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Youth Council Experience Participation
  • Youth Council Experience Participation The Jeju Provincial Council will accept applications for the Youth Council Experience Program until the 27th. Applications can be made in teams of 20 to 45 people, including elementary to college students, and those from youth organizations in the province. Applicants are accepted through the council's website or by official letter. The program will be held from the 1st of next month until September 7th. Teenagers will experience becoming council members and engage in discussions, vote, and meet with incumbent provincial council members. 제주도의회, 청소년의회 의정체험 참가 접수 제주도의회가 오는 27일까지 도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회 의정체험 참가 신청을 받습니다. 도내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청소년 단체 등 20명 이상 45명 이하의 팀 단위로 신청이 가능하고 도의회 홈페이지 또는 공문으로 접수 가능합니다. 체험 운영기간은 회기가 없는 다음달 1일부터 9월 7일까지로 청소년들이 1일 도의원이 되어 조례안 찬반토론과 표결, 5분 자유 발언 등 모의의회와 현직 도의원 만남 등의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 2022.07.20(wed)  |  고주연
  • Tangerine Gross Income Hits Record high
  • Tangerine Gross Income Hits Record high Jeju tangerine gross income surpassed 1 trillion wo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ccording to the province and the Tangerine Trade Union, Jeju's citrus gross income amounted to 1.271 trillion won last year. This is an 8%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and marks the first time for gross income from tangerines to exceed 1 trillion won. The increase is attributed to secured sales channels including high-quality tangerines, online sales, quality inspection, shipment control systems, and isolation of low-quality citrus markets. Meanwhile, the total throughput of citrus was 613,000 tons last year, down 3.1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제주산 감귤 조수입 사상 최초 1조 원 돌파 제주산 감귤 조수입이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제주도와 감귤출하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산 감귤 조수입은 1조 27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8% 증가한 것으로 조수입이 1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수입이 증가한 것은 만감류 품질 검사제와 출하조절 제도 시행, 저품질 감귤 시장 격리 등 고품질 감귤 출하와 온라인 판매 등 판로 확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지난해 제주 감귤류 전체 처리량은 61만 3천여톤으로 전년 보다 3.1% 감소했습니다.
  • 2022.07.20(wed)  |  고주연
  • 400,000 won Fisherman's Allowance
  • 400,000 won Fisherman's Allowance As part of a newly established fishery allowance, the province is distributing 400,000 won starting from November in local currency (탐나는전) Tamnaneunjeon.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will be developed accordingly next month. Those eligible will be farmers who resided in the province for more than 3 years and who have had a fishing license for more than 2 years. Anyone with health insurance or who earns a total income of more than 37 million won will be excluded. 어업인 수당 1인당 40만원 11월부터 지급 제주도가 새롭게 신설된 어업인 수당 40만원을 오는 11월부터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으로 지급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달 중에 어업인 수당 지급에 따른 세부시행계획 마련합니다. 지급대상은 제주도에 3년 이상 주소를 두고 실제 거주하며 2년 이상 어업경영정보를 등록한 어업인입니다. 다만 건강보험가입자나 어업 외 종합소득이 3천 700만원 이상일 경우 제외됩니다.
  • 2022.07.20(wed)  |  고주연
  • 4th Round of COVID-19 Vaccination Begins
  • 4th Round of COVID-19 Vaccination Begins The fourth round of COVID-19 vaccinations are now available for residents. For those in which 4 months have passed since their 3rd vaccination who are in their fifties, and adults 18 and above with underlying diseases are eligible to get vaccinated. Those currently hospitalized or admitted to facilities for the disabled or homeless are also eligible for the vaccination. People may choose between Pfizer and Moderna or Nova Vax. You can get vaccination on the same day or make reservations in advance. Reservations begin on August 1st. Quarantine authorities suggest that a 4th round is necessary due to the recent resurge, and urges residents to get vaccinated. 코로나 예방 4차 백신 접종 시작 제주에서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4차 백신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접종 대상은 3차 접종 이후 4개월이 넘은 50대 연령층 전체와 기저질환이 있는 18살 이상 성인입니다. 장애인이나 노숙인 시설 같은 감염 취약시설의 입원 또는 입소자도 4차 접종 대상에 해당됩니다.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 노바백스 가운데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당일 접종과 사전 예약이 가능하며 예약자에 대한 접종은 다음 달 1일부터 시작됩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 재유행으로 4차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며 대상자는 접종에 참여해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 2022.07.20(wed)  |  고주연
