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Supports Assistant Devices for People in Need
  • Jeju City provides assistance devices for low-income disabled people to increase daily living inconveniences. The target of support is basic living recipients registered as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people from low income households. In particular this year 38 million won will be invested to support 120 people. Supported items will include 36 voice clocks or fall safety detection systems, and up to 1.5 million won worth of items will be supported. Applications are accepted at each district community service center from the 2nd. 제주시, 저소득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내달부터 신청 제주시가 저소득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보조기기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장애인으로 등록된 기초생활 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으로 올해는 3천800만원을 투입해 120여 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원 품목은 음성시계나 낙상알림기 등 36개 품목으로 품목별 최대 15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 2023.02.27(mon)  |  이현
  • Jeju Heightens Quarantine Against Avian Influenza
  • Among winter migratory birds that are currently nesting in Jeju, approximately 20,000 ducks and birds are likely to spread avian influenza. From February 17 until the 19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conducted a survey on 200 major migratory bird habitats and found 38,000 birds of 185 species on Jeju island. Among them, 19,500 ducks and 75 species were found to be highly likely to spread avian influenza. This is a 9.6% decrease from 21,000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strengthening its quarantine measures centered on migratory birds to protect the island from possible spread of avian influenza in March, the time when winter migratory birds move north. 제주 서식 오리과 겨울철새 2만마리…방역 강화 현재 제주에서 둥지를 튼 겨울 철새 가운데 조류인플루엔자 전파 가능성이 높은 오리과 조류의 경우 대략 2만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이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200곳을 대상으로 겨울철새 서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제주의 경우 185종에 3만 8천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조류인플루엔자 전파 가능성이 높은 오리과 조류는 75종에 1만 9천 500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만 1천여마리에 비해 9.6% 줄어든 것입니다. 환경부는 겨울철새의 북상시기인 3월까지 조류인플루엔자가 계속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3.02.27(mon)  |  이현
  • POE Hires Temporary Teachers for Special Ed Schools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OE) will add additional fixed term teachers in addition to the quota due to overcrowding of special classes. A total of 32 teachers, including 4 kindergarten and 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be assigned to schools that are dealing with challenges in establishing or expanding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The additional support for special teachers was decided after a demand survey was held on public schools with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OE has established or expanded 19 special classes this year. 도교육청, 과밀 특수학급에 기간제 교사 추가 배정 제주도교육청이 과밀 특수학급 지원을 위해 정원 외로 기간제 특수교사를 추가 지원합니다. 지원 인원은 유치원 4명과 초등학교 13명 등 32명으로 특수학급 신설이나 증설이 어려운 학교에 배정됩니다. 특수교사 추가 지원은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거쳐 결정됐습니다.
  • 2023.02.27(mon)  |  이현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tegories Announced
  • The second phase of the development on the province’s outer ports, which have been drifting for years, is expected to begin in earnest. The Province recently has disclos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tegories with regards to the 2nd development project on Jeju’s outer ports and is collecting residents' opinions until the 9th. These are processes taken to determine the criteria and scope prior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second phase of the development project of Jeju's outer ports aims to invest 65 billion won by 2027 in order to reclaim 40,000 square meters of land and establish mooring facilities and a dock for cargo ships. 제주외항 2단계 개발 환경영향평가 항목 공개 수년간 표류했던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을 공개하고 오는 9일까지 주민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기 전에 평가 항목과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사업비 650억원을 투입해 4만여제곱미터를 매립한 후 화물선 접안이 가능한 계류시설과 부두 1선석의 조성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 2023.02.27(mon)  |  이현
  • School Starts Without Masks
  • As the COVID-19 quarantine system is eased, the new school semester begins without masks this year. At a press conference held at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김광수) Kim Kwang-soo announced that new educational quarantine measures have been guided to schools at all levels. Accordingly, all schools have welcomed students without the required self Covid-19 tests, and partition installations at common spaces including cafeterias and dormitories. Meanwhile each school is allowed to autonomously take quarantine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a budget of 1 billion won has been invested to deploy medical teachers and provide sufficient quarantine supplies and will extend the quarantine support project for another two months. ‘마스크 없는 개학'…학교 자율 방역 코로나 방역 체계가 완화되면서 올해는 마스크 없는 개학을 맞게 됩니다.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은 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신학기 학교 방역 관리 방안을 마련해 각급 학교에 안내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모든 학교는 정상등교를 진행하고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과 발열검사, 급식실 칸막이, 기숙사 공용공간 내 칸막이 설치를 폐지했습니다. 다만 감염 상황과 방역 여건 등을 고려해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방역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위해 보건 교사를 배치하고 방역물품을 충분히 구비하도록 예산 10억 원을 지원하고 학교방역 인력 지원사업도 2개월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2023.02.27(mon)  |  이현
  • Measures Against A Series of Collisions
