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City Donates to 19 Cities
  • Jeju City has donated in participation with sisterhood associations and exchange cities to revitalize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and development of more opportunities for local communities. Jeju’s mayor (강병삼) Kang Byung-sam visited Nonghyup Bank and delivered a total of 500,000 won in donations to five cities that have sisterhood ties with Jeju City. The Jeju City Culture, Tourism and Sports Bureau also delivered donations of 100,000 won to 14 cities of the National Urban Exchange Council.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allows you to donate within the limit of 5 million won per year to local governments excluding the region of address on your resident registration, and you can receive tax deductions and local specialties. 제주시, 19개 도시에 고향사랑기부금 기탁 제주시가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상생발전을 위해 자매결연과 교류도시에 고향사랑기부금을 기탁했습니다. 강병삼 제주시장은 오늘 농협은행을 방문해 제주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5개 도시에 10만원씩 모두 50만원의 고향사랑 기부금을 전달했습니다. 제주시 문화관광체육국에서도 전국도시교류협의회 14개 도시에 10만원씩 기부금을 전달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자신의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제외한 지방자치단체에 연간 500만원 한도 내에서 기부할 수 있는 제도로 세액공제 혜택과 지역특산품을 답례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2023.02.09(thur)  |  이현
  • Students Donates Books to Schools Overseas
  • Starting this year, Jeju students will be able to donate books under their own name to Korean schools abroad through points earned by reading. This year,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issue certificates to students through reading activities and will donate books to overseas Korean schools including the Jeju (김만덕) Kim, Mandeok School in Vietnam. The books will be donated under the name of the donator. After pilot testing the program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Office of Education will expand the operation in the second half. 독서마라톤 포인트로 해외 한국학교에 책 기부 올해부터 제주학생들은 독서로 포인트를 쌓아 해외 한국학교에 자신의 이름으로 책을 기부할 수 있게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올해 인성교육 강화 방안으로 다양한 독서를 수행한 학생들에게 인증서를 발급하고 인증서를 제출한 학생의 이름으로 베트남에 있는 제주 김만덕학교 등 해외 한국 학교에 책을 기부하는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청은 올 상반기 시범 운영 후 하반기에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 2023.02.09(thur)  |  이현
  • Haenyeo Rituals Held at Fishing Villages
  • The (해녀굿) Haenyeogut is a ritual that wishes for the safe well-being and good catch of the haenyeo women divers and will be held at 32 fishing villages in the province until April. The (해녀굿) Haenyeogut i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용왕굿) Yongwanggut, (용등굿) Yeongdeunggut, (해신제) Haesinje, and (수신제) Susinje. The ritual is organized by the village and fishing community and is held for two months from the beginning of January until the beginning of March of the lunar calendar. (영등굿) Yeongdeunggut, the representative of (해녀굿) Haenyeogut rituals is a folk ritual that welcomes the (영등) Yeongdeung god for abundance. The god of wind (영등신) Yeongdeungshin is believed to visit Jeju Island on the first day of February to sow grain and seafood before passing through Udo island on its way home on the 15th. '해녀 무사안녕·풍요 기원' 해녀굿 어촌계별 봉 해녀들의 무사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해녀굿이 오는 4월까지 도내 32개 어촌계별로 봉행되고 있습니다. 용왕굿, 영등굿, 해신제, 수신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해녀굿은 마을어촌계 주관으로 음력 1월 초부터 3월초까지 두달간 도내 해안가 일원에서 진행됩니다. 해녀굿의 대표격인 영등굿은 풍요를 가져다주는 영등신을 맞이하고 보내는 민속 제례로 바람의 신인 영등신이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도에 찾아와 곡식과 해산물의 씨를 뿌리고 15일에 우도를 통해 고향으로 되돌아간다고 민간에서 전해지고 있습니다.