  • Agricultural Machines Rental Services
  • Agricultural Machines Rental Services Mr. (강민설) Gang Min-seol immigrated to Jeju a few years ago for farming. He is learning how to control a mini-excavator. With control of the dipper, the soil-shifting machine digs up a bucket of soil. The more skillful his control becomes, the more he enjoys it. INTERVIEW Gang Min-seol / Sweet pumpkin grower It would be a big burden if I should buy the excavator because of its high price. I’m joining the machine operation training program here which would be a big help to me. At first it was hard and I was nervous as I’m not familiar with the machine, but I’m enjoying it now. Mini-excavators are really needed for farming, but operating them can be dangerous.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for renting the machines. Mini-excavators have a high risk of rollover, so there are many more precautions to learn. INTERVIEW Kim Gyeong-yeon / Seogwip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Many might think an excavator is not dangerous, but they would be wrong. Excavators have to work on flat ground, but if they work on slopes without care, they can turn over. And if there is somebody around the machine, extra care is needed. Excavators are not used that frequently- for some farmers, only four or five times a year, but they are essential to farming operations. The Seogwip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is lending machines as they usually cost tens of millions of won per unit, along with providing safety training. The organization is planning to rent agricultural machines and offer safety education to 300 farmers every year. "안전교육 받고 농기계 빌려가세요" 몇년전 제주로 귀농한 강민설씨. 농사일에 필요한 미니 굴착기 작동법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굴착기로 땅을 파내자 흙이 한무더기씩 올라오고 점점 능숙해지는 손길에 흥미가 점점 올라갑니다. <인터뷰 : 강민설/단호박 농가> "장비를 가격이 고가니까 제가 구입을 못하고 교육이 있다고 해서 저한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찾아왔고요. 처음에 많이 떨리고 기능도 숙달이 안 돼서 어려웠는데 재미도 있고 괜찮아요. 할만해요." 밭농사, 과수원 농사에서 꼭 필요한 미니 굴착기. 기계를 임대해가려면 이렇게 일정 시간의 안전교육을 필수로 받아야 합니다. 미니굴착기는 특히 전복 사고 위험이 높아서 익혀야 할 주의사항이 더욱 많습니다. <인터뷰 : 김경연/서귀포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왠지 사고와 관련이 없을 것 같지만, 상당히 위험한 장비입니다. 보통 굴삭기가 평지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경사지에서 아무런 주의 없이 작업을 한다거나 하면 전복될 수도 있고 혹은 작업 중에 주위에 사람이 있을 경우 조심해서 작업을 하거나…." 일년에 4-5번씩 꼭 필요한 장비지만, 수천만원대 고가의 장비인 만큼 농민들이 개인적으로 구매하기엔 부담이 되는데 이렇게 교육을 실시하고 대여를 해주는 겁니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앞으로도 한해 300명의 농민들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기계를 임대해줄 예정입니다.
  • 2022.07.20(wed)  |  고주연
  • Text Message Phishing Scams Increase
  • Text Message Phishing Scams Increase Even when sent from an unfamiliar number, a well-crafted phishing message can find a way to break through someone’s defenses. This one tells the user that their phone is broken. The message starts with ‘Mom,’ and says the sender can be contacted only by text. However, the individual behind this message is no child, but a phishing criminal. On June 30th, two foreigners were arrested on charges of being involved in a text message phishing scam by impersonating a child to steal money. They were accused of linking 15 domestic mobile phone numbers with computers, being operated outside the country, to send phishing text messages. In order to avoid the police, the two carried burner phones in a vehicle to try and cause confusion on their whereabouts by constantly moving between cell towers. But they were eventually apprehended. According to the police investigation, more than 10,000 phishing messages were sent in June. The police arrested the two suspects on charges of violating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nd attempted fraud. They will be prosecuted soon. Text-based phishing scams, which aim to steal personal information or money by impersonating others, often family members, are increasing. The scammer will pretend to be someone close to the victim and then ask for money or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ID card details, under the pretext of mobile phone repair costs. There are upwards of 200 cases of such phishing scams reported in Jeju every year, and this year, there were already 150 cases reported from January to June. The amount of money being scammed is also rapidly increasing. INTERVIEW Shin Jae-ho / Representative, Jeju Police Agency If you receive a message claiming the sender’s mobile phone is broken and they are contacting you via a temporary number, be wary. If they ask for payment information, like ID card or credit card details, or request to install a remote control app, you should call the number or meet the sender in person so as not to be scammed. The most important thing one can do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a text message phishing scam is always to be wary of unknown numbers. The police advise to never share any personal information with such numbers, and not to click on any included URLs. 