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Promotes Horse Back Riding For Students
  • Jeju City is promoting a student horseback riding experience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youth outside of school. This program, which costs 620 million won, will be conducted for about 1,900 people from next month until November of this year. For participating students, 70% of the horse riding fee will be supported and the full cost of therapeutic riding will be supported. For PE classes that involve horseback riding education, will first be conducted for 164 students from (금악) Geumak Elementary School and (장전) Jangjeon Elementary School. 제주시, 학생 승마체험 사업 진행…체험비 70% 지원 제주시가 초.중.고등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생 승마체험 사업을 추진합니다. 학생 승마체험 사업은 올해 6억 2천여 만원이 투입돼 다음달부터 오는 11월까지 1천9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참여 학생들에게는 일반승마의 경우 체험비의 70%가 지원되며 재활승마는 비용 전액이 지원됩니다. 학교 체육시간에 승마교육을 받는 학교체육 승마는 금악초등학교와 장전초등학교 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우선 진행되고 있습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Pet Carriers Must be Locked
  • In the future, when using pet transportation equipment, a locking device must be equipped to prevent pets from escaping.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which includes this provision, has been implemented. The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 stipulates that when tying a pet on a leash, the length of the leash must be at least 2 meters long, and even within quasi-residential areas such as dormitories and office-tels, the movement of pets must be restricted by a leash or other means. In addition, the area where large dog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elderly welfare facilitie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children's play facilities. 반려견 이동장비에 잠금장치 갖춰야 앞으로 반려견 이동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반려견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갖춰야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개정된 동물보호법 시행령이 시행됐습니다. 개정된 시행령에는 반려동물을 줄로 묶어 기르는 경우 줄의 길이는 2m 이상이어야 하며 기숙사나 오피스텔 등 준주택 내부에서도 목줄 등으로 반려견 이동을 제한하도록 했습니다. 또 맹견의 출입금지 지역이 노인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 어린이놀이시설까지 확대됐습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Country of Origin To Be Checked on Seafoods
  • Country of Origin To Be Checked on Seafoods As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seafood have increased due to the recent issue of releasing contaminated water from Fukushima, Jeju Island is conducting a special inspection of the origin of imported seafood. The inspection will be carried out for two months from May and will target seafood restaurants through joint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In particular, scallops, sea bream, and cockles, which had a high import value and consumption volume this year, will be designated as key inspection items to focus. Jeju Island also plans to carry out promotional activities for mandatory origin labeling for targeted items starting from July 1st, after the inspection period. 수입수산물 원산지 특별단속…가리비·참돔 중점 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로 수산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제주도가 수입수산물 원산지 특별 단속을 실시합니다. 이번 점검은 5월부터 두달동안 수산물을 취급 일반 음식점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으로 이뤄집니다. 특히 올해 수입 이력이 있고 소비량이 많은 가리비와 참돔, 우렁쉥이를 중점 점검 품목으로 지정해 원산지 표시 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점검기간 오는 7월 1일부터 원산지 표시 의무 대상 품목에 대한 홍보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Jeju Cracks Down on Illegal Forestry
  • Jeju Island will carry out special crackdowns on illegal forestry activities, as there have been successive cases of damage to the native vegetat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grazing land and illegal acts aimed at raising land prices. As part of this effort, a crackdown team will be organized by the local police, the Hallasan National Park, and the administrative city, and high-resolution drones will be used to monitor any illegal activity. The main areas of crackdown will include illegal collection of forest products, illegal land-use changes, such as the opening of unauthorized roads, and illegal logging. The Island has stated that if violations are discovered, it plans to take judicial action including criminal prosecution. 산림 내 불법행위 특별 단속…"엄정 대응" 제주도가 최근 초지 조성을 위한 곶자왈 훼손과 지가 상승을 노린 불법 행위가 잇따르면서 산림 불법행위에 대한 특별 단속을 실시합니다. 이에따라 자치경찰과 한라산국립공원, 행정시를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고해상도 드론을 활용한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각종 불법 행위를 정밀하게 감시할 계획입니다. 주요 단속사항은 불법 임산물 채취나 불법 산지전용 행위, 불법 진입로 개설 등 산림 형질 변경, 무단 벌채 등 입니다. 제주도는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형사입건 등 사법 조치할 방침입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Jeju’s Population Net Migrants Reaches 900
  •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the scale of net migration in and out of Jeju reached its highest level in 15 years.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as of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26,580 people moved into Jeju Island, while 27,502 people moved out. As a result, the net migration was 922 people, which is the highest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08. Meanwhile, in February of this year, the natural population decrease, which is the number of births minus the number of deaths, was 92 people. This marks the 23rd consecutive month of natural population decrease, indicating that the problem of a population cliff is deepening. 1분기 제주인구 900명 순유출…15년 만에 최대 올해 1분기 제주지역 인구 순유출 규모가 1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제주도내 전입인구는 2만 6천580명, 전출인구는 2만 7천50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도내 순유출 인구는 922명으로 지난 2008년 1분기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이와 함께 출생아수에서 사망자수를 뺀 지난 2월 인구 자연감소분은 92명으로 23개월째 자연감소 현상이 이어지면서 인구 절벽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61.4% Want Administration Reform
