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All 18 Self-Governing Schools Re-designated
  • Despite a delayed notice, all schools that applied as a Jeju Self-Governing School have been re-designated. The Jeju POE stated that all 18 schools applied were eligible for re-designation. The self-governing schools include six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Gueom Elementary School and Gwiduck Elementary School, along with four middle schools. The designated self-governing schools will be supported with finances, teacher training, and consulting. 제주형자율학교 신청 18개교 모두 재지정 늑장 공고 논란을 빚은 제주형자율학교 신청학교가 모두 재지정 받았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제주형 자율학교 재지정을 신청한 18개 학교를 모두 재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재지정된 제주형 자율학교는 구엄초와 귀덕초 등 제주시 초등학교 6개교, 중학교 4개교 등입니다. 제주형자율학교로 지정되면 해당 학교에는 예산과 교직원 연수, 컨설팅 등이 지원됩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Supply-Demand Mismatch for Yellowtails
  • Supply-Demand Mismatch for Yellowtails Yellowtails swim vigorously in this temporary ocean-based storage facility. Most of them are one meter in length and categorized as large-sized yellowtails. This year's yellowtail season has begun. There’s a fishing ground now formed off the coast of Marado Island. This month, between 25 and 40 vessels have been in operation, and some 5,500 yellowtails have been caught thus far. That’s nearly twice the catch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But with fewer people buying this local fish, prices are falling short of fishermen's expectations. This month, the price of large-sized yellowtail is 47,000 won, down 42 percent from 81,000 won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price of extra-large and medium-sized yellowtails has halved since last year. Sluggish sales even led to yellowtail fishing operations being suspended last week from the 9th to the 13th. Experts say that consumption of Jeju yellowtail has shrunk due the continued economic downtur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catches in (강원) Gangwon Province. This year's decline in yellowtail prices and sluggish consumption are all the more painful for fishermen burdened by sky-high fuel costs. INTERVIEW Kang Seung-yu / Fisherman Consumption is very low while fuel prices are rising. We're in a difficult situation. Given the current situation, local fishermen have high expectations for a boost in sales from the upcoming 22nd Southernmost Yellowtail Festival that kicks off on 26th at Moseulpo Port. INTERVIEW Ji Gyeong-ju / Auctioneer, Moseulpo branch,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Come and eat yellowtail dishes at the festival. It will be a great help to boost consumption and contribute to the income of fishermen. The local fishing industry is hoping to overcome this initial slump in sales and regain the fish's status as a representative winter fish dish. 본격적인 방어철…'풍요 속 빈곤' 해상에 조성된 활어 임시 보관시설에서 방어들이 힘차게 헤엄칩니다. 몸길이 1미터를 넘나드는 이른바 '대방어'들이 대다수입니다. 늦가을을 맞은 마라도 앞바다에 어장이 형성되면서 본격적인 방어철이 시작됐습니다. 이달들어 적게는 25척에서 많게는 40척이 조업에 나서 현재까지 5천 500마리를 잡았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어획량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규모입니다. 방어는 많이 잡히고 있는 반면 소비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가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달 대방어 위판가격은 4만7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만1천원에 비해 42% 하락했습니다. 특대방어와 중방어 가격은 1년 새 반토막이 났습니다. 방어를 잡아도 팔리지 않다 보니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한때 방어 조업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강원지역에서 방어 어획량이 크게 늘면서 제주산 방어 소비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고유가로 조업 비용 부담이 커진 어민들에게 올해 방어 가격 하락과 소비 침체는 더욱 뼈아프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 강승유 / 어민> 기름값도 상승했는데 지금 소비가 너무 안되는 것 같아서 어민 입장에서 많이 힘든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어민들은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제22회 최남단 대방어축제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인터뷰 : 지경주 / 모슬포수협 경매사> 이번 축제에 많이 참석해 주셔서 방어도 많이 소비해 주시고 홍보도 많이 해주시면 소비에 큰 도움이 돼서 어민들 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주 방어가 초반 소비 부진을 이겨내고 겨울철 대표 횟감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 2022.11.17(thur)  |  이현
  • More of Late Lee Kun-Hee’s Pieces in Jeju
  • Jeju (동자석) Dongjaseok and 55 pieces of (문인석) Mooninseok donated by the late Chairman (이건희) Lee Kun-hee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ll be permanently displayed in the outdoor garden of the Jeju National Museum. The Dongjaseok and Mooninseok, which will be exhibited, are some of the 21,000 works donated by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late Lee Kun-hee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April last year. The Jeju Dongjaseok is made of basalt and means to protect tombs and comfort souls of the dead. It provides a glimpse into Jeju’s culture from the Joseon Dynasty and holds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 from other regions. The Jeju National Museum plans to decorate the space with the theme of sandam, which can be found in tombs of Jeju, and show its works. 고 이건희 회장 기증 제주동자석·문인석 상설 전시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제주동자석과 문인석 55점이 국립제주박물관 옥외정원에 상설 전시됩니다. 이번에 전시되는 동자석과 문인석은 지난해 4월 고 이건희 회장 유족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2만 1천여 점의 작품 가운데 일부입니다. 무덤을 지키고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는 의미를 지닌 제주동자석은 현무암이나 화산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조선시대 제주지역의 문화를 엿볼 수 있어 다른 지역 동자석과 차별성을 갖습니다. 국립제주박물관은 제주의 무덤에서 볼 수 있는 산담을 주제로 공간을 꾸미고, 작품을 선보인다는 계획입니다.
