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Permits Increase Despite Sluggish Market
  • Despite the stagnant real estate market, construction permits have increased. In Jeju, as of October this year, the construction size permitted was 1.621 million square meters and 3,100 projects, a 42%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year. By category, residential purposes accounted for 854,000 square meters, up 77% from the previous year. The main reason was due to the reconstruction of (이도주공) Ido Jugong Apartment Complex 2 and 3. However, the actual construction amounted to approximately 2,000 cases and 929,000 square meters,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last year. Jeju City prospects a large number of projects will continue to wait and see the results of construction costs and interest rates as they continue to fluctuate due to the rise in material prices. 부동산시장 침체 불구 건축허가 늘어…42% 증가 부동산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건축허가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건축허가 면적은 3천 100여 건에 162만 1천여 제곱미터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했습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85만 4천여 제곱미터로 이도주공 2, 3단지 아파트 등의 재건축으로 인해 전년보다 7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실제 착공면적은 2천여 건에 92만 9천여 제곱미터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제주시는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건축단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으로 실제 착공 건수는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2022.11.21(mon)  |  이현
  • Jeju 4.3 Retrial Manpower Extension In Question
  • Amid review of Jeju 4.3 ex-officio retrials, eyes are on whether there will be an extension of personnel of the prosecution and court members. In response to DPK Kim Han-kyu’s request to Kim Sang-hwan, the Legislation Minister for a solution at a recent National Assembly meeting, the minister responded that they would take the opinions to Jeju District Court and head of the Court, before next year’s February personnel appointment. In addition, Han Dong-hoon, the Minister of Justice also advised that he strongly affirms the need to expand on the headcount for the join delegate and promised to keep pace to meet people’s expectations. 4·3 직권재심 합수단-재판부 인력 충원 관심 4.3 직권재심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신속한 처리를 위한 검찰과 법원의 관련 인력이 확충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에 따르면 김상환 법원행정처장은 최근 열린 국회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4.3 직권 재심 적체 해결을 요구하는 김 의원의 질의에 내년 2월 인사 이전에 제주지방법원 재판부와 법원장의 의견을 청취해 개선할 수 있는 사법행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한동훈 법무부장관도 직권재심 권고 합동수행단 인원 충원과 관련해 당연히 확충할 것이고 제주도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속도를 잘 맞추겠다고 말했습니다.
  • 2022.11.21(mon)  |  이현
  • Safety Measures Strengthened for Events
  • The Itaewon tragedy has raised awareness to strengthen safety measures of festivals and events. Thus, safety regulations for festivals and events regulated for gatherings of above 1,000 people will be mandatory for gatherings of 500 and more. Moreover, for gatherings that exceed 1,000 participants, a crowd dispersion plan and safety control education will be mandatory. For regional events, CCTVs will be monitored to control crowd concentration. The province will conduct a full survey on all upcoming yearend festivals and events and conduct joint inspections for needed patrol services at unofficial sunset or sunrise events. 500명 이상 축제·행사 안전관리대책 의무화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제주도내 축제와 행사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이 한층 강화됩니다. 이에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1천명 이상 참여하는 축제와 행사에 적용했던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500명 이상으로 확대합니다. 또 1천명 이상 행사나 축제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할 경우 인원 분산 대책과 안전관리 교육 실태를 의무적으로 확인합니다. 이와 함께 읍면동 단위 지역별 개최 행사에 대해서는 CCTV를 활용해 인원 밀집에 대한 관제관리에 나섭니다. 제주도는 연말까지 계획된 모든 축제와 행사를 전수조사하는 한편 비공식적으로 개최되는 해넘이. 해맞이 행사의 경우 경찰 등 유관기관과 합동 점검과 순찰을 강화합니다.
  • 2022.11.21(mon)  |  이현
  • Tangerine Picking Season
  • Tangerine Picking Season Branches are loaded with ripe tangerines mingled amongst evergreen leaves. Visitors with scissors in one hand look for sweet tangerines, selecting a golden one and carefully pick it with scissors. Those who visit the place with their friends and family are completely absorbed in picking tangerines. They are not skilled in scissoring, but soon the bag is filled with the bright yellow fruit. INTERVIEW Bae Jeong-suk / Visitor from Suwon, Gyeonggi Province It’s my first time, so it’s a little awkward and I don't know how to do it. But it is so much fun and the tangerines are sweet. I ate a lot of them. With the tangerine season in full swing, the Seogwip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is holding the picking event. At 3,000 won per person, participants can pick ripe tangerines and take them home.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 event as they can enjoy as many tangerines as they want inside the farm. This year, more people are visiting as restricti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have been eased and the event period has been extended. With less rain and more sunny weather this year, tangerines are sweeter than usual. INTERVIEW Kang Gyeong-an / Seogwip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The tangerine picking event is underway through November 30 at our farm of 83,000 ㎡. The sugar content is higher than in previous years. Come and have a good time. The tangerine picking experience event takes place through November 30. '직접 따고 맛보고' 감귤 따기 '인기' 푸른 나뭇잎 사이로 탐스럽게 익은 감귤이 나무마다 주렁주렁 열려있습니다. 체험객들이 한 손에 가위를 든 채 잘 익은 감귤을 찾아다닙니다. 노랗게 익은 열매를 골라 조심스럽게 줄기를 잘라냅니다. 