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New Foreign Worker's Employment Permit Received
  • Jeju receives its 1st application for employment permission of new non-professional foreign workers next year. Under the consideration of serious labor shortage in the field, applications will be received from the 14th to the 24th, approximately two months earlier than usual. Business owners must first proceed to recruit Korean nationals before submitting their application. Results of issuance of the permits will be announced on the 9th of the upcoming month. Jeju plans to adjust the issuance of employment permission to be deployed at workplaces through prompt entry from the beginning of next year. 내년 신규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신청 접수 제주도가 내년 1회차 신규 비전문 외국인력에 대한 고용허가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현장의 심각한 구인난을 고려해 예년에 비해 두달 정도 앞당겨 오는 14일부터 24일까지 이뤄집니다. 사업주는 신청서 제출 전에 반드시 내국인 구인 노력을 거쳐야 합니다. 고용허가서 발급 대상 사업장 결과는 다음달 9일 발표됩니다. 제주도는 고용허가 발급 건에 대해 내년 초부터 신속한 입국을 통해 사업장에 배치하도록 조정할 계획입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Jeju Int’l Universal Design Expo Nov 13
  • Jeju International Universal Design Expo will be held at the Jeju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for three days from the 13th. Hosted by Jeju Province and co-hosted by the Korea Human Rights For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Welfare, the event will be divided into an event hall, an experience hall, and an exhibition hall exhibiting wearable robots and universal design bathroom products for the aging society. Additionally, variable development plans for Universal Design will be discussed through an academic seminar. Universal design refers to products,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that are convenient and safe for anyone, regardless of gender, age, nationality, or disability. 제주국제유니버설디자인엑스포 13일 개막 제주국제유니버설디자인엑스포가 오는 13일부터 사흘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한국장애인 인권포럼과 국립 한국복지대학교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행사관과 체험관, 전시관으로 나눠 진행되며 농어촌지역의 노동인구 고령화에 대비한 에어러블 로봇체험과 유니버설디자인 욕실제품 등이 다양하게 전시됩니다. 또 국제학술세미나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발전방안을 논의하게 됩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성별이나 연령, 국적, 장애유무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과 건축, 도시환경 디자인을 일컫는 말입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POE Increases Native English Assistant Teachers
  • After its numbers were reduced when Native-speaking assistant teachers were replaced with Korean English teachers, the numbers will be increased slightly in the upcoming year. With an increase in the budget for the new year, the number of native-speaking assistant teachers in the upcoming year will be 129, which is an increase of nine from this year. With high demands, plans include expanding the number of assistant English teachers, especially in rural communities. The number of assistant teachers had dropped from 134 in 2014 to 121 last year when they were replaced by Korean teachers under the former superintendent. 도교육청,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9명 증원 내국인 교사로 대체돼 축소돼 왔던 원어민 보조교사가 내년에 소폭 늘어납니다. 제주도교육청의 새해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원어민 보조교사는 129명으로 올해보다 9명이 늘었습니다. 교육당국은 원어민 보조교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 우선 읍,면지역 희망 학교를 대상으로 보조교사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인원을 늘렸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2014년 기준 134명이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는 전임 교육감 시절 내국인 교사로 대체되면서 지난해는 121명까지 감소했습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More Support for COVID-19 Loss
  • The province decided to mitigate the criteria of supporting COVID-19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small businesses. Thereby, more businesses that are registered under the same address, or have shared accommodations will also be recognized for the funds. Additionally, businesses that operate but have not made any actual sales may be required to submit extra evidence in addition to utility fees, or lease contract. This will help the reach out to businesses that were eligible but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ubmiting evidential documents. 소상공인 코로나 손실보전금 지원기준 완화 제주도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코로나 손실보전금 지원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따라 사업장과 주민등록 주소지가 동일한 일부 업종에 대해 민박공유업체의 매출도 영업 증빙자요로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또 사실상 영업을 하고 있지만 매출액이 없는 사업자의 경우 임대차계약서 등 공공요금 외 영업증빙자료도 추가로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일부 업체의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되지만 증빙서류 제출이 어려워 사각지대가 발생하곤 했습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Jeju Will Increase Paid Parking Lots
  • Due to the low circulation rate of parked vehicles and controversy over private lots, local authorities will convert more free parking lots into paid lots. The province plans to have future parking lots charge fees to resolve issues of long-term parking vehicles and other related issues. The conversion of free parking lots to paid lots has helped increase the vehicle circulation rate by 10 times. The conversion first began in 2019 and so far 78 sites, which is 20% of 20 districts have been converted to paid parking lots. '사유화·낮은 회전율' 무료 공영주차장 유료화 확대 무료 공영주차장이 낮은 회전율과 사유화 논란이 일면서 지자체가 유료 전환을 확대합니다. 제주시는 무료 공영주차장에 장시간 주차하는 차량으로 인한 민원과 이로 인해 빚어지는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앞으로 조성하는 주차장은 유료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일부 무료 주차장을 유료로 전환한 결과 회전율이 10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시는 지난 2019년부터 주차장 유료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면 이상 주차장 가운데 20%인 78개소가 유료로 전환됐습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Guarantee for Odeungbong Not True
