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Local Tax Arrears Strengthened
  • Local Tax Arrears Strengthened The province will strengthen its collection of local tax arrears until the end of this year. Seizure and collection will be carried out quickly following investigation of deposits, stocks, virtual assets, trade receivables. In addition, a list of 231 habitual delinquents with large amounts that proceed 10 million won will be released. In particular, high-end vehicles or fake registration vehicles owned by closed corporations will be tracked for public sale, and vehicles in arrears will be towed. In addition, the assets of those who are suspected of concealment will be seized. Currently, the local delinquent tax is 817 billion won. 지방세 체납액 징수 강화…압류·추심 적극 활용 제주특별자치도가 연말까지 지방세 체납액 징수활동을 강화합니다. 이를 위해 예금이나 주식, 가상자산, 매출채권, 급여 등을 조사해 압류와 추심을 신속히 추진하고 1천만원 이상 고액 상습 체납자 231명의 명단을 공개합니다. 특히 고액 상습체납자의 고급 차량이나 폐업법인 소유의 대포차량을 추적해 공매를 실시하고 경찰과의 합동단속을 통해 고질 체납차량을 강제 견인조치합니다. 이와 함께 재산 은닉이 의심되는 체납자에 대해서는 가택수색으로 동산 압류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현재 체납된 지방세는 817억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2.10.20(thur)  |  고주연
  • Jeju City Imposes Charges for Traffic
  • Jeju City Imposes Charges for Traffic Jeju City imposed 3.67 billion won for traffic generation charges on some 3,800 cases this year. The imposed charges were reduced to 21.3% due to the lifting of social distancing. As a result, the amount of the charges this year increased by 58.2% and 1.35 billion won over the previous year. Jeju stated that a 3% of additional dues can be charged for overdue payments, and urged for transactions to be closed by the end of the month. 제주시, 교통유발부담금 36억 원 부과…경감률 축소 제주시가 올해 교통유발부담을 3천 800여건에 36억 7천만원 부과했습니다. 올해 교통유발부담금은 사회적거리두기 해제로 경감률이 21.3%로 축소돼 부과됐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교통유발부담금 규모는 지난해보다 58.2%, 13억 5천여 만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제주시는 납부기한이 지날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다며, 이달말까지 납부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2.10.20(thur)  |  고주연
  • Improvement Needed in Bus System
  • Improvement Needed in Bus System The service disruption of the bus information system(BIS) reported by KCTV was in the hot seat at Jeju Council's administrative audit. The Provincial City Planning Committee pointed out that the accident occurred in spite of having more than 500 million won in budget for maintenance annually and raised the need for clarification and proper measures to prevent future recurrences. They also stressed th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avoid another total shutdown in the future when technical issues arise. "버스정보시스템 먹통 사태, 이원화 등 대안 마련해야" KCTV가 보도한 버스정보시스템 먹통 사태가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마에 올랐습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지난 17일 저녁 40여 분 동안 버스정보시스템이 중단된 것과 관련해 해마다 유지관리에 5억원 이상 예산이 사용되고 있는데도 먹통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해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장비만 교체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며 기술적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먹통 사태를 막기 위한 프로그램 이원화 등 대안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 2022.10.20(thur)  |  고주연
  • Emergency Routes and Exits Neglected
  • Emergency Routes and Exits Neglected Abandoned appliances and pieces of furniture are piled up in the stairwell of this Jeju City apartment. Boxes, trash bins, even old doors fill another area, impeding movement. These areas are used as emergency escape routes - something made much more difficult with the mountains of built-up trash. In order to return the building to the necessary level of safety, the apartment management office is disposing of anything left in common areas as well as thoroughly cleaning up all public passages and stairwells. The job will be done before the end of the month. Highlighting just how serious this problem of built-up trash has become, here is another apartment complex in (노형동) Nohyeong-dong, Jeju City. The fire doors in this building can prevent fire and toxic gases from spreading too quickly, but if they can’t close, then a growing fire can easily cause many casualties.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is offering rewards to people who report blocked fire exits or evacuation routes in buildings. They pay 50,000 won for reports of illegal situations, like blocked emergency exits or improperly-managed fire facilities. And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slight increase this year, the usefulness of the policy has been fading due to low participation. INTERVIEW Kim Chan-ho /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If evacuation or fire-prevention facilities are damaged or modified, or if junk has piled up in evacuation passages, it can lead to deaths. In November - fire awareness month - we will strengthen our public reward policy for reporting blocked exits. Emergency fire exits, stairwells, and facilities are in place for our own safety, but in order to be at all useful they must remain serviced and clear. 비상구에 '가구 떡하니'…신고포상제는 미지근 제주시내 한 복도형 아파트입니다. 계단으로 이어지는 통로에 폐가전제품과 가구 등이 쌓여 있습니다. 또 다른 통로에는 쓰다 버린 문짝과 박스, 휴지통 등이 놓여 있습니다. 이들 통로는 모두 비상문으로 사용돼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쌓인 물건들이 이동에 제약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해당 아파트는 이달 말까지 복도, 계단 내 적치물을 치우기 위한 정리기간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주시 노형동의 또 다른 아파트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방화문은 화재 발생에 따른 화염과 유독가스를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열린 채로 고정되면 커다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이 같은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비상구 신고포상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상구 폐쇄나 소방시설 차단 등 불법행위를 신고하면 한건에 5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비상구 신고포상제 신고 건수는 2019년 29건, 2020년 34건, 2021년 41건 올해 9월 기준 42건 등 연평균 36건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소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시민 참여가 저조해 제도 도입 취지가 퇴색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찬호 / 제주도 소방안전본부> 피난·방화시설을 훼손 또는 변경하거나 피난 통로에 적치물을 쌓았을 경우 화재 등 상황에서 대피가 어려워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11월 불조심의 달을 맞이해 비상구 신고포상제에 대해 홍보를 강화하고 위법 행위에 대한 단속도 계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각종 소방시설은 안전과 생명으로 직결되는 만큼 철저한 시민 의식과 함께 강력한 단속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2.10.20(thur)  |  고주연