  • Measures Against A Series of Collisions Crushed vehicles are tangled on (평화로) Pyeonghwa-ro road. Some vehicles are hard to identify. On the 18th of the month, this was the scene of a chain-reaction collision involving nine cars near (무수천) Musucheon Intersection in Jeju City. About 10 people were injured when a 3.5-ton cargo truck, which was going downhill, crashed into eight vehicles waiting for green lights in series. Discussions were held to prevent a recurrence of similar accidents at the accident site between the Jeju Provincial Police Commission, the police, the province, and KoRoad, the traffic safety authority. A police investigation suggested that traffic safety facilities need to be improved while the truck driver who caused the accident stated that the brakes were not working on the downhill road. It was difficult for the truck driver, who was on his first trip, to recognize in advance that there was a traffic light at the intersection after the downhill segment. Recording Representative / KoRoad Drivers should slow down as there are traffic lights at the Musucheon Intersection. However, drivers unfamiliar to the road or rental cars often do not recognize this, 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have a facility to tell them that there are traffic lights ahead. Accidents have frequently been reported on the downhill section near the accident site. 18 accidents occurred and more than 60 people have been injured over the past three years on about 1.2 kilometers of the decline, approaching the intersection on (평화로) Pyeonghwa-ro road. The province has decided to reinforce safety facilities near the accident site. They will install a horizontal anti-slip facility in the 1.2 kilometer section between (광령) Gwangnyeong Bridge 4 and (무수천) Musucheon Intersection, and a large LED screen showing “traffic lights ahead” and “engine braking recommended” in the downhill section. Further discussions will then b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emergency braking facilities or shock buffering facilities that require buying private properties are needed, and whether to install speed cameras and mobile speed camera booths. Gang Ho-jun / Jeju Provincial Police Commission We agreed to start with what can be done in the short term first by safety facility management authorities, and long-term tasks that require purchase of private properties will be discussed later. The province also plans to deploy police in the accident-prone area to crack down on speeding and manage safety. '무수천사거리 추돌사고' 재발 방지 대책은? 평화로 일대에 찌그러진 차량들이 뒤엉켜있습니다. 일부 차량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입니다. 지난 18일, 제주시 무수천사거리 인근에서 발생한 9중 추돌사고. 내리막을 내려오던 3.5톤 화물트럭이 신호를 기다리던 차량 8대를 잇따라 들이받으면서 1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사고현장에서 제주도자치경찰위원회와 경찰, 제주도, 도로교통공단 등이 참여한 가운데 재발 방지를 위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경찰조사에서 사고를 낸 화물차 운전자가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았다고 진술한 가운데 교통 안전 시설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초행길이였던 화물차 운전자가 내리막 이후 교차로에 신호등이 있다는 점을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웠다는 겁니다. <싱크 :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 무수천 교차로에 와서는 신호(가 있는) 교차로이기 때문에 차량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하지만 초행길 운전자들이나 렌터카 운전자들은 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기가 신호 교차로가 있음을 알려주는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실제로 사고 지점 인근 내리막 구간에서 과거에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화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무수천사거리까지 약 1.2km 구간에서 최근 3년 사이 18건의 사고가 나면서 6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사고 지점 근처 교통 시설물을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광령 4교에서 무수천사거리까지 약 1.2km 구간에 가로로 미끄럼 방지 시설을, 내리막 구간에는 신호기 예고 표지와 엔진브레이크 사용 안내 등 대형 LED 안전문구를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이후 추가 논의를 통해 주변 부지 확보 등이 필요한 긴급 제동 시설이나 충격 완화 시설, 해당 구간에 과속카메라와 이동식 과속 단속 부스 설치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 강호준 / 제주도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 시설을 담당하는 파트에서는 우선 단기적으로 급하게 할 수 있는 부분부터 먼저 (진행)하고 장기 과제인 여러 가지 부지를 확보해서 해야 되는 것들은 차차 다시 재논의를 거쳐가면서 실효성 있게 가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또 사고 위험지역에 경찰을 배치해 과속 단속과 함께 교통 관리를 할 계획입니다.
  • 2023.02.27(mon)  |  이현
  • 10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Graded A
  • All 10 social welfare centers in Jeju received the highest grade A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particular, (아라) Ar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was received an incentive for being selected as an excellent institution ranking in the top 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s evaluations on six area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every three years, including program services, user rights, and community connections. 제주 사회복지시설 10개소 모두 'A등급' 제주지역 사회복지관 10개소 모두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서 최고인 A등급을 받았습니다. 특히 아라종합사회복지관은 상위 5%에 해당하는 우수기관에 선정돼 인센티브를 받게 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3년마다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서비스와 이용자 권리, 지역사회연계 등 6개 분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CSI Remains Below Standard for 8 Months
  • Consumer sentiment in Jeju has been unstable for eight months, repeatedly rising and falling below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s Jeju headquarters, the consumer sentiment index in Jeju this month was 88.3, up 0.7 points slightly from the previous month. The consumer sentiment index has remained below the benchmark of 100 for eight months, vividly revealing the economic situation. In addition, unstable trends have continued, with the index fluctuating for the past four months. 소비심리 '갈팡질팡'…8개월째 기준치 이하 제주지역 소비자심리가 8개월째 기준치 밑에서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이달 제주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88.3로 전달보다 0.7포인트 소폭 상승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기 8개월째 기준치인 100 이하에 머물면서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최근 4개월간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는 등 불안정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2023.02.23(thur)  |  이현
  • Application for Senior Employment Incentives
  • The Province has decided to pay incentives to promote employment for the elderly again this year and is asking companies to actively participate. It is a system implemented only in Jeju that provides up to 200,000 won per month for one elderly hire and offers up to a total of 1 million won per company to support up to 5 people. Applications are made until the 5th of each quarter and can be made at each district’s community center of where your business is registered. Subject to the application must have employed elders who are 65 years or older and run a business with less than 50 full-time workers. Last year, Jeju Island provided 1.35 billion won in incentives to 328 businesses that hired 727 senior citizens in various fields such as apartment security, beautification, gas workers, and daycare center drivers. '월 20만원' 노인고용장려금 지급…매분기 신청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도 노인고용촉진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노인 1명을 고용할 경우 월 20만원씩 업체당 최대 5명까지 100만원을 지원하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에서만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신청은 매 분기 5일까지이며 사업장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이뤄집니다. 신청대상은 만 65살 이상 노인을 고용한 상시 근로자수가 50인 미만인 사업체로 근로계약을 체결해 고용한 지 2개월이 지나야 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아파트 경비와 미화, 주유원, 어린이집 운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727명의 어르신을 고용한 328개 사업체에 13억 5천만원의 장려금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 2023.02.23(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