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ourning Flags Raised for Itaewon
  • Mourning Flags Raised for Itaewon Amid the nation’s declaration of having a national mourning period for the Itaewon accident in Seoul, mourning flags are being raised at all government offices in the province, including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s Office buildings. The move comes after President Yoon Suk Yeol declared to hold a period of national mourning until the accident was settled in a public statement and have government ministries and offices to have mourning flags raised. The flags will be raised high until midnight of November 5th. 제주도청 비롯 관공서마다 조기 게양 서울 이태원 사고와 관련해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된 가운데 제주도청을 비롯한 도내 모든 관공서 마다 조기가 게양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 사고 수습이 일단락될 때까지 국가애도기간으로 선포하고 모든 정부 부처와 관공서에 즉시 조기 게양을 지시한데 따른 조치입니다. 제주도는 정부에서 정한 '국가애도기간'에 따라 오는 5일 24시까지 조기를 게양할 계획입니다.
  • 2022.10.31(mon)  |  이현
  • Support for LPG Vehicles
  • Support for LPG Vehicles 7 million won will be supported for vehicles that convert commuting vehicles for children to LPG vehicles. The fund will be supported to new purchases of LPG vehicles that will be used to transport children, with 9 to 15 seats, while scrapping registered diesel vehicles. The government will also support those who do not yet own a school vehicle and plan to purchase an LPG vehicle. The due date for registration will be the 14th of the next month. LPG 어린이 통학차량 구입, 700만 원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어린이 통학차량을 LPG로 전환할 경우 한 대에 700만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등록된 경유차량을 폐차하면서 9인승 이상 15인승 이하의 LPG 어린이 통학차량으로 신규 구입하는 경우입니다. 또 어린이 통학차량 신고대상 시설 가운데 통학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가 LPG로 신규 구입하는 경우에도 지원합니다. 접수는 다음달 14일까지입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Seogwipo Focuses on Safe Commuting
  • Seogwipo Focuses on Safe Commuting Seogwipo City will conduct a joint inspection of children's commuting vehicles on the 31st in cooperation with the Jeju Headquarters of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Corporation and Seogwipo Police. 173 places, including daycare centers,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local children's centers will be checked for reports, insurance policies, safety education, and rescue systems. The city decided to inspect commuting vehicles for children at 50 facilities from a joint inspec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has already corrected 12 cases. 서귀포시, 어린이 통학차량 합동점검 실시 서귀포시가 한국교통안전공단 제주본부, 서귀포경찰서와 합동으로 오는 31일 어린이 통학차량 합동점검을 실시합니다. 점검 대상은 어린이집과 청소년수련시설, 지역아동센터 등 173곳으로, 신고 여부와 보험가입, 안전교육 이수 여부, 구조 장치 불량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서귀포시는 상반기 합동점검에서 50개 시설의 어린이 통학차량을 점검해 구조 장치 불량 12건에 대해 시정하도록 조치했습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Stabilization Funds for Fishing Crew
  • Stabilization Funds for Fishing Crew The government will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fishing crews facing difficulties due to sluggish consumption of marine products and reduced fishing yields. Subjects of the support are Koreans who have served as sailors for more than six months since the previous year who received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for running small businesses in the province. The amount of support will be 300,000 won per person, and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through the Jeju Fisheries Policy Division by the 16th of the next month. Those who move to other cities or provinces or have already received living subsidies from the previous 7th Disaster Emergency Life Support Fund are not eligible to apply.
  • 2022.10.27(thur)  |  고주연
  • Nation's First Port Safety Inspector
  • Nation's First Port Safety Inspector Jeju province will be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place a safety inspector at port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ne safety inspector will begin to work at Jeju Port in the upcoming month, and personnel will be deployed at (서귀포) Seogwipo port from the following year. Inspectors are in charge of port safety, including verifying approval and execution of the Port Safety Control Plan established by the Port Cargo Operator. Plans include taking corrective measures where needed. 제주도, 전국 최초 항만 안전점검관 배치 추진 제주도가 항만근로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내 무역항에 안전점검관을 배치합니다. 우선 다음달부터 제주항에 안전점검관 1명이 근무를 시작하며 서귀포항은 내년부터 인력이 배치될 계획입니다. 항만안전점검관은 항만하역사업자가 수립한 자체 안전관리계획의 승인과 이행 여부 확인, 시정조치 업무 등을 맡아 항만 안전을 총괄하게 됩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Competition Hot for Middle School Teachers
  • Competition Hot for Middle School Teachers A competition rate for the appointment of public middle school teachers, which are scheduled to be selected the following year, averaged 6.23 to 1. As a result of the closed applications for 2023 middle school teachers, nursing teachers, librarian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accepted between the 17th to the 21st, a total of 1,109 applicants applied for 178 positions, showing an average of 6.23 to 1 competition rate. History was the most competitive class with 12 to 1, and librarians recorded a high competition rate of 11 to 1. The first written test will be held on the 26th of the upcoming month, and the final selections will be announced on February 7th of the following year. Meanwhile, the private sector had 153 applicants for 36 positions, showing an average competition rate of 4.25 to 1. 공립 중등교사 임용시험 경쟁률 평균 6.23대 1 내년 선발 예정인 공립 중등교사 임용 경쟁률이 평균 6.23대 1을 기록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이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2023학년도 중등교사와 보건, 사서, 전문상담 교사 임용시험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178명 모집에 1천109명이 지원해 평균 6.23대1를 보였습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이 높은 과목은 역사로 12대 1, 사서교사는 1명 모집에 11명이 지원해 1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1차 필기시험은 다음달 26일 실시되며 최종 합격자는 내년 2월 7일 발표될 예정입니다. 한편, 사립은 36명 모집에 153명이 지원해 평균 4.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Jeju Pier to Pass Feasibility Study
