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tudies Show Radioactive Effects Occur 5 Years Later
  • If the Japanese government releases contaminated water from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into the Pacific Ocean, it won’t be until five years later that radioactive material will be detected in Korean waters.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Science and Technology's Marine Environment Research Center and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ave announced the results of a two-year simulation study on the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Results show that when discharge begins, it will spread to the entire North Pacific Ocean within 10 years along the ocean current, and dramatic impact will start to occur in Jeju and other Korea waters, five years after.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tritium in contaminated water is expected to exceed one-hundred-thousandth of the amount present in natural seawater. 日 원전 오염수 방류…5년 후부터 방사성 물질 검출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태평양으로 방류할 경우 5년 후부터 우리나라 해역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년간 진행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방류가 시작되면 해류를 따라 10년 안에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되고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해역에는 5년 후부터 격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왔습니다. 다만 오염수 중 삼중수소 농도는 자연 해수에 존재하는 양의 10만분의 1 수준에 과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2023.02.20(mon)  |  이현
  • Electric Scooter Etiquette on the Island
  • Electric Scooter Etiquette on the Island This is an area near a college in (노형동) Nohyeong-dong, Jeju City. Bikes and motorized scooters are neatly parked within the white line. The compartment is a parking area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s, designated by the province to prevent the devices from ruining sidewalks, alleys and roads. However,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some e-scooters occupy the sidewalk. Some scooters have been dumped like they’ve been abandoned. Some are spotted in the middle of a narrow sidewalk or blocking a crosswalk. Pedestrians rush their steps away from the scooters. If they trip and fall in their haste, they can collide with scooters leading to injury. There are about 130 electric scooter parking areas designated to prevent unauthorized parking. Along with the parking area designation, pedestrian-only sidewalks are designated to prohibit the riding and parking of e-scooters, but it is useless. INTERVIEW Kim Du-yeong / Resident, Jungang-dong, Seogwipo I try to avoid parked or moving e-scooters on sidewalks to prevent collisions. It’s uncomfortable to walk on sidewalks. About 2,800 shared e-scooters are registered in Jeju as of last month. As the number of e-scooters increases,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the convenience of riders, but e-scooters are becoming a headache as riders have rarely improved their conscientiousness. 전동 킥보드 무단 방치 '여전' 제주시 노형동 대학가 일대입니다. 하얀 구획선 안에 자전거와 전동킥보드가 줄지어 세워져 있습니다. 제주도가 점용 허가를 얻어 전동킥보드와 자전거의 주차 구역을 만들어 놓은 겁니다. 골목이나 인도에 무단으로 방치되는 걸 막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길 건너편에는 인도 위를 차지한 전동킥보드들이 눈에 띕니다. 근처를 살펴보니 곳곳에서 아무렇게나 방치되는 킥보드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좁은 인도 가운데에 주차해 놓는가하면, 횡단보도 앞 쪽에 떡하니 자리잡은 경우도 눈에 띕니다. 보행자들은 킥보드를 피해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걸려 넘어질 경우 자칫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해보입니다. 무단 방치를 막기 위해 제주 전역에 지정된 전동킥보드 주차 구역은 130여 곳. 이 외에도 보행자안심구간을 지정해 킥보드의 인도 주행과 주차를 금하고 있지만 무용지물입니다 . <인터뷰 : 김두영 / 서귀포시 중앙동> 그냥 제가 피해 다니는 거예요 킥보드 앞에 있거나 세워져 있으면. 이렇게 자칫 사고가 날 수도 있으니까 (걸어 다닐 때) 불편한 점이 있는 것 같아요. 지난달 기준 제주에서 운행되고 있는 공유형 전동킥보드는 2800여 대. 킥보드 수가 늘어나면서 보행자의 안전과 이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여러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용자들의 의식 개선이 좀처럼 되지 않으면서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 2023.02.20(mon)  |  이현
  • Jeju City Recruits Academy Participants for Youth
