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Arrests on Sexual Exploitation of Minors
  • Arrests on Sexual Exploitation of Minors Police arrest a man in his 20s after he opens the front door of his house. The suspect was taken into custody on the charge of producing sexual exploitation materials involving minors from the end of last year until last month. [Scene of arrest] You are under arrest by a warrant as of now. You have the right to hire a lawyer,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he right to claim your innocence. You may also request release to the court. A total of 11 people have been arrested on suspicion of distributing and selling sexual exploitation materials involving minors, which were either directly filmed in public places or illegally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The photos and videos were sold on online platforms such as Telegram. The suspects avoided detection by the authorities by using payment methods such as gift cards, rather than bank transfers, for their transactions. One suspect produced and uploaded over a hundred sexual exploitation materials that involved numerous victims who are minors. Even after the 'Nth room' case, sexual exploitation crimes involving minors continue to appear on social media platforms. Recording Shin Seung-u / Representative, Jeju Police Agency I thought there wouldn't be that many sexual exploitation materials, but I was surprised when we seized so many during the investigation. I was shocked by the bizarre photos and videos. It was a difficult crime to investigate because it involved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it was also challenging to obtain evidence as it was hard to restore conversations during the transactions. It was reported that three of the suspects lured three of the minors, including a disabled teenager, by offering cigarettes or pocket money and engaged in sexual acts with them, filming these acts and keeping the materials. The police have filed charges against the 11 suspects for violating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from sexual exploitation. Of those who were arrested, three individuals, including a man in his 20s who engaged in sexual acts with minors, have been detained. The police plan to expand their investigation, including strengthening account tracing and monitoring, as they believe that similar crimes are ongoing. 'n번방' 유사…청소년 성착취물 '무더기 검거' 경찰이 현관을 열고 집 안에 있던 20대 남성을 체포합니다. 검거된 남성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달까지 청소년 성착취물을 제작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거 영상> 현 시간부로 체포영장에 의해서 체포합니다. 변호사 선임할 수 있고 변명할 기회가 있고, 체포적부심을 청구할 수 있으세요. 공공 장소에서 직접 촬영하거나 인터넷에서 불법 다운로드를 받은 청소년 성 착취물을 유포 판매한 혐의로 일당 11명이 검거됐습니다. 사진과 영상은 텔레그램 같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됐습니다. 계좌 이체가 아닌 상품권 등으로 거래하면서 수사망을 피했습니다. 피의자 한명이 많게는 백개 가 넘는 착취물을 제작해 올리기도 했고 불특정 다수의 청소년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n 번방 사건 이후에도 SNS 상에서 청소년 성착취물 범죄는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씽크:신승우/제주경찰 여성청소년범죄수사대장> 성착취물이 그렇게 많지는 않을 거라 생각했는데 수사하면서 압수물을 보니까 많이 놀랐습니다. 엽기적인 사진이나 영상이 많아서 당황스러웠습니다. 개인대 개인으로 이뤄진 범죄이기 때문에 수사하는데 많이 어려웠고 증거자료 확보에도 거래 당시 대화를 복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특히 피의자 3명은 담배나 용돈을 주겠다고 유인해 장애 학생을 포함한 청소년 3명과 성관계를 맺고 영상을 촬영해 소지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검거된 11명을 아동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입건 하고 이 가운데 청소년과 성관계를 맺은 20대 남성 등 3명을 구속했습니다. 경찰은 온라인 상에서 유사 범죄가 있을 것으로 보고 계좌 추적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수사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 2023.05.04(thur)  |  이현
  • Halla Library Non Face-to-face System