  • Jeju Pier to Pass Feasibility Study The second stage of the Jeju outer pier project, which had been stalling for quite a while, is expected to be in full swing. Jeju announced that this project has recently passed a feasibility restudy of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With 78 billion won of national expenditure by 2027, a 210-meter-long berth will be constructed to dock 20,000 ton cargo ships. Their original plan to invest 196.5 billion won for the development of berths, coastal piers, and bridges has been reduce and will focus on securing the berth first. '제주외항 2단계' 정부 타당성 재조사 통과 장기간 표류하던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입니다. 제주도는 제주외항 2단계 개발사업이 최근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2027년까지 국비 780억원이 투입돼 2만톤급 화물선 접안이 가능한 210미터 길이의 선석이 조성됩니다. 제주도는 당초 사업비 1천965억원을 투입해 선석과 해경부두, 교량 등을 구축할 계획이었지만 사업을 축소해 선석 확보를 우선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Discriminatory School Uniform Grants
  • Discriminatory School Uniform Grants There are 18,800 third graders enrolled at local middle schools in Jeju. Next year, they will receive high school uniform grants regardless of parental income. The grants are between 300,000 and 400,000 won per person. This grant definitely reduces the burden on parents. However, dozens of students of Jeju citizenship are not eligible for the grants. Parents of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passed the admission test for a hypercompetitive school in (부산) Busan are embarrassed by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explanation that their child is not eligible for the school uniform grants because the school is not in Jeju. Meanwhile, students who move from overseas and the mainland are eligible for the grants. PHONE INTERVIEW Parent of a student leaving Jeju for high school education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says that school uniform grants will not be offered just because the school is not in Jeju. I think this is discriminatory. Actually, 76 Jeju students, on average, leave the island for their high school education. Most Jeju students leaving the island end up with no grants offered as many cities and provinces on the mainland don't have a scheme for a school uniform fund. INTERVIEW Gang Dong-u / Jeju Provincial Council 75 Jeju students leave the island for high school education every year on average. Students leaving for cities and provinces don't have a legal basis for offering the school uniform grants and cannot receive the grants. Meanwhile, in (울산) Ulsan, students who leave the city for high school education are included in the beneficiary list for school uniform grants. As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improve the school uniform fund scheme to not leave any Jeju student behind in terms of educational welfare, dozens of local students are paying attention to whether the beneficiary scope will expand. 교복비 지원 '사각지대'…"같은 제주학생인데..." 현재 제주지역의 중학교 3학년은 1만 8천 8백 여명. 이들이 고등학생이 되는 내년에는 부모 소득에 관계없이 교복비를 지원받게 됩니다. 지원금 규모는 한 명당 30만원대로 신입생을 둔 학부모들의 입학 준비 부담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복 지원에서 배제되는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들도 적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의 수재들이 몰린다는 부산의 한 영재고에 합격한 A군의 학부모는 제주에 있는 고등학교가 아니라는 이유로 교복비 지원 대상이 아니라는 교육당국의 설명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은 물론 해외에서 전학 오는 신입생들도 지원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학교가 제주도가 아닌 타 시도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교복 지원을 할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이거는 좀 역차별이 아닌가라는.. 실제로 영재고를 비롯해 예체능고 등 다른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제주 학생은 올해에만 75명으로 매년 평균 70명이 넘습니다. 신입생에게 교복비를 지원하지 않는 지자체가 많아 상당수 학생들이 사실상 교복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동우 / 제주도의회 교육의원 ] 평균 한 75명 정도가 타 시도의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타 시도에서 교복 구매 지원에 대한 조례가 있는 시도에서는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지원 조례가 없는 시도에서는 교복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그런 실정이기 때문에... 현재 울산의 경우 지역 내 학교를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진학하는 경우에도 교복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교육당국도 교육 복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의지를 밝히고 있어 교복 지원 대상이 확대될 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 2022.10.27(thur)  |  고주연
  • Applications for Kindergarten begin on the 31st
  • Applications for Kindergarten begin on the 31st Applications for kindergarten for the coming year will begin on the 31st. Jeju POE stated that new preschoolers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for year 2023, will be accepted through the kindergarten admission management system called "Go-first School." Applications will be made for infants who are eligible for priority recruitment by kindergartens from the 31st and general infants from the 16th to the 18th of the following month. Public kindergartens will prioritize recruiting 100%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내년도 유치원 신입생 우선모집 대상 31일부터 접수 내년도 유치원 신입생 입학 신청 접수가 오는 31일부터 시작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유치원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를 통해 2023학년도 공,사립유치원 신입 유아 접수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31일부터는 유치원별 우선모집 대상 유아를 신청 받고 일반 유아는 다음달 16일부터 18일까지 접수합니다. 공립유치원의 경우 법정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는 100% 1순위로 선발됩니다.
  • 2022.10.24(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