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ompensation in Cash for Aircraft Noise
  •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introduce a compensation measure for residents who experience aircraft noise around airports. It will be applied to six private airports, including Jeju, and will be implemented sequentially through revision work and pilot projects. Until now soundproofing and cooling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for residents. Going forward, cash or actual expenses will be offered to allow residents to choose how they will be used or on what facility specifications they will use the funds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In addition, 230,000 won per household per year will be provided instead of electricity or TV license fees. Also, an additional 100,000 won will be provided to households that did not receive air conditioning facilities or if ten years have passed since installation. 국토부, 공항 소음 피해보상으로 '현금' 지 국토교통부가 공항 주변 소음피해 주민에게 보상대책의 하나로 현금 지원방식을 도입합니다. 제주를 비롯한 6개 민간공항에 적용되며 법령 개정작업과 시범사업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시행됩니다. 지금까지 방음시설이나 냉방시설을 직접 설치해 줬지만 앞으로는 현금이나 실비용을 지원해 개별 선호도에 맞게 사용처와 시설사양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재 전기료나 TV 수신료 대신 세대당 연간 23만원을, 냉방시설을 지원받지 못했거나 지원 후 10년이 지난 세대에는 10만원씩 추가 지원합니다.
  • 2023.03.06(mon)  |  이현
  • Laudable Response of Police
  • Laudable Response of Police In the afternoon, four foreigners wearing large backpacks entered a police station. They explained something to the police officer with a worried look on their face. On the afternoon of the 27th of last month, Indonesian tourists who came to Jeju for a family trip visited the police station, saying one of them left a cell phone on a bus. The police carefully checked the bus route and came back about 30 minutes later. The police officer studied the route of the bus that the tourists had boarded and followed it, and he successfully returned the cell phone to the owner. The family was quite relieved. Two days later, another loss of a cell phone was reported to the police. A Filipina tourist asked for help, saying she left her cell phone in a taxi near Jeju City Hall. However, it was not easy to communicate with the reporter because she could not speak any Korean at all. The police officer understood the situation by using a phone interpretation service. INTERVIEW Jeong Ye-won / Police officer, Jeju Police Agency An owner of a store reported the loss on behalf of a foreigner. I tried to understand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reporter using the 1330 phone interpretation service. As information for departure such as their visa number was stored in the phone, the phone had to be returned to the owner quickly. The police identified the plate number of the taxi that the tourist rode by checking video recorded by CCTVs near Jeju City Hall. Later, the police found the taxi driver with her and were able to find the lost phone. The woman who had her phone returned to her with the help of the police expressed her gratitude. INTERVIEW Jeong Ye-won / Police officer, Jeju Police Agency She was very happy and said "The Korean police are the best. They're so kind. Thank you." There have been a few moments when I feel proud from my work, and this experience was one of the moments. It was heartwarming news from police officers who helped foreign tourists in trouble in an unfamiliar city. "경찰 감사해요"…휴대전화 되찾은 외국 관광객 오후 시간, 커다란 배낭을 맨 외국인 4명이 지구대 안으로 들어옵니다.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경찰관에게 무언가 열심히 설명합니다. 지난달 27일 오후 제주로 가족여행을 온 인도네시아 관광객들이 버스에 휴대전화를 두고 내렸다며 지구대를 찾아왔습니다. 경찰이 버스노선을 꼼꼼히 확인하더니 30여 분 뒤, 다시 돌아옵니다. 관광객들이 탑승했던 버스 노선을 추적해 직접 휴대전화를 찾아온 겁니다. 걱정이 가득했던 외국인 관광객들의 얼굴에는 웃음꽃이 피어납니다. 이틀 뒤, 112로 접수된 또다른 분실신고. 제주시청 인근에서 필리핀 여성 관광객이 택시에 휴대전화를 두고 내렸다며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 관광객은 한국말을 전혀 할 줄 몰라 의사소통이 쉽지 않았던 상황이었습니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은 기지를 발휘해 전화 통역 서비스를 이용해 상황 파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 정예원 / 제주동부경찰서 남문지구대 순경> 가게 업주 분께서 외국인 대신 신고를 해 주셨더라고요. 1330 (전화) 통역 서비스를 이용해서 외국인 분실자분의 요구 사항과 상황을 파악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출국을 앞두고 비자 번호 등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돼 있어 빠르게 휴대전화를 찾아야 하는 상황. 경찰은 주변 CCTV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이 탔던 택시번호를 특정했습니다. 이후 경찰은 해당 관광객과 함께 택시기사가 있는 곳을 찾았고, 잃어버린 휴대전화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경찰의 도움으로 휴대전화를 되찾은 외국인은 연신 고마운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인터뷰 : 정예원 / 제주동부경찰서 남문지구대 순경> (휴대전화를 찾으니까) 굉장히 엄청 기뻐하시면서 '대한민국 경찰 최고다, 엄청 친절하다 감사하다' 이러면서 연신 찬사를 보내주셨습니다. 일을 하면서 뿌듯함을 느끼는 순간들이 몇 번 있었는데 이번 경험도 굉장히 뿌듯한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낯선 여행지에서 곤경에 빠진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도움을 준 경찰관들의 소식이 따뜻함을 전하고 있습니다.