휴대전화가 망가졌다며 낯선 번호로 전송된 메시지. 친근한 말투로 엄마라 부르며 문자로만 연락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문자를 보낸 사람은 자녀가 아닌 메신저 피싱범입니다. 지난달 30일, 자녀를 사칭해 돈을 빼돌리는 메신저 피싱에 가담한 혐의로 외국인 2명이 구속됐습니다. 이들은 국내 휴대전화 15대를 해외 컴퓨터와 연동해 피싱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휴대 전화를 차량에 싣고 다니며 기지국에 혼선을 주기도 했지만 결국 덜미를 잡혔습니다. 경찰 조사결과 피의자들이 가지고 있던 휴대전화로 6월 한 달 사이 발송된 피싱 메시지는 무려 1만 건이 넘습니다. 경찰은 피의자 2명을 전기통신사업법 위반과 사기 미수 등의 혐의로 구속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최근 가족 등을 사칭해 메신저로 개인정보나 돈을 가로채는 이른바 메신저 피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녀인 척 연락한 뒤 휴대전화 수리비 등을 핑계로 돈이나 신분증 등 결제정보를 보내달라고 하는 겁니다. 제주에서도 매년 200건에 이르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올들어서는 6개월 만에 150건이 넘게 발생하며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신재호 / 제주경찰청 사이버수사대장> "휴대전화가 고장 나서 임시번호로 연락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받고 상대방으로부터 신분증, 신용카드 번호 등 결제정보를 요구받거나 원격 조정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요구받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대방과 전화 통화하거나 직접 만나서 누구인지 확인하셔서 (피싱) 범죄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경찰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URL을 누르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Seogwipo Blood Donation Center Reopens
  • Seogwipo Blood Donation Center Reopens A blood donation center in Seogwipo City will resume its operation for the first time in 20 years. The Korea Red Cross announced that the Seogwipo Blood Donation Center will be in full operation beginning this week. It has been 20 years since the center was in operation in Jungang-ro, Seogwipo-si since its closure in January 2002. It will be the only in the country that self run and not funded by the national treasury. Until now, blood donation was only possible in Jeju City or through donation vehicles which only operated up to twice a month. 헌혈의집 서귀포센터 20년 만에 운영 재개 서귀포시 지역 헌혈자들을 위한 헌혈의집 서귀포센터가 20년만에 운영이 재개됩니다. 대한적십자사 제주혈액원은 이번 주부터(방송 18일 기준) 헌헐의집 서귀포센터가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02년 1월 서귀포시 중앙로에 있던 헌혈의집이 폐소 된 지 20년 만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고가 아닌 지자체 지원으로 운영됩니다. 그동안 서귀포 지역에서 헌혈을 하기 위해서는 제주시까지 이동하거나 한달에 1~2회 헌혈버스가 올 때만 가능했습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Open recruit for 17th Education Commission
  • Open recruit for 17th Education Commission The Jeju POE is openly recruiting members for the 17th Education Commission and assess on Superintendent Kim Kwang-soo's pledge. The committee will recruit 10 local residents from academia, media, civic groups, faculty and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al policies. Applications are accepted until the 25th and will be accepted through the POE office and website. The commission may consist of up to 30 members including the Head of the Policy Planning Office and will work on assessing Jeju’s Superintendent's implementation plans 제17대 교육감 공약실천위원회 위원 공개모집 제주도교육청이 제17대 김광수 교육감의 공약을 점검하는 공약실천위원회 위원을 공개 모집합니다. 모집 인원은 10명으로 도내 거주하는 도민 가운데 학계나 언론계, 시민단체, 그리고 교직원과 학부모 등 교육정책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공모 기간은 오는 25까지로 도교육청과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제주도교육감 공약실천위원회는 정책기획실장 등 당연직 위원을 포함해 모두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돼 교육감 공약의 추진 계획에 관한 사항을 점검하고 평가하게 됩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Jeju Olle-Camino de Santiago Joint System
  • Jeju Olle-Camino de Santiago Joint System A joint system has been established for Jeju Olle and Camino de Santiago in Spain. Jeju Olle has signed a friendship agreement with Galicia, Spain and Santiago de Compostela and has decided to introduce a joint completion system. Following the agreement, from September, joint certificates and medals will be offered for those who walk more than 100km each on Jeju Olle Trail and Santiago pilgrimage routes. Certifications will also be provided to those who have completed the walks in the past. 제주 올레길-산티아고 순례길 '공동완주제' 구축 제주 올레길과 스페인 산티아고순례길의 '공동완주제' 시스템이 구축됐습니다. 사단법인 제주올레는 스페인 갈리시아주와 산티아고순례자협회와 제주올레와 산티아고 우정의 길 협약을 맺고, 공동완주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오는 9월부터 제주 올레길과 산티아고 순례길을 각각 100km 이상 걷고 양측의 완주증서를 받으면 별도의 공동완주증서와 완주 메달을 추가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 과거에 발급받은 완주증으로도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