  • 2022.11.14(mon)  |  이현
  • Jeju Initiates ‘Walking Safe Zone’
  • The Jeju Police will operate six sections within the downtown area, where accidents of personal mobility frequently occurr, as a ‘Walking Safe Zone’. The six designated sections include (노형) Nohyung Elementary School, (남녕) Namnyung High School, Lotte City Hotel, (신제주) Sinjeju-rotary, the rear gate of (한라) Halla University, and a front road of (제일) Jeil Middle School. Accordingly, the police will set up road signs that ban two-wheeled vehicles on sidewalks or crosswalks and strengthen the crackdown. The province also plans to request mobility companies to refrain from operating rentals or the return of mobility vehicles in the safe zone. 제주시내 6개 구간 '보행자 안심구간' 운영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제주시내 6개 구간을 보행자 안심구간으로 운영합니다. 이번에 지정된 6곳은 노형초등학교와 남녕고, 롯데시티호텔, 신제주로터리, 한라대 후문, 제일중 앞 도로입니다. 이에따라 자치경찰은 노면과 기둥에 인도나 횡단보도로의 이륜차 주행금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합니다. 또 이동장치 공유업체에 대해서도 안심구간에서의 대여나 반납 자제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 2022.11.14(mon)  |  이현
  • Expanding COVID-19 Booster Shots
  • From this week, bivalent vaccines of the COVID-19 booster shots will be expanded to three types of vaccines. The three vaccines are Moderna and Pfizer vaccines made using the early Omicron variant BA.1, and Pfizer vaccines made of the BA.4 and BA.5 variants. Adults aged 18 and older who completed their primary vaccination meaning those who have received their second shot or more are eligible for the booster shot. The province urges citizens to receive COVID-19 booster injections in preparation for the 7th Wave. 동절기 추가접종 백신 3가지로 확대 이번주부터 코로나19 동절기 추가접종 2가 백신이 3가지로 확대됩니다. 3가지는 오미크론 초기 변이인 BA.1을 활용해 만든 모더나와 화이자의 백신, 그리고 BA.4와 BA.5 변이의 화이자 백신입니다. 18살 이상 성인 가운데 기초접종 즉 2차 이상 접종 완료자는 누구나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최근 확진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7차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추가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2022.11.14(mon)  |  이현
  • Jeju Prohibits Imports from Gangwon and Chungnam
  • Jeju province prohibited the import of poultry and produce from Chungnam and pork products from Gangwon provinces. Such measures are based on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AI) found on duck farms in Cheonan, Chungnam, and African swine fever which occurred in Cheolwon of Gangwon Province. The prohibition on poultry products is expanding to Chungbuk following Gyeongbuk and Jeonbuk, including live poultry from other provinces. With growing concerns of AI and African swine fever outbreaks, Jeju is urging on strengthening preventive measures and asks all farmers to comply with regulations. 강원산 돼지생산물·충남산 가금산물 반입 금지 제주특별자치도가 충남산 가금육과 생산물, 강원산 돼지산물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충남 천안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강원 철원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한데에 따른 조치입니다. 이에따라 다른지방산 살아있는 가금류를 비롯해 경북과 전북에 이어 충북까지 가금산물의 반입금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으로 확대 발생하고 있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역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농장 내외부의 방역강화와 함께 관련 수칙의 준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2.11.14(mon)  |  이현
  • Additional Crackdown on Hog Farm Owner
  • As livestock manure was found in an owner's farm suspected of illegal activity with regards to closed hog farms, the Jeju police launched an additional investigation. Per local police, a series of excavations of the farms around closed hog farms in (세화리) Sehwa-ri, (표선면) Pyo-sun-myeon of (서귀포시) Seogwipo city on the 10th to found illegal waste of manure. The local police reported that the owner illegally buried livestock manure in five of the 2,600-square-meter fields, and thus requested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to analyze the soil composition. Following the excavation of the closed hog farm site at the end of last month, two people are under investigation. 불법매립 양돈장 농장주 밭에서도 분뇨 나와…추가 조사 폐업 양돈장 폐기물이 불법 매립됐다는 의혹을 받는 농장주의 밭에서도 가축분뇨가 나와 제주도자치경찰단이 추가 조사에 나섰습니다. 자치경찰에 따르면 지난 10일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리 폐업 양돈장 주변 농장주의 밭을 굴착 조사한 결과 분뇨가 섞인 걸로 의심되는 토양이 잇따라 확인됐습니다. 자치경찰은 농장주가 2천600여 제곱미터 규모의 밭 가운데 5개 지점에 가축분뇨를 불법 매립한 것으로 파악하고 보건환경연구원에 토양 성분 분석을 의뢰했습니다. 자치경찰은 앞서 지난달 말 폐업 양돈장 부지에 대한 굴착을 마무리하고 농장주 등 2명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 2022.11.14(mon)  |  이현
