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Releases Delivery App
  • Jeju Releases Delivery App "Mukkaebi." A delivery service called "Mukkaebi" has been selected as the preferred bidder for the public-private cooperative delivery service to ease the burden of fees for small business owners. The Jeju Economic and Trade Promotion Agency decided after reviewing four service providers last month. (먹깨비) Mukkaebi currently operates in 11 municipalities, including Seoul and Gyeongsangbuk-do. Jeju plans to finalize the details and launch full-scale operation through promotion and pilot services to recruit franchisees and expand users. 제주 민관협력형 배달앱 운영사 '먹깨비' 선정 소상공인의 배달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민관협력형 배달앱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배달앱 운영사 '먹깨비'가 선정됐습니다.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은 지난달 민관협력형 배달앱 운영사를 공개 모집한 결과 4개 업체에 대한 선정심의를 거쳐 이 같이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먹깨비는 현재 서울시와 경상북도 등 전국 지자체 11곳에서 공식 배달앱 운영사로 선정돼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하고 가맹점 모집과 이용자 확대를 위한 홍보와 시범 서비스를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JDC Supports Samdasoo for Typhoon Hit Areas
  • JDC Supports Samdasoo for Typhoon Hit Areas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JDC) supported 50,000 bottles of Samdasoo bottled water to Pohang and other areas affected by the typhoon. The water was delivered to victims in the (영남) Yeongnam province through the Bridge of Hope National Disaster Relief Association. The JDC will continue reviewing additional requests for support across the country. 제주개발공사, 태풍피해지역 삼다수 5만 병 전달 제주개발공사가 포항을 비롯한 영남권 태풍 피해지역에 제주삼다수 5만병을 전달했습니다 이번에 지원하는 삼다수는 희망브릿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태풍 힌남노에 심각한 피해를 입은 영남권 이재민들에게 전달됐습니다. 제주개발공사는 이번 긴급 지원 이후에도 피해 상황이 접수되면 전국에 추가지원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Fierce Competition for First JDC Housing
  • Fierce Competition for First JDC Housing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JDC)’s first rental housing project has a record high average competition rate of 13.8 to 1. As a result, 116 people applied for six houses in Ara-dong, Jeju City, and 22 households applied for four housings in Seogwi-dong, Seogwipo City, a competition rate of 5.5 to 1. The JDC also plans to recruit tenants for a national rental housing project and housing targeting young newlyweds starting this month. Public rental housing is intended to reduc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the middle-class by offering yearly (전세) Jeonse rentals at a rate of 85% of the market price. 개발공사 첫 공공 전세주택 경쟁률 '13.8대 1' 제주도개발공사가 도내 처음으로 공급한 공공 전세주택 입주자 모집 결과 평균 13.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접수결과 제주시 아라동은 6채 모집에 116명이 지원해 19.3대 1, 서귀동은 4채 모집에 22가구가 지원해 5.5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제주개발공사는 청년신혼부부 매입 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에 대한 입주자 모집도 이달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공공 전세주택은 중산층 무주택 세대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것으로 시중 전세가격의 85% 수준에서 공급됩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Jeju To Return Investment from Power Generation
  • Jeju To Return Investment from Power Generation The province has begun laying the groundwork necessary to return profits from solar power generation. By December, the province plans to seek appropriate criteria for sharing profits gained from solar energy development. The purpose is to enable profits from solar energy to be shared with the community. The plan is to enable solar power as a public resource by developing appropriate criteria, funding, and management plan. Jeju Island has been raising a publicization fund for wind power generation since 2017. 태양광 발전 이익공유화 연구 용역 추진 제주도가 풍력에 이어 태양광 발전에 대해서도 이익의 일부를 환원하기 위한 근거 마련에 나섰습니다. 제주도는 태양광 에너지 개발 이익 일부를 도민사회에 환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오는 12월까지 태양광 개발.발전이익 공유화 적정기준 연구용역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용역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공공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와 기금 적정기준안, 관리방안 등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한편 제주도는 풍력발전에 대해서는 2017년부터 공유화기금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Positive Outcome on Retrial of 30 Prisoners
  • Positive Outcome on Retrial of 30 Prisoners Jeju Governor Oh Young-hoon(오영훈) shared remarks on the acquittal of 30 prisoners of the Jeju 4.3 retrial that were reviewed on the 6th. Governor Oh commented on the Jeju District Court's decision that allowed families of Jeju 4.3 prisoners that it was significant to see the revision of the Jeju 4.3. Special Act bear fruit after 21 years. So far, 310 prisoners have been acquitted, and the remaining 1,848 continue to wait for the restoration of their honor. 4·3 군사재판 수형인 30명 무죄 판결 환영" 6일 제12차 직권재심을 통해 4.3 군사재판 수형인 30명 모두 무죄를 선고받은 것과 관련해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환영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오 지사는 제주지방법원의 이번 결정으로 4.3 수형인 유가족들이 억울함을 내려놓고 추석을 보낼 수 있게 되었고, 21년 만에 이룬 4.3 특별법 개정이 차근차근 뜻깊은 열매를 맺고 있어 감회가 남다르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직권 재심으로 무죄를 받은 4.3 군사재판 수형인은 모두 310명이며, 남은 1천 848명의 수형인이 명예회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Jeju Expands Conservation Areas