  • Starting this month, Halla Library will implement a non-face-to-face membership registration service for borrowing books. The service can be accessed through the Jeju Public Library website without visiting the library, and members can download their membership card as an image on their mobile phones. By becoming an online member, users can access all online and offline services of 15 public libraries, including borrowing e-books, using the smart library, and the instant book rental service, without the need for in-person visits. 한라도서관, 비대면 도서대출 회원 가입 서비스 한라도서관이 이번달부터 비대면 도서대출 정회원 가입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도서관 방문 없이 제주공공도서관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며 회원증을 모바일 웹에서 이미지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정회의원으로 가입하면 방문이나 대면 없이 도서대출을 비롯한 전자도서관, 스마트도서관, 바로대출서비스 등 15개 공공도서관의 모든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3.05.02(tue)  |  이현
  • Art Museum Events on Children's Day
  • From May 5th to 7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accompanied by their parents can enjoy free admission to the Jeju Museum of Art, the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김창렬) Kim Tschang-Yeul Museum. The Jeju Museum of Art will hold a candy sharing event for children who visit the museum on May 5th.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will offer performances of Don Quixote and a museum exploration, an outdoor sculpture park AR experience and table puppet show starting at noon on May 5th. The (김창렬) Kim Tschang-Yeul Museum of Art will operate a one-day class using Kim Tschang-Yeul’s artwork "Recurrence." 도립·현대·김창열 미술관, 어린이날 행사 다채 제주도립미술관이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다양한 행사를 개최합니다. 5월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 도립미술관과 현대미술관, 김창열미술관에 대해 12살 이하 어린이를 동반할 경우 무료 관람혜택을 제공합니다. 도립미술관의 경우 5월 5일 미술관을 방문한 어린이에게 사탕 나눔 행사를 진행하고 현대미술관은 5일 낮 12시부터 돈키호테와 미술관 탐험하기 공연, 야외조각공원 AR존 체험, 테이블 인형극을 마련합니다. 김창열미술관은 김창열 화백의 작품 '회귀'를 활용한 원데이 클래스를 운영합니다.
  • 2023.05.02(tue)  |  이현
  • Seogwipo Housing Prices Fell 3.94%
  • It has been reported that individual housing prices in Seogwipo City have decreased compared to last year. According to Seogwipo City, as of January 1st of this year, the publicly announced price of individual housing was 46.348 trillion won for over 35,000 units, a 3.94% decrease from last year. This decrease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tandard housing price, which serves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individual housing prices, has decreased as part of the plan to align actual real estate prices with the published prices. Seogwipo City will operate a period for viewing individual housing prices and will receive applications for objections until the 30th of this month. 서귀포시 개별주택가격 지난해보다 3.94% 하락 서귀포시 개별주택 가격이 지난해보다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 공시된 개별주택 가격은 3만5천여 호에 4조6천348억 원으로 지난해 보다 3.94% 하락했습니다. 이는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라 개별주택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표준주택 가격하락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귀포시는 오는 30일까지 개별주택가격을 열람기간을 운영하고 이의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 2023.05.02(tue)  |  이현
  • Possible Collusion in Bidding for Heritage Repairs
  • There have been complaints that some cultural heritage repair companies have created paper companies on paper to participate in collusion biddings. Jeju Province has launched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with officials visiting 34 companies in the province to verify registration documents and proper operation. They will also check the qualifications of repair technicians and functional personnel for loaning and overlapping employment. In particular, priority will be given to investigating companies currently engaged in cultural heritage repair projects in progress this year. If any violations occur, further actions such as reporting or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will be implemented. 문화재 수리 '벌떼입찰' 의혹, 특별 전수조사 일부 문화재 수리업체가 서류상 회사인 페이퍼컴퍼니를 만들어 벌떼 입찰에 참여한다는 민원이 제기돼 제주도가 전수조사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도내 34개 업체를 직접 방문해 등록서류와 적정운영 여부를 확인하고 문화재 수리 기술자와 기능자를 대상으로 자격대여와 중복취업 등을 점검합니다. 특히 올해 문화재 수리사업에 입찰돼 현재 사업을 추진중인 업체에 대해 우선적으로 조사합니다. 조사결과 위반업체나 기술자에 대해서는 고발이나 등록취소 등 후속조치를 취할 방침입니다.