  • Jeju Launches a Public-private Cooperativ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 Jeju Launches a Public-private Cooperativ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The province will launch a new public-private cooperativ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On October 14th, the province signed an MOU with the Jeju Economic and Trade Promotion Agency, Jeju Branch of the Korea Foodservice Industry Association, and a private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provider (먹깨비) Meokkabi. The application aims to lower the burden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consumers by reducing delivery commission by 90% and allows payments to be made with local (탐나는전) Tamnaneunjeon cards. Meanwhile, (먹깨비) Meokkabi is a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provider that operates in 11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제주서도 민관협력형 배달앱 운영…수수료 저렴 제주에서도 민관협력형 배달앱 운영이 시작됩니다. 제주도와 경제통상진흥원, 외식업 중앙회제주도지회, 민간 배달앱사 '먹깨비'는 오늘 제주도청 백록홀에서 민관협력형 배달앱 시스텝 도입에 따른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민관협력형 배달앱은 탐나는전 결제가 가능하고 다른 민간 배달앱 보다 10분의 1 수준의 낮은 중개 수수료로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한편 민관협력형 배달앱 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먹깨비는 현재 서울시와 전라남도 등 전국 지자체 11곳에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배달앱 업체 입니다
  • 2022.10.17(mon)  |  고주연
  • Expanding Scope for April 3rd Relatives
  • Expanding Scope for April 3rd Relatives Following the Supreme Courts July decision to expand the scope of Jeju 4·3 family relation registrations, further revisions will be made to the Jeju 4·3 Special Act. On October 13t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re-announced plans to the ordinance of the Jeju 4·3 Special Act to expand subjects of family relations registration or correction. Those approved with a biological relation to a victim will be eligible to make corrections to their family relations registers. This is in addition to victim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4·3 가족관계 정정 대상 확대…'시행령' 입법 예고 지난 7월 대법원이 4.3 가족관계 등록부 정정 대상을 확대하는 규칙을 시행한 가운데 후속 절차로 4.3 특별법 시행령이 개정됩니다. 행정안전부는 13일 4.3 가족관계 등록부 작성과 정정 대상을 확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4.3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습니다. 개정안이 확정되면 가족관계 등록부 정정 대상이 종전 당사자와 유족에서 4.3 위원회가 친생자 관계로 인정한 당사자까지 확대됩니다.
  • 2022.10.17(mon)  |  고주연
  • Online Petition Service Opens in Nov
  • Online Petition Service Opens in Nov The province will launch an online petition service for local residents starting in November. The Governor will directly answer petitions related to pending policy issues of the province. Public petitions will undergo a 30-day feedback period, and the Governor or heads of departments of the province will respond directly to any petitions that have been signed by over 1,500 residents. In addition, every petition will be processed after review by a review Committee to ensure issues are dealt with equity. '도지사가 직접 답변' 온라인 도민 청원실 신설 제주도가 정책 현안에 대해 도지사가 직접 답변하는 온라인 도민 청원실을 다음달부터 신설해 운영합니다. 공개 청원에 대해서는 30일의 의견수렴 기간을 두고 1천 500명 이상 동의하는 경우 도지사 또는 실국장이 직접 답변합니다. 또 모든 청원은 청원 처리의 공정성을 위해 제주도 청원심의회 심의 후 처리할 방침입니다.
  • 2022.10.17(mon)  |  고주연
  • Public Officers Caught for DUI
  • Public Officers Caught for DUI Over the past five years, 19 public officers of the Jeju POE have received disciplinary actions for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sexual misconduct. According to lawmaker (이태규) Lee Tae-gyu of the People Power Party, 13 POE members were caught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6 employees were charged with sexual misconducts. 8 of them faced light punishment such as salary reduction or a reprimand, 7 were suspended or demoted, and 4 were dismissed. '음주·성비위' 적발 교육청 교직원 19명 최근 5년간 제주도교육청 공무원 가운데 19명이 음주나 성비위로 징계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회 국민의힘 이태규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 달까지 제주도교육청 교직원 가운데 13명은 음주운전, 6명은 성비위로 적발됐습니다. 감봉과 견책 같은 경징계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정직과 강등은 7명, 4명은 해임 처분을 받았습니다.
  • 2022.10.17(mon)  |  고주연
  • Jeju’s Markets Least Insured
  • Jeju’s Markets Least Insured The province has recorded the lowest rate of traditional markets insured against fires in the nation. According to lawmaker (이장섭) Lee Jang-seop of the Democratic Party of In Korea, only 17.5% of approximately 3,700 traditional markets are covered with fire insurance. Together with Sejong City, Jeju had only 17% insured leaving the cities to rate lowest in the nation. In addition, only 1% of traditional markets have installed temperature sensors, calling for urgent improvement. 전통시장 화재공제 가입률 17.5% '전국 최저' 전통시장 화재공제 보험 가입률이 제주가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이장섭 의원에 따르면 제주 전통시장 점포 3천 7백여 곳의 화재공제 보험 가입률은 17.5%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7%에 그친 세종시와 함께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화재 경보 알림시설 설치율도 제주는 1%에 머물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2022.10.17(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