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Business of Greenland Holdings Getting Worse
  • Business of Greenland Holdings Getting Worse The financial situation of Greenland Holdings Corporation Ltd.(Greenland group) is deteriorating to the poin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green investment group can continue business. According to JDC, the group announced on the 1st through the Hong Kong stock market its inability to pay its 500 billion won debt due on the 13th.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also hinder their plan to complete the healthcare town construction with an investment of 200 billion won by 2024 which was suspended in 2017. The project operator at JDC stated that they are planning measures while keeping an eye on international trends. 녹지 '채무 불이행' 자금난…헬스타운 사업 '불투명' 헬스케어타운 투자 회사인 녹지그룹의 자금 사정이 나빠지면서 사업 재개가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JDC에 따르면 녹지그룹은 지난 1일 자로 홍콩 증시를 통해 13일 만기가 도래하는 5천억 원 규모의 채무 상환을 할 수 없다고 공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녹지그룹이 2천억 원을 투자해 지난 2017년부터 중단된 헬스케어타운 공사를 2024년까지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입니다. 사업시행자인 JDC는 국제 동향을 파악하면서 대응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 2022.11.03(thur)  |  이현
  • Illegally Reclaimed of Oreum
  • Illegally Reclaimed of Oreum Local police caught a man in his 60s who illegally reclaimed an oreum, twice as large as soccer fields. Jeju Police Agency charged a farmer in his 60s for operating a tourist ranch by diverting 13,000 square meters of an Oreum in Seogwipo without permission and violating the Mountainous District Management Act. Per the police, the owner is accused of damaging forests and illegally establishing facilities without permission using it for parking lots and building facilities including a tour ranch since 2019. The ranch was ordered to shut down due to illegal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but did not comply with it. The local police have applied for an arrest warrant for the owner and are currently investigating two employees '축구장 2배' 오름 불법 개간 60대 적발 축구장 면적 2배에 달하는 오름을 불법 개간한 60대가 자치경찰에 적발됐습니다.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서귀포에 있는 오름 1만 3천 제곱미터를 무단 전용해 관광목장을 운영한 60대 농장주를 산지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해당 농장주는 지난 2019년부터 체험형 관광목장을 개발하면서 주차장과 부대 시설을 조성할 목적으로 허가 없이 산림을 훼손하고 분뇨 배출시설 등을 불법으로 설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해당 농장은 불법 가축사육시설 조성을 이유로 폐쇄 명령이 내려졌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자치경찰은 농장주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직원 2명도 불구속 입건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 2022.11.03(thur)  |  이현
  • Local Economy Freeze
  • Local Economy Freeze This is one of the outdoor traditional markets in Jeju, (서문) Seomun Market. Most shops are empty and quiet. Merchants are waiting for shoppers all day long, but not even a single item sells in an hour. INTERVIEW Ko Gun-ja / Merchant, Seomun Market Shoppers don't come. On the worst days, merchants just sit and talk, and sell items worth about only thousands of won. The (중앙) Jungang Underground Shopping Center is the same story. With fewer visitors, the center’s past reputation for shopping attractions has been lost. Shoppers hesitate to make purchases due to rising prices. The local economy is struggling as consumption shrinks in the wake of high interest rates and high prices. According to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Jeju’s Business Service Index, or BSI, for small businesses is 79.6 this month, down 9.3 points from last month. The BSI for traditional markets fell 19.6 points from last month to 75.5, the second lowest among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fter (광주) Gwangju. When the BSI is above 100, more than 50 percent of people think the economy will improve, and if it is below 100, more than 50 percent think it will worsen.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say falling consumption and rising prices and interest rates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economic downturn. INTERVIEW Ko Sun-ja / Merchant, Jungang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s interest rates go up, purchasing power drops significantly. I'm worried that this will continue until the end of the year. A year-end boost is unlikely. For now, Jeju’s economy looks like it will be weathering more high prices and interest rates, with a severe chill in money circulation. 돈맥경화에 지역경제 벌써 '한파' 서문공설시장입니다. 대다수 가게가 텅 비어 썰렁한 분위기까지 풍깁니다. 상인들이 하염없이 손님을 기다려보지만 한 시간 동안 물건 1개를 팔기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인터뷰 : 고군자 / 서문공설시장 상인> 재래시장에 사람이 안 들어와. 그럴 때는 상인들끼리만 앉아서 이야기하다가 (손님이) 오면 하루 몇천 원어치 팔고 그렇게 들어가요. 제주중앙지하상가도 상황은 마찬가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줄어 과거 쇼핑 명소의 명성은 오간데 없습니다. 간간이 찾아오는 손님도 오른 물가 탓에 선뜻 구매에 나서지 못합니다. 고금리와 고물가 여파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이달 제주지역 소상공인 전망 경기지수는 79.6으로 지난달보다 9.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와 함께 전통시장 전망 경기지수는 지난달과 비교해 19.6포인트 떨어진 75.5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광주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지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호전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이 더 많고 100 미만이면 악화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은 소비 감소, 물가와 금리 상승 등을 경기 악화의 주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인터뷰 : 고순자 / 제주중앙지하상가 상인> 이자가 오르다 보니깐 구매력이 많이 떨어졌어요. 연말까지도 이게 연장돼서 이어질까봐 걱정이죠. 연말에는 특수 상황도 없을 것 같아요. 고물가와 고금리 장기화로 시중에 돈이 돌지 않으면서 지역경제는 벌써부터 매서운 한파를 겪고 있습니다.