  • 2023.05.02(tue)  |  이현
  • Mount Halla's Entrance and Exit Times Adjusted
  • Starting this month, the management office of Hallasan National Park will adjust the entrance and exit times. The entrance time has been moved up to 5 a.m., and the exploration time for each course has been extended from a minimum of 30 minutes to a maximum of 1 hour. The entrance time for the (어리목) Eorimok and (영실) Yeongsil courses will open until 3 p.m., while the (윗세오름) Witse Oreum shelter will be open until 2 p.m. The entrance time for the (성판악) Seongpanak course will be adjusted to 1 p.m., based on the (진달래밭) Jindalae shelter. The management office of Hallasan National Park urges visitors to prepare in advance for the unpredictable weather changes at higher altitudes with spare clothing and drinks. 한라산 입·하산 시간 조정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가 이번달부터 입산과 하산 시간을 조정합니다. 입산시간은 오전 5시로 당겨졌으며 코스별 탐방시간도 최저 30분에서 최장 1시간까지 연장됩니다. 어리목과 영실코스는 오후 3시까지로 윗세오름 대피소는 오후 2시로, 성판악코스는 진달래밭 대피소를 기준으로 오후 1시로 조정됩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하절기에도 고지대의 불규칙한 날씨변동에 따라 충분한 여벌 옷과 음료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3.05.02(tue)  |  이현
  • Jeju POE slightly Increases Supplementary Budget
  • Due to a decrease in tax revenue this year,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for the Jeju Education Office increased by KRW 8 billion, reaching a total of KRW 1.6015 trillion, which is KRW 80 billion higher than the originally planned budget of KRW 1.5935 trillion. The budget includes funding for various projects, including care classrooms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care centers, which aim to provide tailore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to students. It also includes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tudy abroad,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meal services.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represents a 0.5% increase compared to the original budget. The Jeju Education Office plans to tighten the budget due to the decrease in tax revenue, which was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leading to a reduction in the usual government subsidies. 도교육청, 세수 감소에 1차 추경 0.5% 소폭 증액 올해 세수 감소로 제주도교육청 1차 추경이 80억원 증액된 수준에 그쳤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당초 예산 1조 5천935억원보다 80억원 늘어난 1조6천15억원 규모의 제1회 추경안을 편성해 제주도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돌봄교실 운영과 거점통합돌봄센터 구축 등 학생맞춤형 교육복지 지원 사업과 디지털교수 학습 기반 조성과 학생 해외 연수, 학교 급식 환경 개선 사업 등에 예산을 늘렸습니다. 1차 추경안은 본예산과 비교하면 0.5% 증액된 수준으로 제주도교육청은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 시행으로 보통교부금 재원이 감소하는 등 세수가 줄면서 긴축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3.05.02(tue)  |  이현
  • Demographic Cliff Drops Steeper
  • Demographic Cliff Drops Steeper The neighborhood of (이도) Ido 2-dong, Jeju City, which has the highest floating population in Jeju, is quiet during the day. Although there is a so-called college street in the area, the reputation of being a youthful street seems to be fading as the footsteps of young people decrease. INTERVIEW Hyeon Ye-jin / Florist While there used to be quite a few people who came to look around as they passed by, these days there are times where they hardly come in for 3-4 hours. The outflow of population in Jeju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recorded the highest level in 15 years, and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is accelerating. From January to March of this year, the number of people moving into the island was 26,580, while the number of people moving out was 27,502, resulting in a net outflow of 922 people. This is the largest net outflow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08. The population of Jeju has recorded a net outflow for the first time in three years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20. Especially, 1,300 teenagers and people in their 20s had a net outflow, indicating an acceleration in the depar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 including teenagers and young adults. Due to the deepening low birthrate problem, the population in Jeju has recorded a natural decrease, where deaths outnumber births, for 20 consecutive months until February. In