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Roe Deer Population Below Criteria
  • Currently 4,300 Jeju roe deer have been counted to live throughout Jeju island. These are results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World Heritage Headquarters in Jeju held for the past year. This is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100 animals compared to 4,200 in the 2021 survey. The population of Jeju roe deer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since it was temporarily lifted from being designated as a harmful animal back in June 2019. However the number has not reached the appropriate population of 6,100. It is understood that this phenomenon is affected by the distribution of deer, which are competitive animals, and the gradual decrease in food supply or stable habitat compared to the past, not to mention potential threats from wild dogs. 제주 노루 4천300마리…적정 개체수에는 미달 제주 전역에 제주노루 4천 300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지난 한해동안 표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왔습니다. 2021년 표본조사의 4천 200마리에 비해 100마리 정도 증가했습니다. 제주노루 개체수는 2019년 6월 한시적 유해동물에서 지정 해제된 이후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적정 서식 개체수인 6천 100마리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과거에 비해 먹이량이 풍부하거나 안정된 서식공간이 점차 감소하는데다 야생화된 개에 의해 피해, 경쟁동물인 사슴류 분포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Jeju - China Flights Resume From March
  • Flights between Jeju and China, which have been suspended, will resume next month.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said it will lift PCR tests on entrants from China from next month and resume entry through airports other tha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o far, there have been four domestic airways from China, which were Jeju, Incheon, Gimhae, and Daegu. But routes to and from Jeju were suspended when the government decided to direct all routes to go through Incheon airport. As a result, Jin Air will start operating from the 9th of next month, and Hong Kong Express will also resume Jeju Hong Kong flights from the 26th of next month. 다음달부터 제주-中 직항 노선 재개 다음 달부터 중단됐던 제주와 중국간 항공 노선 운항이 재개됩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다음달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PCR 검사를 해제하고 인천공항 외의 다른 공항을 통한 입국도 재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중국발 항공기의 국내 도착지는 종전 제주를 포함해 인천과 김해, 대구 등 4군데 였지만 정부가 인천공항으로 일원화하면서 제주와 중국 노선은 중단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진에어가 다음달 9일부터 취항하고 홍콩 익스프레스도 다음달 26일부터 제주와 홍콩 노선 운항을 재개할 예정입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Jeju Jumpstarts Agricultural Management Association
  •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the Jeju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Association is establishing an autonomous control system centered on producers from agricultural production to distribution. The province has put together a basic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Association. The main content includes plans to stabilize farmers' income through producer-centered supply and demand control, price stabiliz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this end, a relevant ordinance was enacted and a corporation was established with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a pilot project will be conducted for tangerine and carrot items for the second half. Next year, it will be expanded to winter radish, cabbage, and broccoli items. Jeju Island expects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ill help resolve overproduction market isolation issues that occur each year and establish an integrated policy for supply and demand stability. ‘생산부터 유통까지' 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 설립 시동 전국 최초로 농산물 생산에서 유통까지 생산자 중심의 자율적인 수급조절 체계를 구축할 제주농산물 수급관리연합회 설립방안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주농산물 수급관리연합회 설립 기본계획안을 마련했습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생산자 중심의 수급조절과 가격안정제 운영, 행정의 지원을 통해 최종적으로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받는 구조입니다. 이를 위해 올해 상반기내에 관련조례 제정과 법인을 설립하고 하반기에는 감귤과 당근 품목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내년에는 월동무와 양배추, 브로콜리 품목으로 확대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같은 제도 시행으로 매년 반복되는 농산물 과잉생산과 시장격리 문제를 해결하고 수급안정 통합정책의 수립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Fewer Visitors, Fewer Seats