  • 2023.03.06(mon)  |  이현
  • Seogwipo Will Install Wheelchair Ramps
  • Seogwipo City will support the installation of wheelchair-accessible ramps for small stores. Subject to support are 20 small stores including restaurants, convenience stores, and pharmacie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by wheelchairs.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of the ramp will be completed by October after surveying for two months from this month. Seogwipo City will first install ramps in small-scale store-intensive areas in the cit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mobile vulnerable. 서귀포시, 소규모 점포 휠체어 경사로 설치 지원 서귀포시가 소규모 점포를 대상으로 휠체어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 설치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휠체어 접근이 어려운 식당이나 편의점, 약국 등 소규포 점포 20개소입니다. 이에따라 이달부터 2달 동안 수요조사를 거쳐 10월까지 경사로 설치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서귀포시는 우선 시내 소규모 점포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경사로를 설치해 이동약자의 접근성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2023.03.02(thur)  |  이현
  • 20% Discount for Jeju Citruses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long with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will push for a discount event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tangerines. To this end, a 20% discount will be offered at online and offline stores including home shopping, and live commerce. So far 50,000 tons of tangerines have been shipped, accounting for 62% of the total projected production, while the price range is falling nearly 20% from last year due to consumer contraction. '소비 위축' 만감류 최대 20% 할인행사 제주특별자치도가 농협과 함께 만감류 소비촉진을 위한 할인행사를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대형마트와 홈쇼핑, 라이브커머스 등 온오프라인을 통해 정상가에서 최대 20%를 할인 판매하게 됩니다. 현재까지 만감류 출하량은 5만톤으로 전체 예상생산량의 62%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소비 위축으로 가격대가 지난해 보다 20% 가까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 2023.03.02(thur)  |  이현
  • Jeju Offers tree seedlings at Jeju Fire Fest
  • While the Jeju Wild Fire Festival will be held as a face-to-face event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an additional event, "Sharing Hope Seedlings," will also be held on the site. Jeju City announced that it will hold a "New Spring, Sharing New Hope Seedlings" event at the (새별) Saebyeol Oreum from 10 a.m. on the 12th, the last day of the Jejum Fire Festival. In total 4,000 seedlings of four types, including pomegranate trees, Chinese wild peach, fig and large plum trees. Two trees will be handed out per person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Meanwhile, KCTV Jeju Broadcasting will broadcast the 'oreum fire lighting' event, the highlight of the Wild Fire Festival, live on the evening of the 11th. 제주들불축제 '묘목 나눠주기' 4천그루 선착순 제공 제주들불축제가 4년만에 대면행사로 열리는 가운데 부대 행사인 '희망 묘목 나눠주기'도 현장에서 진행됩니다. 제주시는 들불축제 마지막 날인 12일 오전 10시부터 새별오름 행사장 광장에서 '새봄, 새희망 묘목 나눠주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묘목은 석류나무를 비롯해 개복숭아와, 무화과, 왕자두 4종 4천그루로 1명당 2그루씩 선착순 제공됩니다. 한편 KCTV제주방송은 들불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오름 불 놓기' 행사를 오는 11일 저녁 생중계 할 예정입니다.