addi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leaving Jeju, the population issue is becoming even more serious." INTERVIEW Go Tae-ho / Representative, Jeju Research Institute Since the population is not only a factor in consumption but also a subject of labor supply and fiscal burden, the outflow of population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not only on the local economy but also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the rise in the natural decrease and the net outflow of population, the demographic cliff problem in Jeju is becoming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안 낳고 떠나고…'인구절벽 가속화' 제주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제주시 이도2동. 한낮에도 시내는 한산하기만 합니다. 대학로가 있지만 청년층의 발걸음이 줄면서 젊음의 거리라는 명성이 무색해 보입니다. <인터뷰 : 현예진 / 꽃가게 직원> 지나다니면서 구경하는 분들도 꽤 있었는데 요즘에는 진짜 3~4시간 동안 거의 안 들어올 때도 있고. 올해 1분기 제주지역 인구 순유출 규모가 1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인구 감소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제주도내 전입인구는 2만 6천580명, 전출인구는 2만 7천50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내 순유출 인구는 922명으로 지난 2008년 1분기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제주 인구가 순유출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20년 1분기 이후 3년 만입니다. 특히 10대와 20대에서 1천 300명이 순유출돼 청소년과 청년 등 미래세대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내 인구는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면서 지난 2월까지 20개월 연속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제주를 빠져나가는 인구까지 늘면서 인구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태호 / 제주연구원 정책연구실장> 인구라는 요인이 소비뿐만 아니라 노동력 공급, 재정 부담의 주체이기 때문에 인구가 유출된다는 건 지역경제뿐만 아니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감소에 순유출 규모까지 커지면서 제주지역의 인구 절벽 문제가 어느 때보다 심상치 않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 2023.05.02(tue)  |  이현
  • Monthly Rental Contracts on the Rise
  • Monthly Rental Contracts on the Rise Of the 7,148 home rental contracts that were registered in Jeju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only 22.6 percent were yearly contracts, ones that usually require a significant deposit. This is the first time since records began in 2013 where the proportion of yearly contracts has fallen into the 20 percent range. In the 2021 housing lease market, yearly rental contracts that usually require a large deposit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all contracts. That proportion fell to just over 20 percent this year, after totalling just 30 percent in 2022 in the wake of a hike in loan interest rates. All told, the proportion of monthly rental contracts is now approaching 80 percent. With the burden of loan interest rate hikes and cases of housing lease fraud on the rise, it is becoming clear that monthly rental contracts are becoming preferable to yearly rentals. INTERVIEW Ko Seong-chan / National Association of Licensed Real Estate Agents The lease contract has nearly disappeared. Loan rates are very high, which is a big burden to households. The larger reason is that fraud involving deposits is being reported nationwide. Rentals of homes in a small complex known as “villas”, which tend to be subject to deposit fraud, are also shrinking in number. In addition to the interest burden, as anxiety about lease fraud grows, demand is expected to focus on monthly rentals, rather than yearly ones, for the foreseeable future. 올해 1분기 제주에서 확정일자를 부여받은 전월세 거래 7천 148건 가운데 전세 거래량은 22.6%에 불과했습니다. 전세 거래 비중이 20%대로 떨어진 것은 관련 통계가 제공된 2013년 이후 처음입니다. 주택 임대차시장에서 전세 거래는 지난 2021년까지만 하더라도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 여파로 지난해 30%대에 그친 뒤 올해는 20% 초반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반면 월세 비중은 8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고금리와 전세 사기 사태가 맞물리면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성찬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지부장> 전세계약이 거의 실종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금리가 너무 높아서 은행 대출 이자가 부담이 되고 더 큰 이유는 전세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세 사기 피해가 집중되고 있는 빌라 거래도 위축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전체 주택 거래 가운데 다세대와 연립주택 비중은 36%로 나타났습니다. 한 달 전보다 9%, 1년 전과 비교하면 12% 각각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자 부담에 더해 전세 사기에 대한 불안감까지 커지면서 당분간 전세보다는 월세로 수요가 쏠릴 것으로 보입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