  • 2023.02.09(thur)  |  이현
  • Foreign Substances Found in Food
  • Excessive metallic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in foods distributed in the province. Emergency recalls have been made and distribution has been blocked after metal foreign substances were found to have been excessively detected in some foods distributed in the island. The Jeju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ducted a safety test on 701 foods distributed in the province and found excess metallic foreign substances in processed soybean and agricultural products. It is suspected that careless mishandling is the cause or that fine iron dusts may have mixed in during grinding processes. The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ported the information to related department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took administrative measures for emergency recalls and blocked distribution. 도내 유통 일부 식품에서 금속성 이물질 초과 검출 제주도내 일부 식품에서 금속성 이물질이 초과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긴급 회수와 유통 차단조치가 내려졌습니다.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에서 유통되는 식품 701건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류가공품과 농산가공품 각 1건에서 금속성 이물이 초과 검출됐습니다. 단단한 건조 농산물 등을 분쇄하면서 미세한 쇳가루나 제조공정 중 부주의나 관리소홀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적합긴급통보시스템을 통해 전국 관련 부서에 이같은 내용을 전파해 긴급 회수와 유통 차단 등 행정처분 조치했습니다.
  • 2023.02.09(thur)  |  이현
  • Elder Abuse an Ongoing Problem
  • Elder Abuse an Ongoing Problem Over the past three years, a total of 441 cases of elder abuse have been reported on the island. That number is on a slight downward trend at 159 in 2020, 148 in 2021, and 134 last year, but it is still serious. The abuse included not only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but also financial abuse and neglect. All told, the number of abuse cases exceeded 1,600. Surprisingly, most incidents happened at home.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province, more than 93 percent or 412 victims were mistreated at home. Twenty-one victims were abused at senior care facilities, and four cases were in public places. Another four were recorded in other locations. S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perpetrators at 167 victims. There were 139 elderly people who were abused by their spouses. And there were 35 cases of those who voluntarily neglected themselves by refusing meals or medication, or refusing help from others. Gang Hui-jeong / Representative at an elderly care center In some cases, elderly people are abused by alcoholics or mentally ill people. Abuse also happens from the stress of support. The causes differ case by case. In order to prevent elder abuse in senior care facilities, the province will draw up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monitoring and punishments. INTERVIEW Gang In-cheol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We’re trying to ensure the elderly live in safety on the island and guarantee their human rights wherever they are. As our aging society grows, elder abuse poses an ongoing threat to this vulnerable segment of the community. Social awareness,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above all, vigilance by people who live and work closely with our elders will help ensure that elder abuse is no longer dismissed as someone else’s problem. 제주 노인학대 '심각'…최다 가해자 '아들' 제주에서 최근 3년 동안 학대 피해를 받은 노인은 441명. 지난 2020년 159명, 다음해인 2021년 148명, 지난해 134명으로 조금씩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들이 받은 학대는 정서적, 신체적 학대뿐 아니라 경제적 학대와 방임 등 건수로 따지면 1천 600건을 넘고 있습니다. 특히 학대를 받은 노인 대다수의 피해장소는 다름 아닌 자신의 보금자리인 가정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주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93%가 넘는 412명이 가정 내에서 학대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설에서 학대피해를 호소한 경우는 21명이었고 공공장소와 기타 등에서도 각각 4명의 어르신이 학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대 가해자로는 자녀 중에서도 아들이 167명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습니다. 배우자에게 학대를 받은 경우도 139명에 달했습니다. 식사나 복용약 거부, 주변의 도움 거절 등 스스로를 돌보지 않는 자기방임 학대피해 사례도 35명이 있었습니다. <강희정 / 제주도 노인보호전문기관 과장> 학대 행위자가 알코올 중독이라든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도 있고요. 그리고 부양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서 노인 학대가 발생하기도 하고요. 그거는 이제 케이스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제주도는 우선 시설 내 노인학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니터링과 처벌 강화 등 대책을 수립하고 재발 방지에 나설 예정입니다. <강인철 / 제주도 복지가족국장> 저희 도에서는 어르신들이 어느 곳에서든지 간에 안전하고 인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드는 가운데 노인 학대가 끊이지 않는 안타까운 현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정 내 문제라는 이유로 방치되지 않도록 사회적 인식과 제도개선, 그리고 무엇보다 주변의 관심이 중요해지는 요즘입니다.