  • Fewer visitors, fewer seats This year, the number of Koreans visiting Jeju is on the decrease. About 1.6 million domestic tourists have visited Jeju so far this year. That’s down nearly 160,000 people, or 9 percent, from 1.76 million visitors last year. These numbers show that people’s desire to travel abroad and see international destinations is greater than their inclination to visit Jeju. And while the number of tourists has decreased, the number of flights has also shrunk, causing seat shortages. This is because airlines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national flights while reducing air routes for Jeju, in keeping with the ramped up demand for overseas travel. Over the past month, 13,400 flights moved passengers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for a total of just over 2.5 million seat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number of flights decreased by 8 percent and the number of seats dropped 9.7 percent. During the school winter vacation season that normally ends at the end of this month, the island welcomes an increasing number of family tourists. Most flights have been fully booked since early this week. INTERVIEW Mun Gyeong-jin / Jeju Tourism Information Center Over the past week, more than 263,700 visited Jeju, and flights are fully booked with an average of 38,000 passengers a day and a 98% boarding rate. But many are worried about the spring tourism season. If the current trend continues, it will be more difficult to get tickets from March when school trips begin. With airlines currently fixing and submitting their summer season schedules for approval by authorities, the seat shortage is likely to worsen. Some industry watchers predict that airlines will concentrate on profitable international flights while cutting domestic flights. In light of people’s desire to travel overseas this year, Jeju’s domestic tourism market is expected to face uncertainty for the foreseeable future. 관광객 감소에 좌석난까지…봄 관광 더 걱정 올들어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줄고 있습니다. 올들어 지금까지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160만여 명. 지난해 176만여 명 보다 9.0% 16만명 가까이 감소한 규모입니다. 억눌렸던 해외여행 욕구가 풀리면서 제주보다는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겁니다. 관광객은 감소했지만 항공편도 줄면서 때아닌 좌석난까지 빚어지고 있습니다.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항공사들이 제주 노선을 줄이는 대신 국제선 운항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한달간 제주공항 국내선 항공수송실적은 1만3천400여 편에 공급석은 250만6천여 석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운항 편수로는 8.0%, 공급 좌석은 9.7% 감소했습니다. 특히 겨울방학을 맞아 가족단위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이번주 초부터는 사실상 만석으로 표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문경진 제주도관광협회 제주종합관광안내센터 소장> 지난 한 주 동안에는 26만 3천 7백여명의 관광객이 제주를 찾았으며 1일평균 3만 8천여 명, 탑승률 98%로 항공권은 사실상 매진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봄 관광시즌은 더 걱정입니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수학여행이 본격화되는 3월부터 항공권 구하기가 더 힘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항공사들이 하계시즌 스케줄을 신청하고 있는 가운데 수익성이 좋은 국제선 확대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면서 좌석난은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억눌렸던 기간이 길었던 만큼 해외여행 붐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국인 관광시장의 불확실성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3rd Workers Shelter to Open in Jeju City
  • The third worker’s shelter called (혼디쉼팡) Hondi Shimpang for mobile workers in Jeju, has opened on Nuwe Maru Street in Yeon-dong, Jeju City. Jeju Island recently announced that it has set up its third mobile worker’s shelter at Nuwemaru (formerly Baozen) Street. The non profit Interworking Center is 240 square meters and can accommodate approximately 50 people. The venue has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including conference rooms, a lounge, computers, TVs, and massage chairs. In addition, the electric mobile vehicle charging stand has been custom designed with improved efficiency for users. 이동노동자쉼터 '혼디쉼팡' 3호점 연동에 설치 제주지역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인 '혼디쉼팡' 3호점이 제주시 연동 누웨마루거리에 문을 열었습니다. 제주도는 최근 제주시 중심가인 연동 누에마루 거리에 도내 세번째 혼디쉼팡을 마련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혼디쉼팡 연동센터는 240제곱미터 규모로 50여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회의실과 휴게실을 비롯해 컴퓨터와 TV, 안마의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췄습니다.
  • 2023.02.20(mon)  |  이현
  • UNESCO Biosphere Reserve Booklet Published
  • Jeju Island's World Heritage Headquarters has published a booklet summarizing the milestones of 20 years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UNESCO Biosphere Reserve in December 2002. The booklet, along with the first designation process of a biosphere reserve contains various activities to improve its sustainability after designation. In addition, various business activities such as revitalizing ecotourism villages and utilizing brands in biosphere reserves are included. The UNESCO booklet will be distributed to public libraries and anyone can access it through the Jeju Island website.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20년' 책자 발간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2002년 12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이후 20년간의 발자취를 정리한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책자에는 생물권보전지역 최초의 지정과정과 함께 지정 후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담겼습니다. 이와함께 생태관광마을 활성화와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활용 등 다양한 사업활동도 수록됐습니다. '유네스코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20년'은 공공 도서관 등에 배부될 예정이며 제주도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습니다.