친구와 가족들과 함께 체험장을 찾은 이들은 감귤 따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처음 해 보는 가위질이 서툴기도 하지만 하나 둘 따다보니 어느새 봉투에 샛노란 귤이 가득 찼습니다. <인터뷰 : 배정숙 / 경기도 수원시> 처음 해보는 거라 좀 어색하고 할 줄 모를 줄 알았는데, 너무 재밌고 귤이 우선 맛있어서 하면서 귤도 많이 먹고 좋았어요. 서귀포농업기술센터가 감귤 따기 체험행사를 마련했습니다. 한 사람에 3천 원을 내면 잘 익은 감귤을 골라 따보고, 직접 수확한 귤은 집으로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체험장 안에서는 실컷 귤을 맛 볼 수도 있어 인기입니다. 올해는 코로나가 완화돼 행사 기간이 연장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비가 적게 내리고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예년보다 더 달고 새콤한 감귤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 강경안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팀장> 서귀포농업기술센터에서는 2만 5천 평 규모의 제주농업생태원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11월 30일까지 저희가 감귤 따기 체험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예년에 비해서 당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들 오셔서 즐거운 시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감귤 따기 체험행사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 2022.11.21(mon)  |  이현
  • Winter Response System Begins
  • Jeju has begun to prepare for heavy snow and cold waves. An emergency patrol room is in operation to help immediate snow removal where needed. Personnel will also be deployed immediately depending on priority. Also, automatic salt water spraying facilities will be established at Gonghang-ro and Chumdan-ro, and heating wires at Donam-ro in front of Donam post office, and Goma-ro in front of Ildo gas station. Additionally, support will go out to people with poor living conditions including single living elders, and those living in greenhouses to help with heating bills and heat supplies. 겨울철 대설·한파 대응 체제 돌입 제주특별자치도가 겨울철 대설과 한파 대응체제에 돌입합니다. 도로 제설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며 폭설이 이어질 경우 즉시 제설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고 노선별 우선순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합니다. 공항로와 첨단로의 자동염수분사시설, 도남우체국 앞의 도남로와 일도주유소 앞 고마로에 대한 도로 열선 설치사업을 조기에 마무리합니다. 이와 함께 홀로사는 노인과 저소득층, 비닐하우스 거주 등 겨울철 위기가구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난방비와 방한물품 지원 등 관리를 강화합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List of Delinquents Disclosed
  • The list of 226 people who have been in arrears for at least a year or owe at least 10 million won of local taxes was disclosed on the provincial website. Information to be disclosed includes: name or business name, occupation, address, debt amount & due date along with a summary of reason. Mr. Kim's amount reached a total of 291 million won in six cases including local income taxes, which is the highest amount among disclosed delinquents. Meanwhile, the amount of arrears for 226 people on the list is 10.3 billion won. 고액·상습 체납 226명 명단 공개…최고 2억 9천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방세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 이상 지났거나 1천만원 이상 체납한 226명에 대한 명단을 제주도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공개항목은 체납자의 성명이나 상호명, 직업, 주소, 체납액 세목, 납부기한, 체납요지 등입니다. 공개된 체납자 가운데 최고액은 개인인 김 모씨로 지방소득세 등 6건에 2억 9천 100만입니다. 한편 이번에 명단이 공개된 226명에 대한 체납액은 103억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Real Estate Developer Crackdown
  • Jeju will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30 registered real estate development firms. By the end of the month, Investigations will be conducted on s ubmission of own inspection sheets and lease contracts, followed by the field survey for insufficient companies. Investigations will focus on compliance with registration requirements, capital & executive management, unclaimed changes or business profits. To date, Jeju has imposed 18 fines and 7 registration cancellations last year. 부동산개발업 등록업체 30개소 실태조사 제주특별자치도가 부동산개발업 등록업체 30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에 나섭니다. 이달말까지 자체 점검표와 임대계약서 제출 등 서면조사를 실시하고 미흡한 업체에 대해서는 직접 현장 조사합니다. 자본금과 임원, 전문인력 확보 등 등록요건 준수와 변경 신고, 사업실적 미신고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실태조사를 통해 과태료 18건과 등록취소 7건을 조치한 바 있습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Expanded
  • The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EVPS) will be expanded in the province from the second half of the following year. The Jeju Police will establish the EVPS at all intersections in the province until the first half of the following year in order to mobilize firefighting vehicles promptly and safely in case of fires or other disasters. Currently, the system is only applied to the 14 km section from Ara Elementary School to the former Jeju KAL Hotel and from Nohyung Ogeori to Jeju National Museum. 내년 하반기부터 긴급차량 우선 신호 전면 확대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이 내년 하반기부터 제주 전역으로 확대됩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화재 등 재난사고 발생에 따른 소방차량의 신속하고 안전한 출동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교통신호 교차로 1천여개소에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현재는 아라초등학교 사거리에서 옛 제주칼호텔, 노형오거리에서 국립제주박물관까지의 14KM 구간에 대해서만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Preventive Patrol Strengthened after CSAT
  • Following the CSAT, the police will strengthen security patrols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city. To this end, crime prevention patrols will be conducted around self-service shops and parks expected to be visited by teenagers, with th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Entertainment facilities such as accomodation and bars will be assessed to check if they comply with mandatory ID verification process. 경찰, 수능 이후 치안·방범 순찰 강화 경찰이 수능 이후 도심지 치안 순찰과 방범 활동을 강화합니다. 이에따라 교육청, 행정시와 함께 청소년이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무인 점포와 공원을 중심으로 범죄 예방 순찰을 실시합니다. 숙박업소와 주점 같은 유흥시설에서 신분증 확인 의무 절차가 지켜지는지도 점검할 예정입니다.
  • 2022.11.17(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