  • Jeju City is recruiting after-school academy participants to teach teenagers from elementary grade 4 to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Meals will be included. Hours are from after school hours until 8pm and will include learning support, supporting club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The academy will be operated free of charge at the Jeju Youth Training Center located at the (이도일동) Ido 1-dong Youth Culture House, Jeju YWCA, and (은성) Eunseong Social Welfare Center. Support will be given as a priority to students from low income households. 제주시,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제주시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후아카데미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주요 프로그램은 학습지원과 동아리 활동, 진로 탐색 등이며 평일 방과후부터 저녁 8시까지 급식 등 돌봄지원이 이뤄집니다. 이번 아카데미는 제주시청소년수련관과 이도1동청소년문화의집,제주YWCA, 은성종합사회복지관에서 무료로 운영되며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청소년 등을 우선 지원할 계획입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Strengthened Crackdown on Illegal Waste Disposal
  • In cooperation with Seogwipo City and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crackdown will be strengthened on illegal dumping of garbage in clean houses or hills. The intentional dumping of vehicle waste at clean houses including wastes from house renovations or interior constructions will be fined up to 1 million won without exception. Seogwipo City caught 94 cases of illegal dumping of garbage last year,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discovered with the help of high-definition CCTVs. 서귀포시, 쓰레기 불법투기 단속 강화 서귀포시와 읍면동과 합동으로 클린하우스나 야산에 쓰레기를 몰래 버리는 불법투기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합니다. 클린하우스에 차량을 이용해 폐기물을 버리는 차떼기 투기나 집수리나 인테리어 등으로 발생한 혼합 폐기물을 일반 마대에 담아서 버리는 고의적 행위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최대 백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서귀포시는 지난해 쓰레기 무단투기 94건을 단속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을 고화질 CCTV로 적발했습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Jeju Cracks Down on Illegal Operators
  • Last year, Jeju City conducted a map inspection of sanitary facilities and detected 310 places that violated related laws. Accordingly, administrative measures were taken including suspension of business. By category, eight places were caught violating the Public Health Management Act, including offering accommodation to adolescents of opposite genders who are not married, and public baths with inadequate water quality. Other cases that were caught include 217 violations against the Food Sanitation Act such as offering alcohol to teenagers and storing expired foods. Jeju City has also taken criminal charges against 22 unregistered businesses that cooked and sold food using vehicles or facilities. 제주시, 법률 위반 위생업소 310곳 행정처분 제주시가 지난해 위생업소에 대한 지도 점검을 벌여 관련 법률을 위반한 310곳을 적발하고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했습니다. 유형별로는 청소년 이성혼숙과 목욕탕 수질기준 부적합 등 공중위생관리법 위반으로 8곳이 적발됐습니다. 또 청소년 주류 제공과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 보관 등 식품위생법 위반도 217곳이 적발됐습니다. 제주시는 차량 또는 시설물 등을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고 판매한 무신고 영업행위 22건에 대해서는 형사고발 조치했습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Jeju City Conducts Child Abuse Survey
  • Jeju City will conduct a full child abuse survey of 353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ho were predicted and notified as suspected households of child abuse by the 20th of next month. Public officials will pay visits to household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conduct face-to-face investigations to check on any possible child abuse crisis. If the whereabouts and safety of the child are unknown or if child abuse is suspected such as refusing to accept a visit, a police investigation may be requested. Meanwhile, Jeju City conducted a survey on a total of 1,100 children last year and provided 261 counseling and services. 제주시, 학대위기 의심아동 전수조사 실시 제주시가 다음달 20일까지 학대위기 의심가구로 예측, 통보된 18살 이하 353명의 아동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합니다. 조사는 읍면동 공무원이 방문해 아동과 직접 대면 상담으로 위기상황 여부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아동의 소재와 안전이 확인되지 않거나 방문거부 등 아동학대가 의심되는 경우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입니다. 한편 제주시는 지난해 1천100여 명의 아동을 전수조사하고 261건의 상담과 서비스를 지원했습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Jeju Progresses with City Revitalization Project