  • 2023.02.20(mon)  |  이현
  • Jeju Manages Prices of Rehabilitation Service
  • As the burden on users increases due to the recent rise in the service unit price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Jeju City will be managing its prices. Jeju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and price adjustment restrictions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the provider and strengthen the allocation criteria for unit price items. The province also plans to reflect the opinions of consumers such as parents from the screening process and strengthen guidance checks including satisfaction surveys and personnel management. Meanwhile, the amount of support for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has been raised from 220,000 won to 250,000 won this year. However, most providers have continued to increase the burden on users with service limitations or by increasing the unit price. 제주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가격 관리 나서 제주시가 최근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들의 서비스단가 인상으로 이용자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 관리에 나섭니다. 우선 제공기관 지정 공모 과정에서 횟수와 가격 조정 제한사항 등을 추가하고 단가항목에 대한 배점 기준을 강화합니다. 또 심사 과정에 학부모 등 수요자 의견을 반영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제공 인력 자격 관리 등 지도 점검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한편 올해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금액은 22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됐지만 대부분 제공기관이 기존 횟수를 유지하거나 인상 단가를 적용하면서 이용자들의 부담을 늘고 있습니다.
  • 2023.02.20(mon)  |  이현
  • POE Supports Treatment for Disabled Infants
  • Rehabilitation costs are provided to support disabled infants in the province. From next month,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help rehabilit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parents by offering a "child care card for disabled children." The amount of support is limited to 160,000 won per month and can be used for treatment expenses such as language, art therapy, and rehabilitation psychology at rehabilitation treatment agencies. Eligibility for application includes 3 to 5-year-old disabled children living in a home, welfare facility, or daycare center and can be submitted to the Jeju City and Seogwipo City Office of Education. This does not apply for Kindergartens. 도교육청, 장애유아 재활치료비 지원…매월 16만원 제주도내 장애 유아들에게 재활치료비가 지원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다음달부터 장애 유아의 재활을 돕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장애유아치료 카드'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규모는 매월 16만원 한도로 재활치료 제공기관에서 언어와 미술치료, 재활심리 등 치료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자격은 유치원이 아닌 가정아니 복지시설, 어린이집 등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 3살에서 5살 장애 유아로 제주시와 서귀포시교육지원청으로 접수하면 됩니다.
  • 2023.02.20(mon)  |  이현
  • Jeju Works on Seismic Reinforcement
  • With massive damage caused by the strong earthquake in Turkey, Jeju Island is strengthening its comprehensive earthquake prevention measures. Jeju aims to secure the earthquake-resistant efficiency of public facilities in the province from its current rate of 70% to 100% by 2030. In addition,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the province will support costs for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of private buildings. 20% of the cost of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will be provided for multi-use buildings with a floor area of more than 1,000 square meters. In addition, benefits will still be covered up to 10% of the gross floor area of buildings for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on buildings that are not targeted. New buildings certified for earthquake safety facilities will receive a 5% reduction in acquisition tax by 2024. 지진방재 대책 강화…민간 내진보강 비용 지원 튀르키예 강진으로 막대한 피해 발생과 관련해 제주도가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강화합니다. 현재 70%인 도내 공공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율을 2030년까지 100%를 목표로 추진합니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민간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비용을 지원합니다. 연면적 1천 제곱미터 이상의 다중이용건물물의 경우 내진보강공사 비용의 20%를, 건축 당시 내진 설계 대상이 아님에도 내진보강 공사를 실시한 경우 건축물의 연면적 합계 10% 이내에서 용적률 완화 혜택을 제공합니다. 지진안전 시설물 인증을 받은 신축 건축물은 2024년까지 취득세 5%의 감면 혜택이 주어집니다.
  • 2023.02.20(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