  • 2022.11.03(thur)  |  이현
  • AI Sorts Out Fruits
  • AI Sorts Out Fruits It’s picking season for this year’s orchard-grown mandarins. The harvested fruit is sent to a sorting and packing plant before being distributed to the market. But the busy harvest season brings with it some issues - namely a shortage of labor. Packing plants are seeing this first hand, due mainly to the aging of rural communitie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experienced workers. A mandarin sorting machine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cently introduced at a sorting facility run by the Seogwipo Office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The machine’s 18 cameras take 540 images per second to identify and separate any fruit marred by defects, like splits or pest damage. The AI sorting machine can screen 33,000 fruit per hour - making it 33 times more efficient when compared with an experienced worker. The number of human employees sorting the fruit here has decreased from eight to two since the machine was introduced. The AI machine also offers data on the ratio of qualified and defective fruit for each farmer. INTERVIEW Hyeon Yeong-taek / Head, Nat. Agri. Coop. Fed., Seogwipo Before the AI sorting machine was introduced, we had complaints about fruit quality. But now our screening accuracy is 99.8%, meaning we’ve increased the quality of the fruit we’re shipping. We’re hearing good things from consumers. The Korea Agricultural Technology Promotion Agency, which developed the AI sorting machine in collaboration with a high-tech company, plans to deploy the machine to ten fruit sorting plants in Jeju next year. INTERVIEW Jeon Hui-jung / Korea Agri. Tech. Promotion Agency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and so we plan to support not only technological development, but also the areas necessary for farmers to secure the market so they can enter it with security.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the new AI sorting machine can help solve the mandarin labor shortage, as well as ensure the delivery of only the highest-quality fruit. 고품질만 척척…선별도 이젠 'AI 시대' 올해산 노지감귤 수확이 한창입니다. 수확된 감귤은 선과장으로 옮겨져 선별 작업을 거친 뒤 소비시장에 나갑니다. 하지만 고령화와 숙련된 선별 인력의 감소로 해마다 감귤 출하 시기만 되면 선과장들은 인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감귤 선별기가 주산지인 서귀포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에 도입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AI 선별기는 카메라 18대가 초당 540장의 사진을 찍어 균열과 흠집, 착색 불량, 병해충 감염 등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을 골라냅니다. AI 선별기는 1시간 동안 감귤 3만3천개를 선별해 숙련된 전문가에 비해 최대 33배까지 효율이 높습니다. 실제 서귀포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기존 8명의 숙련가가 작업을 했으나 선별기 설치 후 2명으로 줄었습니다. 또 AI 선별기는 감귤을 골라내는 데 그치지 않고 농가별 상품 비중과 불량 원인을 수치화해 영농 작업의 참고자료를 제공합니다. <인터뷰 : 현영택 / 서귀포농협 조합장> (예전에는) 소비시장에 보냈을 때 상품성에 불만을 제기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AI를 설치한 뒤에는 선별 정확도가 99.8%로 돼있어서 지금은 리스크들이 많이 없어져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벤처기업과 함께 AI 선별기를 개발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내년 제주지역 선과장 10곳에 시스템을 확대 설치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 전희중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창업센터장> 현장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할 때까지 필요한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판로 확보까지 필요한 부분들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AI 선별기가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1차산업 인력난 해소와 고품질 감귤 유통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2022.10.31(mon)  |  이현
  • Jeju Prohibits Poultry Import
  • Jeju Prohibits Poultry Import The Province has expanded a ban on the import of poultry products from (충청북도) Chungchengbuk-do Province, following (경상북도) Gyeongsangbuk-do Province. Jeju has prohibited the import of poultry products from (충청북도) Chungchengbuk-do Province due to the recent outbreak of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t duck farms in (진천) Jincheon, (충청북도) Chungchengbuk-do Province. Accordingly, poultry products outside of (경상북도) Gyeongsangbuk-do and (충청북도) Chungchengbuk-do Provinces must be reported in advance, and will be inspected at airport and ports. Amid growing concerns over the spread of avian influenza, the Province asks poultry farms in Jeju to strictly comply with quarantine rules. 28일부터 충북산 가금육·생산물 반입금지 가금산물 반입금지 지역이 경북에 이어 충북으로 확대됐습니다. 제주도는 충북 진천시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프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충북산 가금육과 생산물 반입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이에따라 경북과 충북 지역산 이외의 가금산물은 사전 신고하고 공.항만에서 확인 후 이상이 없을 경우 반입이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농장 방역수칙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2.10.31(mon)  |  이현
  • Jeju City Conducts Safety Inspections
  • Jeju City Conducts Safety Inspections From the 14th to the 18th of November, Jeju city will conduct safety inspection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home fires during the upcoming winter months. Households with poor living conditions such as container houses, greenhouses, and warehouses will be inspected to ensure they are equipped with fire extinguishers, emergency call registration, and electrical and gas safety facilities. Through the inspection, Jeju city will work to remove any risks and install safety devices where needed. 제주시, 주거취약가구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 점검 제주시가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겨울철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을 실시합니다. 이번 점검은 컨테이너와 비닐하우스, 창고 등 주거 환경이 열악한 가구를 대상으로 소화기와 안심콜 설치 상태와 전기가스시설 등 위험 요소를 점검합니다. 제주시는 점검을 통해 화재취약 요인 등을 제거하고 안전장치 설치 서비스 등을 제공할 방침입니다.