  • The basic plans of the Oh Young-hoon administration’s pledge of creating the so-called ‘15 minute city’ are ready to be initiated. The Island plans to spend 500 million won on the ‘15 minute city’ project and request it to the Jeju Research Institute by February next year. In relation, a suitable construction plan will be established and a pilot district promotion plan will be prepared in each of the two administrative cities, towns and villages. In addition, a citizen participation group of approximately 200 residents will be formed and opera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from the planning stage. '15분 도시 제주' 조성 기본구상 용역 추진 민선 8기 핵심공약인 15분 도시 제주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수립 용역이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사업비 5억원을 들여 내년 2월까지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15분 도시 제주 관련 용역을 진행합니다. 제주에 적합한 15분 도시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양 행정시 동 지역과 읍면 지역에 각각 1곳씩 시범지구 추진계획을 마련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계획 단계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도민 200여명으로 '도민참여단'을 구성해 운영합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Samdasoo Supports Relief Funds for Türkiye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evelopment Corporation will provide Jeju Samdasoo water to drought-hit southern islands and 10 million won worth of relief funds to help earthquake damage in the Republic of Turkey. Currently, in the southern islands such as (완도) Wando and (통영) Tongyeong, the limited water supply area is expanding due to the depletion of drinking water sources due to the persistent drought, so 10,000 bottles of Samdasoo will be delivered through the National Disaster Relief Association. The development corporation plans to support Jeju Samdasoo in consultation with the Korean Red Cross as soon as a temporary shelter is prepared in the earthquake-hit areas of Turkey. 가뭄피해지역 삼다수·튀르키예 1천만원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가뭄 피해를 겪는 남부 도서지역에 제주삼다수를, 튀르키예 지진 피해 복구비로 1천만원을 지원합니다. 현재 완도와 통영 등 남부 도서지역의 경우 지속되는 극심한 가뭄에 따른 식수원 고갈로 제한 급수지역이 확대되고 있어 이번에 삼다수 1만병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전달합니다. 개발공사는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에 임시 보호소가 준비 되는대로 대한적십자사와 협의해 제주삼다수를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3.02.16(thur)  |  이현
  • Survival Swimming Classes Return
  • Survival Swimming Classes Return Survival swimming sessions will be made a priority at elementary schools beginning in the upcoming spring semester. While first and second graders will learn in classroom sessions, students in third grade and above will be given swimming pool sessions. Ten hours of survival swimming sessions are mandatory every year. More than 28,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take classes on survival swimming and rescue techniques. INTERVIEW Oh Gyeong-gyu / Representative, Jeju Office of Education As the pandemic is expected to slow this year,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will have 2 hours of classroom sessions, and from third to sixth graders will take 2 hours of classroom sessions and 8 hours of swimming pool session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local schools being equipped with swimming pools, local education officials are recommending swimming classes as par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urrently there are 10 schools in Jeju City and four schools in Seogwipo City with pools. (영평) Yeongpyeong and (한림) Hallim Elementary Schools, and Seogwipo Middle School were equipped with swimming pools last year. Education authorities are providing extra operating expenses to schools with swimming pools. A budget of 160 million won will be offered to schools with swimming facilities to recruit swimming instructors and facility managers. Education authorities are also planning to build additional swimming pools at schools if requested. After a long suspension of swimming classes due to the pandemic, students can now look forward to a new semester of survival education and swimming lessons in their own school pool. "체육시간에도 수영 적극 권장" 신학기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존 수영교육이 강조됩니다. 저학년인 1학년과 2학년은 이론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반해 3학년 이상부터 실기 교육 중심으로 이뤄집니다. 생존 수영 교육은 연간 10시간 가량 의무적으로 실시합니다. 초등학생 2만8천여 명이 교육 대상으로 생존이나 수영, 구조 등에 관한 교육이 이뤄집니다. [인터뷰 오경규 / 제주도교육청 체육건강과장 ] 올해는 코로나 상황이 마무리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초등학교 1 2학년은 이론수업 중심의 2시간을 하게 되고요 그 다음에 3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10시간을 하게 되는데 이론수업 2시간, 입수형 수업 8시간 정도 하게 됩니다. 제주교육당국은 특히 수영장을 보유한 학교가 늘어나면서 체육시간을 활용해 수영 수업을 적극 권장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수영장을 갖춘 학교는 지난해 개장한 영평초와 한림초, 서귀포중학교를 비롯해 제주시 10개교와 서귀포시 4개교에 이릅니다. 교육당국은 수영장을 보유한 학교에 별도의 운영비를 지원합니다. 한 학교마다 평균 1억6천만원을 지원해 수영강사나 시설 관리 직언 채용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 밖에도 수영장을 필요로 하는 학교를 선정해 추가 건립도 추진합니다. 지속적인 학교 수영장 인프라 확장에도 불구하고 주춤했던 생존 수영 교육이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 조치로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 2023.02.16(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