  • 2023.02.09(thur)  |  이현
  • Korean Air Tests New Self Luggage Drop service
  • Korean Air has started a pilot operation of the "self-luggage drop" service at (김해) Gimhae Airport in Busan. This service entrusts baggage using an automated device without the help of airline staff, and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th the introduction of this service, domestic flights will operate self check-in services, from ticket issuance to baggage consignment. Korean Air plans to test-run the service for six months and expand it to other airports such as Jeju Airport. 대한항공, 승객이 수하물 위탁 '셀프 백 드롭' 시범 운영 대한항공이 '셀프 백 드롭' 서비스를 부산 김해공항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이 서비스는 항공사 직원 도움 없이 수하물을 자동화 기기를 이용해 직접 위탁하는 것으로 현재 인천국제공항에서 시행 중입니다. 이번 서비스가 도입되면 국내선에서도 항공권 발권부터 수하물 위탁까지 탑승수속 모든 과정을 혼자서 할 수 있게 됩니다. 대한항공은 이 서비스를 6개월 간 시범 운영한 이후 제주공항 등 다른 공항으로 확대 운영해 나갈 예정입니다.
  • 2023.02.06(mon)  |  이현
  • Jeju City Reinvestigates Hamdeok Districts
  • Jeju City is pushing for the designation of an intellectual reinvestigation project district near Hamdeok Beach. 712 lots and 360,000 square meters of lands have been under property right disputes due to inconsistencies causing inconvenience. Jeju City plans to designate districts and prepare a new study once deliberations are resolved by the Intellectual Re-investigation Committee. 함덕해수욕장 인근 지적재조사 지구지정 추진 제주시가 함덕해수욕장 인근에 대한 지적재조사사업 지구지정을 추진합니다. 해당 사업지구는 712필지, 36만여 제곱미터로 토지 실제 현황과 지적도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아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에 불편을 호소하는 지역입니다. 제주시는 동의요건이 충족되면 지적재조사위원회 심의 의결 등을 거쳐 사업 지구로 지정하고 새로운 지적공부를 작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3.02.06(mon)  |  이현
  • Jeju Seeks to Support Recycling Industry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cepts applications for recycling facilities and operators who can transport recycled goods to and from Jeju. Up to 50% of establishment, expansion, or renovation fees for recycling facilities will be offered to businesses that have obtained a business license related to waste in the province. In addition, support for transportation processing will be provided between 50 won per kilogram and 50% of last year's transportation capacity. Applications are due on the 15th. 재활용산업 활성화 지원사업 대상 공모 제주특별자치도가 재활용품 시설과 도외 운반처리 지원사업을 공모합니다. 재활용 시설 지원의 경우 도내 폐기물 관련 업종허가를 받은 사업체를 대상으로 재활용시설의 신설이나 증설, 교체비용의 50%까지 지원합니다. 또 도외 운반처리 지원은 지난해 도외 운반 실적의 50% 이내에서 1kg당 50원 이내입니다. 신청은 오는 15일까지입니다.
  • 2023.02.06(mon)  |  이현
  • Jeju City Recruits Prospective Tenants
  • Jeju City will recruit 15 households of prospective residents of the (수선화) Susunwha rental housing from the 13th to the 14th. Eligibility for application includes people with an address in Jeju City who do not own a house. On-site applications can be made at the Jeju City Hall Housing Department. The ranking of prospective tenants will be determined through an open lottery on the 3rd of next month, and tenants will be able to move in once housing becomes available. The rental homes have a dedicated area of 39.9 square meters, with a deposit of 3.598 million won and monthly rent of up to 77,000 won. 제주시, 시영임대주택 예비입주자 모집 제주시가 오는 13일과 14일 이틀간 수선화 시영임대주택 예비입주자 15세대를 모집합니다. 신청자격은 제주시에 주소를 둔 무주택 세대로 제주시청 주택과에서 현장 접수합니다. 예비입주자 순위는 다음달 3일 공개 추첨을 통해 정해지며 빈집이 나오면 대기 순번에 따라 입주할 수 있습니다. 임대주택은 전용 면적이 39.9제곱미터로 임대보증금은 359만8천원, 월 임대료는 최대 7만7천원입니다.
  • 2023.02.06(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