  • 2023.03.02(thur)  |  이현
  • Jeju Promotes Landfill Construction
  • The reclamation work for the western landfill in Jeju city, where landfill has been completed, will be carried out in earnest. Jeju City announced that it plans to carry out the final reclamation work for the western landfill in (원림리) Wolim-ri, Hallim-eup, which ended in April 2019. The total fee will be 2 billion won, and construction will begin this month to be completed in December. Jeju City plans to collect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provide them as a convenient space when the final soil construction is completed. 사용 종료 서부매립장 복토공사 본격 추진 쓰레기 매립이 종료된 제주시 서부매립장에 대한 복토공사가 본격 추진됩니다. 제주시는 지난 2019년 4월 만적으로 사용이 종료된 한림읍 월림리 서부매립장에 대해 최종 복토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복토공사에는 사업비 20억원이 투입되며 이달 착공해 오는 12월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제주시는 최종 복토공사가 완료되면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편의 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 2023.03.02(thur)  |  이현
  • Surge in Financial Deposits Last Year
  • Due to the impact of the hike in key rates, the number of deposits in the Jeju financial sector surged by more than 4 trillion last year.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s Jeju headquarters, the number of receivables at financial institutions in Jeju increased by 4.65 trillion won last year. The increase of 3.4 trillion won from 1.26 trillion won from the previous year is presumed to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key rates. On the other hand, household loans fell by nearly 800 billion won last year as housing transactions declined with the hike in interest rate. 지난해 금융권 예적금 4조 넘게 '급증'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난해 제주지역 금융권의 예적금 등 수신이 4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금융기관의 수신은 4조 6천500억원 늘었습니다. 이 같은 증가폭은 전년 1조 2천600억원보다 3조 4천억원 가량 확대된 규모로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금리 인상으로 주택거래 등이 감소하면서 지난해 가계대출은 8천억원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3.03.02(thur)  |  이현
  • Jeju Island's Population Reaches 699,751
  • As of the end of December of last year, the population of Jeju marked 699,751. This population is an increase of 2,200 compared to a year ago, with 678,000 Koreans and 21,000 foreigners in total. The Province announced the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The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d by 3,80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o 311,000, while the population per household was 2.18, down 0.02 from the previous year. By age group, the proportion of people in their 40s and 50s was the highest at 33.5%, while the youth population marked 13.2%. The working age population which is from age 15 to 65 reached 70.2% and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years of age accounted for 16.6%. By administrative district, (노형동) Nohyeong-dong in Jeju city has a population of 57,000 while (동홍동) Donghong-dong in Seogwipo city marked 24,000, making these the largest populated cities of each district. 제주도 인구 69만 9,751명…2천200명 증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제주지역 인구가 69만 9천 75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인구수는 1년 전에 비해 2천 200명 늘어난 것으로 내국인은 67만 8천명, 외국인은 2만 1천명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이같은 내용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공표했습니다. 세대수는 31만 1천세대로 전년 대비 3천 800세대 증가한 반면 세대 당 인구는 2.18명으로 전년에 비해 0.02명 감소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50대 비중이 33.5%로 가장 높은 가운데 유소년인구는 13.2%, 생산가능인구인 15살에서 65살까지는 70.2%, 65살 이상의 고령인구는 16.6%를 차지했습니다. 읍면동별로 보면 제주시 노형동이 5만 7천여명, 서귀포시 동홍동이 2만 4천여명으로 양 행정시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2023.03.02(thur)  |  이현
KCTV News7
02:27
  • More Support for After-School Child Care
  • More Support for After-School Child Care From this spring semester, the hours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will be expanded to the early evening.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at 24 elementary schools will ru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after 5 p.m. for dual-income couples and families in need. According to a survey, most parents prefer programs that operate until 6:30 p.m. when they are able to pick their child up after work. In line with the extended operating hours, education officials plan to newly deploy volunteers to help young students return home, along with additional caregivers. Recording Kim Chang-geon / Representative, Jeju PoE To reflect the actual need for child care of dual-income parents and provide stable child care services, operating hours will be extended. In addition, the number of classrooms for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has been expanded. Last year, more than 830 students were on a waitlist for child care programs as the number of applicants exceeded demand. Dual-income couples have expressed their concerns to officials. This year, the number of child care classrooms will be increased by 18 for a total of 255 classes. In addition, the number of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entrusted by the educational office will be expanded from 13 to 14 institutions. Education authorities expect that the expansion of the child care programs will increase capacity by 500 young students. Meanwhile,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carrying out a feasibility study to see if a cooperative system with community centers could provide classrooms for child care programs in high-demand areas such as (아라동) Ara-dong and (이도동) Ido-dong. 초등돌봄 '숨통'…운영시간도 '연장' 신학기부터 초등 볼돔 교실이 저녁시간까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맞벌이 부부 등을 위해 도내 24개 초등학교에서 오후 5시 이후에도 돌봄교실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전 수요 조사 결과 대부분 퇴근시간에 맞춰 오후 6시 30분까지 운영하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교육당국은 연장 운영에 맞춰 돌봄전담사 외에도 어린 학생들의 귀가를 돕는 자원봉사자인 안전관리사를 별도로 배치할 방침입니다. [녹취 김창건 / 제주도교육청 미래인재교육과장 ] 맞벌이 부모의 퇴근시간이 반영된 현실적인 돌봄 운영시간 요구를 반영하고 돌봄이 꼭 필요한 학생에게 안정적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또 초등 돌봄 교실도 확대 운영합니다. 지난해는 정원을 훨씬 초과하는 신청자로 830여명의 학생들이 대기상태여서 많은 맞벌이 부부들이 불편을 호소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는 18개의 돌봄교실을 늘려 모두 255개 교실을 운영합니다. 또 학교 이외에 민간에 위탁하는 마을키움터도 13개 기관에서 14개 기관으로 확대합니다. 교육당국은 돌봄교실 확대 운영으로 예년보다 5백명 가량 대기 수요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돌봄교실이나 지역아동센터 등과는 별도로 돌봄 수요가 많은 아라동과 이도동 등을 중심으로 주민센터 공간을 돌봄교실로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용역을 진행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3.03.02(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