  • Jeju Expands Conservation Areas Jeju Island plans to expand its preservation area to constrain development to preserve the landscape. The Province submitted a proposal to the Provincial Council that requests to expand the conservation area by 385,000 square meters. Discussions have been held with academia representatives and civic groups to include regions surrounding lava caves and coastal areas in the preservation zone. The motion will be processed at the 409th Jeju Provincial Council regular meeting, which will begin on the 16th. 제주도, 난개발 제한 '보전지역 확대'…동의안 제출 제주도가 난개발을 막고 경관을 보존하기 위해 보 지역을 대폭 확대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보전지역을 38만 5천 제곱미터 확대하는 내용의 '절대 상대 관리보전지역 변경 동 안'을 제주도의회에 제출했습니다. 학계와 시민단체 등의 공론화를 통해 용암동굴 주변 인접와 일부 해안선 일대 국유지 등이 새롭게 보전 역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동의안은 오는 16일부터 시작되는 제409회 제주도의회 정례회에서 처리될 예정입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Emergency Aid for Agricultural Fuels
  • Emergency Aid for Agricultural Fuels International oil prices have risen sharply since the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Prices of agricultural fuel offered as duty-free also rose significantly.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gasoline prices averaged 1,218 won per liter, diesel 1,326 won, and kerosene 1,069 won, up 60% from the second half of 2019. As prices have been rising to record levels, the burden on farmers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province has decided to support fuel costs to ease the burden of production costs for struggling farmers. It is the first support following financial aid for fishing fuels made from last month. The province will spend 2.396 billion won from reserve funds to pay 20 percent of the difference in the increase in duty-free agricultural fuels. Farmers who bought six types of agricultural fuels including gasoline, diesel, kerosene, and heavy crude oil from January to May this year can receive the aid, and the payment will be between 44 won and 102 won per liter depending on the fuel type.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from the 13th to the 27th of this month at Nonghyup, which is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community centers. A total of 29,000 farmers are expected to benefit. INTERVIEW Kim Hui-hyeon / Vice Governor In order to support farmers, the province will pay about 20% of the fuel price increase. 2.3 billion won will be spent from the reserve fund for the emergency aid. The province plans to offer the emergency aid through November, and is also seeking support for the currently soaring fertilizer prices. 치솟은 기름값 허덕…농업용 면세유 긴급 지원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멈출 줄 모르고 크게 올랐던 국제유가. 그 여파로 농업용 면세유가도 크게 올랐습니다. 올 상반기 농업용 면세유 가격 추이를 보면 휘발유의 경우 1리터에 평균 1,218원, 경유 1,326원, 등유 1,069원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에 비해 60% 가량 급등했습니다. 물가 마저 오를 대로 올라 그야말로 신3고 경제 위기가 이어지며 농업인들의 부담은 날로 심해지고 있습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업인들의 생산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해 제주도가 긴급 유류비 지원에 나섰습니다. 어업용 면세유 지원은 지난달부터 지원되고 있지만 농업용 면세유를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제주도는 예비비 23억 9천 6백만 원을 투입해 농업유 면세유 상승분 차액의 20%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대상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농업용 면세유로 사용한 휘발유와 경유, 등유, 중유 등 모두 6종으로 유류에 따라 리터당 최소 44원에서 최대 102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오는 13일부터 27일까지 지역 농협이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이뤄집니다. 모두 2만 9천여 명의 농축산업인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터뷰 : 김희현 / 제주도 정무부지사> 제주도에서는 어려운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유류비) 인상가격의 20%정도를 지원하는 것으로 해서 예비비에서 긴급하게 23억 원 정도를 지원하게 됐습니다. 제주도는 오는 11월까지 유류비를 보전할 계획으로 현재 급등하고 있는 비료 가격에 대해서도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2022.09.08(thur)  |  고주연
  • Strengthened Funeral Facilities for Chuseok
  • Strengthened Funeral Facilities for Chuseok Jeju City will strengthen its quarantine management of public funeral facilities during the Chuseok holiday. As a result, the memorial hall will be closed from the 9th to the 12th during the holiday season at (한울누리) Hanul Nuri Park, (용강별숲) Yonggang Byeol Forest Park, and public cemetery parks. Also, food will be prohibited on premises of the facilities. In addition, Jeju City asks for active cooperation in preventing the spread of COVID-19 by complying with quarantine rules when using public funeral facilities. 제주시, 공설 장사시설 추석 연휴 방역 강화 제주시가 추석 연휴 기간 공설 장사시설에 대한 방역관리를 강화합니다. 이에 따라 한울누리공원과 용강별숲공원, 공설공원묘지 등에서는 연휴 기간인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추모관 제례실이 폐쇄되고 음식물 반입과 섭취가 금지됩니다. 제주시는 이와 함께 공설 장사시설을 이용할 경우 생활 속 거리두기 방역수칙을 준수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2022.09.05(mon)  |  고주연
  • 4th Accrediation for ‘Int’l Safe City’ Status
  • 4th Accrediation for ‘Int’l Safe City’ Status Jeju Island is closer to becoming the first Asian country to receive its 4th accreditation as a safe international city.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fourth official review of the international safety city accreditation was held both online and offline, to assess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on the 30th and 31st. Lucia Maria Rotrian, chairman of the judging committee, reportedly said that Jeju's efforts and achievements well meet international recognition standards, and said that the final decision will be notified in September. If accredited, Jeju will be Asia's first to receive the accreditation for the 4th time. 제주도,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가시화 제주도가 아시아 최초로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30일과 31일 이틀동안 제주소방안전본부에서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최종 심사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번 심사에서 루시아 마리아 로트리안 심사위원장은 그동안 제주가 추진해온 노력과 성과는 국제안전도시 공인 기준에 충족한다면서 최종 결정은 9월중에 통보되지만 공인은 매우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에 제주가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되면 아시아 최초로 4차례나 공인되는 쾌거로 제주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전망입니다.
  • 2022.09.05(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