  • Strengthening CSAT Quarantine
  • Ahead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ll high schools in the province will shift to remote classes from this week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mong examinees. The Jeju POE stated that the remote classes will be held until the 18th, the day after the CSAT.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were also requested to adjust their morning rush hour to after 10 a.m. for a smooth commute for students on the test day. Between 6:30 a.m. and 8:10 a.m. on the 17th, the day of the test, more city buses will operate and support of emergency transport vehicles will be offered for test takers. 수능 방역 강화…모든 고교 원격수업 전환 수능을 앞두고 수험생의 코로나 감염 확산 예방을 위해 이번주부터 도내 모든 고등학교가 원격 수업으로 전환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시험장 방역 조치를 위해 수능 다음날인 18일까지 모든 고등학교가 원격수업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과 각급 학교 등에는 시험 당일 수험생들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수능 시험이 치러지는 17일 아침 6시 30분부터 8시 10분까지는 시내버스가 집중 운행되고 수험생들을 위한 비상 수송 차량도 지원됩니다.
  • 2022.11.14(mon)  |  이현
  • Jeju-Osaka Air Route Reopens
  • Jeju-Osaka Air Route Reopens The international terminal of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is full of energy. About 90 tourists, mostly Japanese, visit Jeju on a regular flight from Osaka, Japan. The direct regular route between Jeju and Osaka has reopened for the first time in two years and nine months since it was suspended in February 2020. This is the first reopening of a regular route between Jeju and Japa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TERVIEW Japanese tourist The last three years were too long for me. It's so nice to be here in 3 years. I made a reservation as soon as I heard the news of the reopening of the international flight. Direct flights between Jeju and Osaka fly every day, seven times a week. 129,000 or about 30 percent of all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e in Osaka, and the resumption of direct flights is expected to boost their visit to Jeju, and tourism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INTERVIEW Kim Mi-yeong / Representative, Province It is most noticeable that it flies every day, seven days a week. It means the demand for flights from Japan to Jeju has increased, and we expect that Japanese tourists will make the local tourism market much more active. With the reopening of the Jeju-Osaka route, the resumption of direct flights to Tokyo, Nagoya, Fukuoka, and other cities of Japan is expected to accelerate. Resumption of direct flights between the island and Taipei City in Taiwan are scheduled for November 25th. International flights connecting the island and other cities are normalizing one by one. With international air routes gradually expanding, the sluggish foreign tourism market in Jeju is also expected to regain vitality. 일본 직항노선 재개…해외관광시장 정상화 제주공항 국제선 도착 대합실이 손님 맞이로 분주합니다. 일본인 등 개별 관광객 90여명이 오사카에서 정기편을 타고 제주를 찾았습니다. 제주와 오사카를 잇는 직항 정기노선이 지난 2020년 2월 중단된 이후 2년 9개월 만에 운항을 재개했습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뒤 제주와 일본을 오가는 정기노선이 뜬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터뷰 : 니시하라 타카시 / 일본인 관광객> 3년이 너무 길게 느껴졌습니다. 3년 만에 와서 너무 좋고 비행기가 뜬다는 소식을 알고나서 바로 예약을 했습니다. 제주와 오사카 직항노선은 주 7회 매일 운항됩니다. 특히 오사카 지역은 전체 재일교포의 약 30%인 12만 9천여 명이 거주해 직항노선 재개로 제주 방문과 관광 교류가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인터뷰 : 김미영 / 제주도 관광정책과장> (오사카 직항노선 재개의) 가장 큰 의미가 무엇이냐면 주 7일 매일 뜬다는 겁니다. 제주에서 일본으로 가는 게 아니고 일본에서 오는 관광객 수요가 그만큼 늘었다는 것이고 앞으로 일본 관광시장이 훨씬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오사카 노선이 열리면서 도쿄, 나고야, 후쿠오카 등 추가적인 일본 직항노선 재개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오는 25일에는 대만 타이베이 직항노선이 재취항하는 등 제주 기점 국제선이 하나 둘 정상화되고 있습니다. 국제선 하늘길이 점차 넓어지면서 침체에 빠진 제주 외국인 관광시장도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보입니다.
  • 2022.11.14(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