방객이 늘면서 시설이 노후화된 오름 탐방로가 정비됩니다. 제주시는 구좌읍 세화리 다랑쉬오름과 애월읍 유수암리 노꼬메오름 등 9개 오름의 탐방로 정비를 6월까지 마무리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정비 사업에는 1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보행매트와 안전로프, 난간 등 전반적인 시설 정비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제주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탐방로 이외의 다른 경로 출입은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3.03.29(wed)  |  이현
  • Exhibition of Wild Animals Prohibited
  • With the amendment of the Wildlife Protection Act, exhibiting or using wild animals in unregistered facilities other than zoos will be prohibited. Anyone exhibiting wild animals at a tourist farms or wildlife cafes may be exempt from the ban on exhibition until December 13, 2027, if information including type and number of animals are reported in advance before December 13th of this year. While exhibitions will be permitted during the postponement period, any experiential activities will be prohibited. There are currently 12 registered zoos operating in Jeju. 동물원 외 살아있는 야생동물 체험·전시 금지 야생동물 보호법 개정으로 동물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시설에서 살아있는 야생동물 체험이나 전시가 금지됩니다. 이에따라 관광농원이나 야생동물 카페 등에서 야생동물을 전시하고 있는 경우 올해 12월 13일까지 보유 동물 종류와 개체수를 신고하면 2027년 12월 13일까지 전시 금지가 유예됩니다. 다만 유예기간 전시는 가능하지만 체험행위는 금지됩니다. 현재 제주에는 동물원 12곳이 등록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 2023.03.29(wed)  |  이현
  • Tourism Facility Maintenance for The Weak
  • Jeju Island is providing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ourism-related facilitie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egnant women. The target recipients are private tourist sites, accommodations, pensions, and other tourism-related businesses, with maximum support of up to 7 million won per business. Applications can be made through the Jeju Tourism Association's website until the 14th of next month. Jeju Island established the first ordinance in the nation in 2013 to create an accessible tourism environ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has been supporting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this purpose. 관광약자 편의시설 정비 지원…내달 14일까지 신청 제주도가 관광지 내 장애인과 임산부 등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편의시설 정비를 지원합니다. 지원대상은 사설관광지와 숙박, 펜션업 등 관광사업체로 업체당 최대 7백만 원까지입니다. 신청은 오는 14일까지 제주도관광협회 누리집을 통해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2013년 전국 최초로 관광약자의 접근가능한 관광환경 조성 조례를 제정하고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3.03.29(wed)  |  이현
  • Jeju Launches ‘Forest of Donation Project’
  • As the first project of the ‘Hometown Love Donation Fund,’ a Forest of Donation will be created. Jeju will invest 500 million won until October to create a 5,000-square-meter forest on the south side of the (모총사) Mocheongsa Temple in Sarabong Park in Jeju City. The plan is to create ‘a Forest of Donation’ to commemorate anti-Japanese soldiers along with the famous Jeju female entrepreneur (김만덕) Kim Man-deok. In addition, commemorative sculptures will be established for donors in the forest to show appreciation and promote a donating culture. 고향사랑기부금 1호 사업으로 '기부숲' 조성 고향사랑기부금 1호 사업으로 '고향사랑 기부숲'이 조성됩니다. 제주도는 사업비 5억 원을 투입해 오는 10월까지 제주시 사라봉공원 모충사 남측에 5천제곱미터 규모의 숲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고향사랑 기부숲은 항일의병과 항일투쟁가, 의녀 김만덕을 기리는 모충사와 연계해 나눔과 베품의 숲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또 숲 조성 시 기부 기념 조형물을 설치하는 등 기부자를 예우하고 기부 분위기 확산에 나설 방침입니다.
  • 2023.03.29(wed)  |  이현
  • Bijarim Road Graded Low on Environment Assessment
  • Civic groups have called for an invalid ruling wh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is underway regarding the expansion of Bijarim Road. The "Bijarim Road Civic Group" held a press conference claiming that the decision to pave Bijarim Road based on fals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must be invalid. The group emphasized that an expansion on the road will have a critical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of Bijarim Road, which has outstanding plant diversity and urged for an invalid ruling. Meanwhile, the sentencing date for the trial, which was originally scheduled for the 28th has been postponed to the 11th of next month. “비자림로 환경평가 엉터리…도로구역 결정 무효" 비자림로 확포장 공사와 관련한 행정소송 재판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시민단체가 무효 판결을 촉구했습니다. '비자림로 시민모임'은 제주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짓 환경영향평가에 근거한 비자림로 도로 결정은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도로가 확장되면 뛰어난 식물다양성을 가진 비자림로의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재판부는 무효 판결로 환경을 지켜달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지난28일로 예정됐었던 이번 재판 선고기일은 다음 달 11일로 변경됐습니다.