  • 2022.10.31(mon)  |  이현
  • Jeju Plants Registered in the ICID
  • Jeju Plants Registered in the ICID Four Jeju plants have been added to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ICID) as cosmetic ingredients. The Jeju Province and the Jeju Biodiversity Research Institute at Jeju Technopark said that four Jeju cosmetic ingredients that are effective in relieving skin irritation, have been listed in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which is published by the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of the US. The Jeju cosmetic ingredients that were added to the dictionary this time, include plant extracts from the leaves of baby camellias, daffodils, long-leaf falsenettle, and fatsia leaves. Since 2019, 22 Jeju cosmetic ingredients have been registered to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by Jeju Technopark. 제주산 식물자원 4건 국제화장품원료집에 추가 등재 제주산 식물자원 4건이 화장품 원료 소재로 국제화장품원료집에 추가 등재됐습니다. 제주도와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최근 피부자극완화에 효능이 있는 제주산 화장품 원료 소재 4건이 미국화장품협회가 발간하는 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등재된 화장품 원료 소재는 애기동백 잎줄기 추출물과 수선화 줄기 추출물, 긴잎모시풀 잎줄기 추출물, 팔손이 잎 추출물 등입니다. 제주테크노파크는 지난 2019년부터 지금까지 제주산 화장품원료소재 22건을 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시켰습니다.
  • 2022.10.31(mon)  |  이현
  • Charity Concert to Fight Polio
  • Charity Concert to Fight Polio (세향) A charity concert by the Sehyang Traditional Music Orchestra was held at Jeju Halla University on October 27th. A fundraising concert held to raise funds for polio eradication was hosted by the (세향) Sehyang Traditional Music Orchestra, and organized by Rotary International District 3662. The charity concert presented a variety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including “The Soul of (고구려) Goguryeo and Drum Concerto”, “Boating Song”, and “(해금) Haegeum Concerto”. After the concert, Rotary International District 3662 donated 12 million won to help polio eradication. 소아마비 퇴치 기금 마련 국악오케스트라 공연 열려 소아마비 퇴치 기금 마련을 위한 세향 국악오케스트라 자선공연이 27일 저녁 제주한라대학교 한라아트홀에서 열렸습니다. 재단법인 세향국악오케스트라가 주최하고 국제로타리 3662지구가 주관한 공연은 고구려의 혼과 모듬북협주곡, 뱃노래, 해금협주곡 등 다양한 국악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연주회에 이어 국제로타리 3662지구는 소아마비 퇴치 기금으로 1천 200만원을 관련재단에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 2022.10.31(mon)  |  이현
  • Disputes on Jeju 4·3 Funds Continue
  • Disputes on Jeju 4·3 Funds Continue Following the government’s decision to pay the first state compensation to victims of the Jeju 4·3 Incident, attention is now directed to follow-up measures. On October 27th, the Jeju 4·3 compensation subcommittee decided to pay the first national compensation of up to 90 million won to each of the 300 victims. However, controversy over the varied support for those suffering from disabilities remains under dispute. In fact, a member of the committee expressed his emotions on his social media account. Some committee members are hinting at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ation. While the committee committed to conduct frequent meetings and paper reviews, the final decision on whether the subcommittee will respond to the backlash is yet to be heard. .4·3 보상금 추가 논의 주목 …차등지급 변수 4·3 희생자에 대한 첫 국가보상금 지급 결정이 이뤄진 가운데 앞으로 후속논의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제주 4·3 중앙위원회 보상심의분과위원회는 27일 4·3 희생자 300명에 대한 1인당 최고 9천만원의 첫 국가보상금 지급을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후유장애인에 대한 차등지급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고 일부 위원은 개인 SNS를 통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가 하면 재심의 얘기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보상심의분과위원회는 앞으로 수시로 회의를 열고 서면심사까지 검토한다는 방침이지만 후유장애에 대한 반발을 어떻게 처리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 2022.10.31(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