  • Out of 10 Jeju residents, 6 have expressed support for the need for administrative reform. A research team has been working to promote public discourse on the introduction of a Jeju-style administrative system, and has held a first interim report meeting at the Tamna Hall of Jeju Provincial Office. According to a survey done by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61.4% of residents and 58.9% of public officials expressed support for the need for administrative reform. In addition, 74.3% of residents and 69.2% of public officials are in favor in terms of reducing the authoritative power of the governor. Jeju plans to select 300 resident participants by the 7th and begin full-scale public discourse work with self-deliberation and deliberative meetings until October. 도민 61.4% 행정체제 개편 '필요'…공론화 본격 제주도민 10명 중 6명이 행정체제 개편 필요성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을 위한 공론화 추진 연구용역진은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1차 중간 보고회를 열고 도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행정체제 개편 필요성에 대해 도민은 61.4%가, 공무원은 58.9%가 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도지사 권한 집중 문제와 관련해서도 도민들은 74.3%, 공무원은 69.2%가 동의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제주도는 오는 7일까지 도민 참여단 3백명을 선정하고 10월까지 자가 숙의와 숙의 토론회 등 본격적인 도민 공론화 작업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 2023.04.27(thur)  |  고주연
  • Travel Expenses Increase While Satisfaction Not Improved
  • Travel Expenses Increase While Satisfaction Not Improved Due to the restrictions on overseas travel caused by COVID-19, Jeju tourism has enjoyed an unexpected boost.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demand and rising prices, travel expenses hav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verage per capita spending of domestic tourists who visited Jeju last year was 660,000 won, an increase of 60,000 won from the previous year and about 150,000 won higher than two years ago. Expenses of individual travelers, who account for more than 90 percent of all tourists, have increased by 160,000 won over the past two years. Meanwhile, spending by travelers who visited Jeju through fully-packaged tours has jumped by more than 100 percent over the same period. The difference in expenses between peak and off-peak seasons was distinct. The average spending of individual travelers was highest in August, the peak summer season, at 770,000 won, while it was lowest in December, the off-peak winter season, at 580,000 won.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of 50,000 to 60,000 won in accommodation and flight or ferry fees.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with travel experiences in Jeju has remained stagnant for several years, with a score of 3.95 out of 5 last year. By category, tourist attractions, accommodations, and food received ratings of 4 or higher, while travel expenses remained at the lowest level of the 3-point range. INTERVIEW Jeong Geun-o / Representative, Jeju Tourism Organization The biggest complaint of visitors to Jeju is the expensive prices. To ensure that visitors receive sufficient services for the price they pay, efforts such as continuous education for tourism professionals are underway. These effort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o improve the situation. As Jeju travel expenses have been increasing annual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to increase tourist satisfaction. These efforts should be made in conjunction with cost control measures to ensure that visitors feel that they are receiving value for the price they pay.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제한되면서 때아닌 특수를 누렸던 제주관광. 수요 증가와 물가 상승이 맞물리면서 여행경비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제주를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의 1인당 평균 지출 경비는 66만원으로 전년 대비 6만원, 2년 전보다는 15만원 가량 올랐습니다. 전체 관광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개별 여행객의 경비는 2년 사이 16만원 상승했고 완전 패키지로 제주를 찾은 여행객의 지출은 같은 기간 갑절 이상 뛰었습니다. 성수기와 비수기의 경비 차이도 뚜렷했습니다. 개별여행객의 지출 비용은 여름철인 8월이 77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겨울철인 12월은 58만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 숙박비와 항공·선박료에서 5~6만원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반면 지난해 제주여행 만족도는 3.95점으로 수년째 제자리 걸음을 하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항목별로는 관광지 매력도와 숙박시설, 음식 등이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은 반면 여행 경비는 가장 낮은 3점 초반에 머물렀습니다. <인터뷰 : 정근오 / 제주관광공사 데이터R&D그룹 PM> 제주를 방문한 분들의 가장 큰 불만요소가 비싼 가격인데요. 지불한 비용만큼 서비스를 충분히 받아 갈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관광 종사원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그 부분을 더 강화할 수 있도록… 제주 여행 경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만큼 관광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질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23.04.24(mon)  |  고주연
  • Delivery Support for Markets and Small Businesses
  • A portion of the delivery fees for purchasing goods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alley commercial districts and sending them outside of the region will be supported. This year, Jeju Province has allocated a budget of 200 million won to provide support of 2,500 won per delivery, up to a maximum of 20 deliveries per person. Applications for delivery fee support can be made through the Jeju Economic Promotion Agency's website, and the program may close early upon depletion of the budget. This support program has been established since 2017, and last year a total of 1.38 billion won was invested.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상품을 구매해 도외로 발송하는 택배비 일부가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2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택배 1건 당 2천500원 씩, 1인당 최대 20건을 지원합니다. 택배비 지원 신청은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 누리집에서 하면 되며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에 마감될 수 있습니다. 택배비 지원사업은 지난 2017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13억8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
  • 2023.04.24(mon)  |  고주연
  • Support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 Jeju City provides support for artificial ear canal transplantation surgery and rehabilitation therapy for hearing-impaired individuals. The support targets low-income hearing-impaired individuals with severe hearing loss who do not benefit from wearing hearing aids. The surgery for artificial ear canal transplantation is supported up to a maximum of 7 million won, and the maximum amount of support for rehabilitation and other treatments amounts to 3 million won. To apply, individuals should bring their identification card and a surgery eligibility certificate issued by a medical institution to their local town or neighborhood community center. 제주시, 청각장애인 수술·재활 치료비 지원 제주시가 청각장애인 인공 달팽이관 이식수술과 재활치료 비용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고도난청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청각장애인입니다. 인공달팽이관 수술비는 최대 700만원, 재활 등의 치료비는 최대 300만원이 지원됩니다. 신청은 신분증과 의료기관이 발급한 수술가능확인서를 지참해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하면 됩니다.
  • 2023.04.24(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