  • The civic groups’ claim that the Provincial Council offered a guarantee worth 100 billion won regarding the Odeungbong Park Development Project to business proprietors was denied. It was explained through a press release that explained that the proprietor deposited 122.6 billion won in cash to purchase the site by issuing bonds, and that the plan was to refund the entire deposit in case any problem occurred. Therefore, it has nothing to do with Guarantees of obligation and is not a matter subjected to resolution by the provincial council. 제주시, "오등봉공원 사업자 지급보증 사실 아니" 제주시가 오등봉 민간특례사업과 관련해 도의회 심의절차를 무시하고 사업자에게 1천억원대 지급보증을 해줬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에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제주시는 보도자료를 내고 사업자 측은 채권 발행을 통해 부지 매입비 1천 226억 원을 현금으로 예치했고 만약 사업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제주시가 예치금 전액을 반환하는 구조일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채무 보증과는 관련이 없으며 지방의회 의결사항도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Tourist Spending Up, Satisfaction Down
  • Tourist Spending Up, Satisfaction Down According to an annual report released by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the island's gross income in the tourism sector was 6.34 trillion won in 2021. That was 32 percent year-on-year growth, reaching 86 percent of the gross income of 2019, the last normal year prior to the pandemic. Of the total gross income for 2021, domestic tourists spent 5.76 trillion won last year. That's 37 percent more than in 2020. Meanwhile, international tourists spent 576 billion won, as most international flights were still suspended. That's the same level as the previous year. Tourists stayed in Jeju for 4.57 days on average in 2021, which is 0.4 days more than in 2020. And an average visitor spent 616,800 won while here, which is a 21 percent increase over 2020. The local tourism industry is recovering from the shock of the pandemic. However, tourists were less satisfied. Last year, Jeju’s tourism satisfaction was 3.88 points, which has been on the decline in recent years, with the biggest complaints being about high travel expenses. INTERVIEW Jeong Geun-o / Representative, Jeju Tourism Organization The factor with the highest dissatisfaction is high prices in Jeju. Many perceive that service and benefits are poor when compared to the cost. JTO is working on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efforts such as training tourism industry workers. As overseas travel gradually normalizes, the local tourism industry needs to step up its game in terms of services, thereby maintaining its competitiveness and visitor satisfaction. 제주관광 씀씀이 커지는데…만족도 '뒷걸음' 제주관광공사가 발표한 관광 동향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관광 조수입은 6조 3천4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전년 대비 32% 증가한 액수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86% 수준까지 회복했습니다. 지난해 관광 조수입 가운데 내국인 지출은 1년 전보다 37% 늘어난 5조 7천640억원으로 전 업종에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코로나 여파로 국제선 하늘길이 사실상 막히면서 외국인 관광 조수입은 전년과 같은 5천760억원에 그쳤습니다. 이와 함께 작년 관광객 체류일수는 4.57일로 0.4일 늘었고 1인당 평균 지출은 61만6천800원으로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광산업이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여행객 만족도는 뒷걸음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제주관광 만족도는 3.88점으로 최근 수년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높은 여행경비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 정근오 / 제주관광공사 데이터R&D그룹 PM> 가장 높은 순위의 불만족은 높은 물가였고요. 높은 물가는 자기가 지불한 비용만큼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에게서 나오는 대답입니다. 관광 종사원 교육 등 서비스 품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공사 입장에서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이 차츰 정상화되고 있어 제주관광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커지는 씀씀이에 맞는 만족도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2.11.10(thur)  |  이현
  • Discounts for 4·3 Bereaved Families
  • Over 15,000 people have benefitted from airfare discounts offered by Jeju Air to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Jeju 4·3 Incident. Since April 2018, Jeju Air has offered discounts of up tp 50% to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Jeju 4·3 Incident for all domestic flights from Jeju. Accordingly, a total of 338 bereaved family members received a discount in 2018. Until the last day of the previous month, more than 15,000 people including 288 survivors and 14,700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incident have received discounts. Currently 17% of a total 88,000 are registered as survivors and bereaved family members of Jeju 4·3. 제주항공, 4.3유족 할인 이용객 누적 1만 5천명 제주항공이 4.3유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할인혜택 누적 이용객이 1만5천명을 넘었습니다. 제주항공은 지난 2018년 4월부터 제주기점 국내선 모든 항공편에 대해 항공료의 최고 50%를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첫해 383명의 4.3유족들이 이용한 것으로 시작으로 지난달까지 생존희생자 288명, 유족 1만4천700여 명 등 모두 1만5천여 명이 항공운임 할인혜택을 받았습니다. 이는 현재 제주에 등록된 생존희생자와 유족 8만8천여 명의 17%정도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 2022.11.07(mon)  |  이현
  • Tents and Heated Seats at Bus Stops
  • Jeju city will be installing additional tents and heated seats at bus stops to protect citizens from the upcoming cold winter. Accordingly, the city plans to install tents at 16 bus stops including those at the Jeju Bus Terminal,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s well as bus median lanes with high population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commuters. Due to the positive feedback of citizens, the city plans to spend an additional 50 million won to install 23 more heated seats at bus stops around the island. 제주시, 버스정류소 방한텐트·온열의자 확대 설치 제주시가 겨울철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버스정류소에 방한텐트와 온열의자를 확대 설치합니다. 이에따라 이달 중 이용객이 많은 중앙차로 버스승차대와 제주버스터미널, 제주대학교 병원 등 16개소에 바람을 피할 수 있는 방한텐트를 설치해 이용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온열의자도 시민들의 호응을 얻음에 따라 예산 5천만원을 투입해 23개를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 2022.11.0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