  • 2023.03.29(wed)  |  이현
  • Translated School Newsletters Available
  • Translated School Newsletters Available Ms. (박은주) Park Eun-ju married and moved from Mongolia to Jeju 14 years ago. Although time has passed and she’s now familiar with the Korean language, she still finds it difficult to read and understand written Korean. After her child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 Park had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 school newsletters written in Korean. INTERVIEW Park Eun-ju / Parent from Mongolia Since I don’t exactly understand the newsletters, I often had to ask my husband. There were many things that my kids couldn't participate in or missed out on. But now, these kinds of concerns have been greatly reduced. She can now receive school newsletters translated into Mongolian with the help of the Jeju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at the Jeju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INTERVIEW Park Eun-ju / Parent from Mongolia I’ve missed out on various programs, but now that the translation is available, I can clearly understand school newsletters and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With the help of computer translation tools, the school newsletters are translated into 60 different languages, including Mongolian, Chinese, Vietnamese, Japanese, and Russian. For more accurate translations, six languages, including Vietnamese and Chinese, are manually translated by professional translators on request. The machine translations are provided through QR codes, websites, or online documents. INTERVIEW Yang Seong-sun / Principal, Mureung Elementary & Middle School Thanks to the translation service, school programs are more widely circulated, and parents better informed, ultimately helping parents to be more involved in school activities. The translation service was piloted in some elementary schools in Jeju. The enthusiastic response led to it being expanded to all schools from August last year.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2,600 multicultural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ju, accounting for about 3 percent of all students in Jeju. These newly translated school newsletters are helping multicultural families to benefit from new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parents and schools, greatly reducing barriers that overseas immigrant parents face. 다문화 가정 "이젠 가정통신문 쉬워요" 14년 전 몽골에서 제주로 시집온 박은주 씨. 시간이 흘러 지금은 한국 말은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한글은 읽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자녀들이 입학 한 후 학교에서 보내는 한글로 된 가정통신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인터뷰 박은주 / 학부모 (몽골 출신) ] 정확한 내용을 모르니까 (애)아빠한테 해달라고 하든지 프로그램이 여러가지 있는데 참가를 못하거나 놓치는 부분이 많았는데.. 하지만 이제는 그런 걱정이 크게 줄었습니다. 제주국제교육원 제주다문화교육센터의 도움으로 몽골어로 번역된 가정통신문을 받아볼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은주 / 학부모 (몽골 출신) ] 놓친 부분이 많아서 아쉬운 점이 많았는데 이제는 번역이 다 돼 있으니까 내가 (가정통신문 내용을)다 알 수 있고 참가할 수 있고.. 학교에서 번역을 요청한 가정통신문은 몽골어 뿐만 아니라 중국어와 베트남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 60개 언어로 자동 번역이 가능하고 더 정확한 번역을 위해 베트남어와 중국어 등 6개 언어는 수동 번역을 요청할 경우 번역가들이 직접 번역해 줍니다. 번역된 가정통신문은 QR코드나 웹 주소, 번역 문서를 통해 가정에서 쉽게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양성순 / 무릉초·중학교장 ] 학교 프로그램들이 제대로 이제 안내가 되어지고 또 학부모님들의 이해도도 높아져서 그것이 결국은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기회를 높히고.. 일부 초등학교에서 시범 운영됐지만 호응이 뜨겁자 지난해 8월부터는 모든 학교로 확대됐습니다. 현재 제주지역 초중고에는 2천6백여 명의 다문화가정 학생이 다니고 있습니다 제주 전체 학생의 3% 가량입니다. 이들에게 전달되는 다국어 가정통신문은 해외이주 학부모의 어려움을 크게 줄여주면서 학교와 소통하는 새로운 소통 창구가 되고 있습니다.
  • 2023.03.29(wed)  |  이현
  • Jeju City Offers Expenses for Severely Ill Patients
  • Jeju City provides transportation expenses for out-of-hospitals for rare and incurable diseases and severely ill patients. Each person can receive up to 12 tickets to travel by flight or ship per year. To apply, submit your flight boarding pass and hospital receipt to a local district administrative office, community center or Jeju basic living security division. For patients under the age of 18, up to one accompanying guardian can be supported. 희귀난치성·중증 질환자 도외병원 교통비 지원 제주시가 희귀난치성질환자와 중증질환자에 대한 도외 병원 진료 교통비를 지원합니다. 1명당 연간 최대 12회까지 항공료와 선박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비를 지원 받으려면 진료를 위한 탑승권과 진료비 영수증 원본을 읍면동 주민센터나 제주시 기초생활보장과로 접수하면 됩니다. 18살 미만 질환자의 경우에는 동반 보호자 1명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2023.03.27(mon)  |  이현
  • Jeju Runs Reporting Center for Unfair Delivery Fee
  • The Province is operating a reporting center for unfair demands for additional delivery fees by courier services. Users can search for 'additional delivery fees for courier services' on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website and access the reporting center to register any misconducts related to delivery services. Cases that can be reported include excessive additional delivery fees compared to other online shopping malls, demand of additional courier fees without prior notice, and delivery refusals without reasonable justification after confirming the purchase. '택배 추가배송비 부당 요구' 접수 창구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가 택배 추가배송비 부당 요구사례에 대한 접수 창구를 운영합니다. 이를 위해 제주도청 홈페이지에 '택배 추가배송비'를 검색한 후 부당사례 접수 창구에 접속해 부당사례를 등록하면 됩니다. 접수할 수 있는 사례는 다른 온라인 쇼핑몰과 비교해 과다한 추가배송비 책정과 사전 고지 없이 추가 택배비 요구, 구매 확정 후 합리적 이유없이 배송을 거부한 경우 등입니다.
  • 2023.03.2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